처음으로 카메라에 담았던 영동선 무궁화호 RDC 1829 열차 (2020. 5. 23)
코로나로 인해서 전 지구적으로 난리다. 인체에 유해함을 넘어 경제까지 얼어붙게 만들고 있다. 치료제나 백신 개발도 상당한 시일이 걸릴 수 밖에 없다고 한다.
코로나의 위험성은 언론을 통해 익히 보도된 터라 많은 고민을 했다. 곧 있으면 날이 더워진다는 것과 치료제나 백신도 개발이 되려면 시일이 걸린다는 것을 고민하다가 날이 더워지기 전 이번에 한해 동해역과 신기역을 다녀오는 것으로 정했다. 동해역과 신기역을 오고갈 때 차내승차권을 발권하기 위해 누리로를 왕복으로 이용한 것을 제외하고 다녀오는 동안 자차를 이용했다. KF94 마스크는 당연히 착용했고, 다녀오는 동안 손소독제도 지참해서 사용했다는 점을 미리 밝힌다.
작년 8월 8000호대를 담기 위해 철암역에 다녀온 이후로 꽤 오랜만에 다녀오는 답사가 되겠다. 지난 3월 무렵 동해역에 KTX가 운행되기 시작하고, 태백선과 영동선의 일반열차들이 강릉역에서 동해역으로 시종착역이 조정되면서 강릉 ↔ 동해 구간의 환승 수요를 위해 무궁화호 RDC가 운행되기 시작했다. 그러다 6월부터 강릉 ↔ 동해 구간을 운행하는 무궁화호 RDC가 전량 누리로로 교체된다고 한다. RDC를 타본 적은 있지만 담아본 적은 없어서 동해역을 결정한 것이고, 신기역은 다녀오고 싶었던 역이라 묶어서 간 이유다. RDC의 경우 이번 기회를 놓치면 대구, 울산, 포항으로 가야만 하기 때문에 나름 불가피한 측면도 있었다.
동해역을 거쳐간 적은 많았지만, 가본 것도 처음이다. RDC와 함께 처음이라는 의미를 갖는 곳이다. 열차시간표를 확인하고 가지 않아 RDC가 있을지 내심 불안했는데 다행히도 플랫폼에 열차가 있어서 카메라에 담을 수 있었다. 곧 있으면 없어질 강릉 ↔ 동해 구간의 무궁화호 행선판과 함께 원하는 구도에서 열차를 담을 수 있었다. 무개화차만 아니었다면 더 좋은 구도가 나올 수도 있었는데, 이만하면 나쁘지 않다.
RDC도 기본 태생은 CDC에서 기초하는 차량이라 내구연한을 이미 초과한 열차이다. 1996년부터 1999년까지 생산된 열차라 진작에 퇴역했어야 할 열차인 셈이다. 2014년과 2018년에 RDC를 탑승한 적이 있어서 첫 만남은 아니다. 5년 간 내구연한을 연장했다고 해도 달릴 수 있는 시간이 그리 많이 남지 않았다. 있을 때 잘해란 말처럼 있을 때 담아둬야겠다. 남쪽에서만 만날 수 있는 열차를 푸른 동해 바다와 산을 둔 곳에서 만나 더없이 반갑기만 하다.
'철도(鐵道) > 열차(列車)'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각기 다른 세 종류의 1682 무궁화호 열차 (0) | 2020.05.30 |
---|---|
동해역과 신기역에서 마주한 누리로 1640 누리로 1633 (2020. 5. 23) (0) | 2020.05.29 |
2019년 황금돼지해의 철도 결산 - 경원선 통근열차의 마지막 (0) | 2019.12.31 |
자석도색부터 고추장도색까지 이어져 오는 7500호대 디젤기관차들 (0) | 2019.11.30 |
8000호대와 8500호대로 구성된 화물 전용 전기기관차들의 중련 모습들 (0) | 2019.10.20 |
오릭스 버팔로즈 마스코트 버팔로 불 버팔로 벨 풍선 수건 활용 버젼 로고 Orix Buffaloes Mascot Buffalo Bull Buffalo Bell Balloon Towel Application Version Logo Vector
ORIX BUFFALOES MASCOT BUFFALO BULL BUFFALO BELL APPLICATION BALLOON Logo Vector.ai
ORIX BUFFALOES MASCOT BUFFALO BULL BUFFALO BELL APPLICATION TOWEL Logo Vector.ai
풍선과 수건으로 오릭스 버팔로즈의 기를 불어넣는 버팔로 불과 버팔로 벨입니다.
응원 풍선과 오릭스 버팔로즈의 워드마크와 엠블럼이 들어간 수건을 말하는데요, 제가 오래 전에 확보한 버팔로 불과 버팔로 벨의 또 다른 활용 버젼이기도 합니다. 응원 풍선을 든 첫 번째 사진과 워드마크와 엠블럼이 들어간 수건을 든 세 번째 사진이 이번 게시물의 하이라이트라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두 번째 사진의 투구하고 스윙이라고 적고 장풍을 선보이는 모습은 돋보이게 하기 위해 넣었습니다.
저번부터 올려야겠다고 생각은 하고 있었는데, 롯데와 관련된 자료들을 대거 확보하면서 우선순위에서 밀렸습니다. 그래서 생각이 나서 정리를 해야겠단 생각으로 올리게 됐고요. 버팔로 불과 버팔로 벨은 할로윈 버젼도 있습니다. 할로윈 버젼은 할로윈때 제가 다른 버젼들과 올릴 예정입니다.
버팔로 불과 버팔로 벨은 제가 확보하고 있는 마스코트의 활용 버젼들 중에서 꽤 많은 수를 확보하고 있는 자료이기도 합니다. 가장 많이 확보하고 있는 건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의 해리 호크고요. 오릭스 버팔로즈는 구단기만 확보가 되길 희망합니다. 오릭스의 구단기만 확보하면 오릭스의 기본적인 자료들은 다 확보하게 되고, 12개 구단들의 구단기도 모두 확보를 한 상황이기도 하고요.
오릭스 버팔로즈의 구단기도 확보가 되는 대로 올릴 예정이고요, 찾고 있는 자료들도 빠른 시일 내로 속도를 내겠습니다.
'일본 프로야구 로고 및 마스코트 (日本 プロ野球 L&M ) > 퍼시픽리그 Pacific League'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마이니치 오리온즈 다이마이 오리온즈 도쿄 오리온즈 롯데 오리온즈 지바 롯데 마린스 엠블럼 로고 모음 Mainichi Orions Daimai Orions Tokyo Orions Lotte Orions Chiba Lotte Marines Emblem Assortment Logo Vector
CHIBA LOTTE MARINES EMBLEM ASSORTMENT Logo Vector.ai
MAINICHI ORIONS EMBLEM Logo Vector.ai
DAIMAI ORIONS EMBLEM Logo Vector.ai
TOKYO ORIONS EMBLEM ORIGINAL Logo Vector.ai
LOTTE ORIONS EMBLEM ORIGINAL Logo Vector.ai
CHIBA LOTTE MARINES OLD EMBLEM ORIGINAL Logo Vector.ai
CHIBA LOTTE MARINES PRIMARY EMBLEM OLD Logo Vector.ai
CHIBA LOTTE MARINES PRIMARY EMBLEM PRESENT BACKGROUND Logo Vector.ai
롯데의 역사를 최종적으로 정리하는 게시물입니다.
제가 롯데와 관련된 자료만 한 주 동안 올렸는데요, 앞서 말씀드린 것처럼 그간 올렸던 롯데의 자료들을 하나의 게시물로 정리를 해서 마무리하고 싶은 마음에 올리는 게시물이라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바로 첫 번째 사진이 이번 게시물의 하이라이트라고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그 동안 제가 올렸던 엠블럼들을 한 곳에 모아둔 것이고요. 롯데의 역사는 저런 흐름으로 진행된다는 걸로 이해하시면 되겠습니다. 팀명과 시기에 대해 이어서 말씀을 드리면요.
두 번째 사진이 마이니치 신문이 창단한 마이니치 오리온즈고요, 1950년부터 1957년까지 참가했습니다. 세 번째 사진이 마이니치 신문과 다이에이 영화사가 각각 창단한 마이니치 오리온즈와 다이에이 유니온즈가 합병해서 탄생한 다이마이 오리온즈고요, 1958년부터 1963년까지 참가했습니다. 네 번째 사진이 다이마이 오리온즈에서 도쿄 오리온즈로 팀명이 바뀌었고요, 1964년부터 1968년까지 참가했습니다. 1950년부터 1968년까지 롯데가 야구단 경영에 참가하기 이전의 시기입니다.
다섯 번째 사진이 롯데가 네이밍 스폰서를 시작해 야구단 경영권까지 인수한 롯데 오리온즈고요, 1969년부터 1991년까지 참가했습니다. 롯데가 1969년과 1970년 오리온즈 야구단의 네이밍 스폰서였고요, 1970년 시즌이 끝나고 본격적으로 야구단 경영권을 인수하면서 1971년부터 지금까지 롯데그룹의 산하로 편입돼 이어지고 있습니다. 여섯 번째 사진이 가와사키에서 치바 현으로 연고지를 이전한 치바 롯데 마린스고요, 1992년부터 1994년까지 사용된 초대 마린스 시절 엠블럼입니다. 1992년부터 지금까지 치바 현이 롯데의 연고지로 정착돼서 이어오고 있습니다. 일곱 번째 사진이 바비 발렌타인 감독의 주문에 따라 1995년에 변경된 지바 롯데 마린스의 프라이머리 엠블럼입니다. 메이저리그 스타일에 걸맞게 시카코 화이트삭스를 모티브로 해서 바꾼 것으로 알려져 있고요, 흔히 롯데하면 생각나는 디자인이 바로 이 시기부터입니다. 1995년에 만들어져 작년 2019년까지 사용된 엠블럼이기도 합니다. 마지막 여덟 번째 사진이 올해 2020년을 맞아 부분 변경된 지바 롯데 마린스의 프라이머리 엠블럼입니다.
롯데의 뿌리는 1950년, 롯데의 시작은 1969년으로 정리할 수 있겠습니다. 지금 보시는 엠블럼들이 제가 확보한 롯데의 역사 자료들이고요, 이것으로 롯데에 대한 정리는 마무리하도록 하겠습니다. 이 과정에서 아직 확보가 되지 않은 지바 롯데 마린스의 초대 시절 심볼, 마스코트, 마군 린짱 즈짱의 초창기 시절, 그 외에 각 시절별 유니폼 등은 제가 확보하는 대로 별도의 게시물로 추가하도록 하겠습니다.
'일본 프로야구 로고 및 마스코트 (日本 プロ野球 L&M ) > 퍼시픽리그 Pacific League'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마이니치 오리온즈 다이마이 오리온즈 도쿄 오리온즈 로고 Mainichi Orions Daimai Orions Tokyo Orions Logo Vector
MAINICHI ORIONS EMBLEM Logo Vector.ai
DAIMAI ORIONS EMBLEM Logo Vector.ai
TOKYO ORIONS EMBLEM ORIGINAL Logo Vector.ai
지바 롯데 마린스의 초창기 시절 역사가 시작됩니다.
바로 마이니치 오리온즈, 다이마이 오리온즈, 도쿄 오리온즈입니다. 첫 번째 사진이 마이니치 오리온즈, 두 번째 사진이 다이마이 오리온즈, 마지막 세 번째 사진이 도쿄 오리온즈가 되겠습니다. 롯데그룹이 야구단 경영에 참여하기 전에 있던 팀들입니다. 쉽게 말해 지바 롯데 마린스의 조상에 해당하는 전신인 것이지요.
시대의 흐름도 마이니치 오리온즈, 다이마이 오리온즈, 그리고 도쿄 오리온즈의 순서대로 이어집니다. 제일 먼저 창단했던 팀이 마이니치 오리온즈입니다. 마이니치는 우리가 익히 들어왔던 마이니치가 맞습니다. 마이니치 신문이 1950년에 마이니치 오리온즈라는 팀명으로 야구단을 창단했습니다. 이 과정에서 비하인드 스토리가 존재합니다. 마이니치의 창단을 강하게 반대하던 언론사였던 요미우리 신문과 주니치 신문, 이들 언론사를 모기업으로 두고 있는 교진군 요미우리 자이언츠와 주니치 드래곤즈가 중심이 된 마이니치의 창단 반대파가 뭉쳐 만든 리그가 바로 지금의 센트럴리그가 되겠고요, 반대로 마이니치의 창단 찬성파가 뭉쳐 만든 리그가 지금의 퍼시픽리그가 되겠습니다. 이 과정에서 일본야구연맹이 해체되는 일도 있었고요.
마이니치 오리온즈가 창단해서 참가한 첫 해인 1950년에 일본시리즈 우승을 차지합니다. 오래 전에 없어진 쇼치쿠 로빈스라는 팀을 상대로 일본시리즈의 우승을 차지했는데요, 이때 마이니치 오리온즈가 참가한 첫 해에 우승을 차지하면서 로얄로더가 되기도 했습니다. 쇼치쿠 로빈스는 이후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즈의 전신인 타이요 훼일즈와 합병해서 소멸된 팀이기도 합니다.
마이니치 신문이 운영하던 마이니치 오리온즈와 다이에이 영화사가 운영하던 다이에이 유니온즈가 1958년 합병되어 다이마이 오리온즈, 1964년에는 연고지인 도쿄를 사용하여 도쿄 오리온즈로 팀명이 변경됩니다. 1950년 우승을 한 이후에도 1960년대 1970년대까지 10년 단위로 퍼시픽리그 우승을 차지했을 정도로 잘 나가던 팀 중에 하나였습니다. 1969년 롯데그룹이 네이밍 스폰서로 참가하기 시작하면서 롯데 오리온즈로 팀명이 변경됐고요, 1970년 시즌이 끝나자 본격적으로 오리온즈의 경영권을 인수하면서 바야흐로 롯데의 시대로 접어듭니다.
마이니치 오리온즈, 다이마이 오리온즈, 도쿄 오리온즈를 통해 제가 말씀드린 롯데의 역사 자료들을 전부 다 올리게 됐고요. 다음에는 지금까지 제가 올린 엠블럼들을 한 게시물로 정리할 생각입니다. 이것으로 롯데의 역사에 대해 마무리를 지을 예정입니다.
'일본 프로야구 로고 및 마스코트 (日本 プロ野球 L&M ) > 퍼시픽리그 Pacific Leagu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 토론토 블루제이스 휴스턴 애스트로스 로스앤젤레스 에인절스 엠블럼 로고
ST.LOUIS CARDINALS EMBLEM Logo Vector.ai
TORONTO BLUE JAYS EMBLEM Logo Vector.ai
HOUSTON ASTROS EMBLEM Logo Vector.ai
LOS ANGELES ANGELS EMBLEM Logo Vector.ai
HOUSTON ASTROS SYMBOL Logo Vector.ai
ST.LOUIS CARDINALS SYMBOL Logo Vector.ai
TORONTO BLUE JAYS SYMBOL Logo Vector.ai
제가 다루지 않는 자료들을 올리기 위해 요청 자료 항목을 별도로 개설을 했습니다.
본 블로그에 오신 분들은 아시겠지만, 항공, 철도, 군사, 행사일정 그리고 일본야구 관련된 자료들을 다루는데요, 이 범주에서 벗어난 요청 자료를 위해서 별도로 항목을 개설했다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공지사항에도 별도로 수정을 하겠습니다만, 요청 자료는 본 블로그의 주제와 연관이 되거나 야구와 관련된 자료에 한합니다. 예를 들면, 야구 이외의 종목에 대해서는 당연히 요청을 받지 않습니다. 물론, 제가 본 블로그의 주제와 관련이 없는 역사적인 자료들도 일부 갖고 있긴 합니다. 나무위키 항목에 있는 고양 KB국민은행 축구단이라던가 울산 현대미포조선 축구단 같은 경우는 별도의 요청이 있는 경우 임시적으로 올려 두겠습니다만, 이런 경우가 아니면 주제에 벗어난 자료들은 올리지 않습니다. 다시 한 번 말씀드리면, 야구 이외의 종목에 대한 자료 요청은 제가 받지도 않고 답글도 달지 않습니다. 요청을 지양해주십시오.
요청 자료에 대해서는 제가 시간이 되는 여건 속에서 최선을 다해 찾겠습니다만, 반드시 찾는다고 확답을 드리진 못합니다. 단적으로 2000년대 초중반의 자료들은 웨이백머신이나 구글 검색 등을 통해서 찾습니다만, 시기가 오래됐을 뿐만 아니라 링크를 클릭하면 자료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가 부지기수입니다. 또한, 제가 생업이 있기 때문에 온전히 블로그에만 시간을 투자할 수 없다는 점입니다. 그래서 이런 부분은 감안해주시길 바랍니다.
한 가지 더 말씀드리고 싶은 점은 시행착오를 줄이기 위해 찾으시는 자료의 주소 및 링크를 첨부해주시길 부탁드립니다. 불필요한 시간낭비도 줄일 수 있고요. 단순히 로고라고 요청하시면 찾으시는 게 심볼인지 엠블럼인지 구분이 가지 않습니다. 요청하실 때 찾으시는 자료의 주소 및 링크가 첨부가 되어 있지 않으면 이 경우도 제가 답글을 드리지 않습니다. 이 점 유의해주시길 바랍니다.
요청 자료에서도 본 블로그의 방침인 정치적인 논쟁, 막말, 욕설, 조롱, 비아냥 등은 엄격히 금지된다는 점 참고하시고요, 여기에 해당될 경우 차단이 들어갈 수 있다는 점 분명하게 말씀드립니다.
주의사항을 말씀드렸고요, 요청 자료의 첫 번째 게시물은 메이저리그 팀들인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 토론토 블루제이스, 휴스턴 애스트로스, 로스앤젤레스 에인절스의 엠블럼 로고입니다. 먼저, 재용님께 생업으로 인해 늦게 업로드를 한 점 사과의 말씀을 드리고요, 재용님께서 추가로 요청하신 게 심볼로 생각됩니다. 이미지 파일과 벡터 파일을 추가로 첨부했고요. 혹시라도 찾으시는 게 아니라면 찾으시는 자료의 주소를 첨부해주시길 바랍니다.
'요청 자료 및 기타 (要請 資料 其他)'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바 롯데 마린스 엠블럼 워드마크 구단기 초대 버젼 로고 Chiba Lotte Marines Emblem Wordmark Official Flag The First Version Logo Vector
CHIBA LOTTE MARINES OLD EMBLEM ORIGINAL Logo Vector.ai
CHIBA LOTTE MARINES OLD WORDMARK Logo Vector.ai
CHIBA LOTTE MARINES OLD WORDMARK Logo Vector 추가.ai
CHIBA LOTTE MARINES OLD FLAG ORIGINAL Logo Vector.ai
지바 롯데 마린스의 초대 버젼 자료들입니다.
가와사키 구장을 홈구장으로 사용하던 롯데 오리온즈가 1991년 시즌이 끝나고 치바 현으로 연고지를 이전하면서 팀명을 지바 롯데 마린스로 변경합니다. 이듬해인 1992년부터 지바 롯데 마린스의 역사가 시작됐습니다. 흔히 우리가 알고 있는 지바 롯데 마린스의 핀스트라이프 유니폼과 갈매기를 형상화한 엠블럼은 1995년부터 제정되어 사용되기 시작했습니다. 그러니까 1995년 이전인 1992년부터 1994년까지 갭이 있다는 것이지요.
즉, 1992년부터 1994년까지 지바 롯데 마린스가 제가 올린 자료의 엠블럼, 워드마크, 구단기를 사용했는데요, 이 시기를 지바 롯데 마린스의 초대 시절로 가리킵니다. 지바 롯데 마린스 측에서도 초대 시절로 정의를 했고요, 일본 현지에서도 1992년부터 1994년까지 초대 마린스 내지 지바 롯데 마린스의 초대 시절로 부릅니다. 제가 전부터 말씀드린 지바 롯데 마린스의 초대 시절이 바로 1992년부터 1994년까지의 기간을 말합니다.
제가 마이니치 오리온즈, 다이마이 오리온즈, 도쿄 오리온즈, 롯데 오리온즈, 지바 롯데 마린스의 초대 시절과 관련된 자료들을 한꺼번에 확보하면서 그토록 찾고 있던 자료 중에 하나인 지바 롯데 마린스의 초대 시절 엠블럼을 확보했습니다. 자료들에 대해 간략히 설명을 드리겠습니다.
첫 번째 사진이 지바 롯데 마린스의 초대 시절 엠블럼입니다. 이번 게시물의 하이라이트입니다. 나무위키에도 지바 롯데 마린스의 구단 역사 항목에 나와 있는 자료인데요. 홈구장인 지바마린스타디움이 해안가 근처라 갈매기와 돛단배를 모티브로 제작했습니다. 눈에 띄는 부분이 바로 돛단배인데요, 경우에 따라서 집시 롯데로 불리던 1973년부터 1977년까지 연고지가 없는 상태로 정해진 곳 없이 떠돌던 롯데 오리온즈 시절의 처지를 승화해서 표현한 것으로 해석하기도 합니다.
두 번째 사진과 세 번째 사진이 지바 롯데 마린스의 초대 시절 워드마크입니다. 지바 롯데 마린스의 초대 시절 관련해서 가장 먼저 확보한 자료들입니다. 네 번째 사진이 지바 롯데 마린스의 초대 시절 구단기입니다. 워드마크 다음으로 확보한 자료고요. 이들 자료를 올린 이유는 지바 롯데 마린스의 초대 시절에 대해 정리를 하기 위해서입니다. 초대 시절 심볼은 롯데 구단의 영문 약자인 CLM을 바탕으로 만들어졌는데요, 심볼은 아직 확보하지 못한 탓에 추후에 확보하게 되면 본 게시물에 추가를 할 예정입니다. 한편으로 롯데의 역대 심볼들도 따로 정리를 해 둘 생각이고요.
롯데 오리온즈와 지바 롯데 마린스의 초대 시절에 대한 정리가 마무리됐고요, 이후에는 앞서 말씀드린 것처럼 마이니치 오리온즈, 다이마이 오리온즈, 도쿄 오리온즈, 롯데 오리온즈, 지바 롯데 마린스의 모든 시절에 대한 엠블럼들을 정리할 예정입니다. 요청 받은 자료들과 제가 올리고 싶은 자료들을 별도의 항목을 개설해서 정리 또한 할 거고요. 제가 나무위키 항목을 봤는데 지바 롯데 마린스의 엠블럼들이 수정이 되지 않았습니다. 제가 올려 둔 자료를 바탕으로 수정해 주시면 정말 좋을 것 같습니다. 그리고, 후쿠오카 페이페이 돔이라던지 후우상 같은 마스코트들도 찾아서 항목들이 수정될 수 있도록 힘을 써보도록 하겠습니다.
'일본 프로야구 로고 및 마스코트 (日本 プロ野球 L&M ) > 퍼시픽리그 Pacific League' 카테고리의 다른 글
롯데 오리온즈 심볼 폰트 워드마크 엠블럼 마스코트 구단기 로고 Lotte Orions Symbol Font Wordmark Emblem Mascot Official Flag Logo Vector
LOTTE ORIONS SYMBOL Logo Vector.ai
LOTTE ORIONS SYMBOL BACKGROUND Logo Vector.ai
LOTTE ORIONS FONT Logo Vector.ai
LOTTE ORIONS WORDMARK Logo Vector.ai
LOTTE ORIONS EMBLEM ORIGINAL Logo Vector.ai
LOTTE ORIONS MASCOT Logo Vector.ai
LOTTE ORIONS MASCOT WORDMARK Logo Vector.ai
LOTTE ORIONS OFFICIAL FLAG ORIGINAL Logo Vector.ai
롯데 오리온즈의 자료들을 정리하는 게시물입니다.
첫 번째 사진과 두 번째 사진이 롯데 오리온즈의 심볼입니다. 알파벳 L을 알파벳 O가 둘러싸는 형태고요, 우측 상단에 별이 존재합니다. 형제구단인 롯데 자이언츠의 심볼과 큰 차이점이 바로 별의 유무였지요. 롯데 자이언츠의 심볼은 알파벳 L을 알파벳 G가 둘러싸는 형태고요, 우측 상단에 별이 존재하지 않습니다. 제가 롯데 자이언츠의 초창기 심볼을 확보하게 되면 추후에 롯데 오리온즈의 심볼과 함께 정리를 해 두도록 하겠습니다.
세 번째 사진과 네 번째 사진이 롯데 오리온즈의 폰트와 워드마크입니다. 세 번째 사진의 경우 모기업인 롯데의 CI가 들어 있어서 편의상 폰트로 정리를 했고요, 네 번째 사진은 롯데 오리온즈의 워드마크입니다. 알파벳 i 부분을 별로 표현한 게 특징이지요.
다섯 번째 사진이 롯데 오리온즈의 공식 엠블럼입니다. 빨간색, 흰색, 파란색을 바탕으로 마스코트인 버블 보야와 폰트, 워드마크가 조합된 형태입니다. 마스코트인 버블 보야가 롯데 자이언츠의 챔피언 유니폼과 동일한 롯데 오리온즈의 홈 유니폼을 착용하고 있고요. 모기업인 제과 기업 롯데의 대표적인 제품인 껌을 상징한 것으로 보입니다. 여섯 번째 사진이 마스코트인 껌을 씹는 버블 보야입니다.
일곱 번째 사진이 롯데 오리온즈의 마스코트인 버블 보야와 폰트, 워드마크를 조합한 형태입니다. 배경 색상만 없는 것이지요. 마지막 여덟 번째 사진이 어제 올렸던 롯데 오리온즈의 구단기입니다. 이것으로 제가 올린 롯데 오리온즈의 자료에 대해 설명을 마치고요, 연고지에 대해 설명을 이어갈까 합니다.
롯데그룹이 1969년부터 다이에이 영화사와 마이니치 신문이 운영하던 도쿄 오리온즈의 네이밍 스폰서로 참여하면서 롯데 오리온즈의 야구단 운영에 참가하게 됐고요, 1970년 시즌이 끝나고 롯데그룹이 다이에이 영화사와 마이니치 신문으로부터 야구단 경영권을 인수하면서 롯데그룹 산하의 롯데 오리온즈가 출범하게 됩니다. 1969년부터 1991년까지 롯데 오리온즈라는 팀명으로 롯데그룹이 야구단을 운영하게 됩니다. 롯데 오리온즈의 홈구장은 1969년부터 1972년까지 도쿄 스타디움을 삼게 됩니다.
1972년을 끝으로 다이마이, 도쿄, 롯데 오리온즈 시절에 사용된 도쿄 스타디움이 철거하게 되는데요, 이때 롯데가 구단은 인수하면서 정작 홈구장인 도쿄 스타디움의 인수를 거부하면서 이듬해인 1973년부터 1977년까지 현재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의 홈구장인 미야기 구장을 바탕으로 떠돌이 생활을 시작합니다. 도쿄 스타디움을 인수하지 않았던 나름의 이유가 있었는데요, 구장의 크기가 너무 작았다는 점과 팀 특성상 관객이 적어 적자가 많았다는 점이 존재했기 때문입니다. 롯데가 떠돌이 생활을 시작한 1973년부터 1977년까지의 기간을 집시 롯데로 부릅니다. 미야기 구장을 바탕으로 당시 교진군 요미우리 자이언츠와 닛폰햄 파이터즈의 홈구장인 고라쿠엔 스타디움, 야쿠르트 스왈로즈의 홈구장인 메이지 진구 야구장, 가와사키 구장 등을 떠돌아 다닙니다. 롯데 오리온즈가 역사상 네 번째 퍼시픽리그의 우승과 두 번째 일본시리즈 우승을 차지한 1974년의 경우 고라쿠엔 스타디움에서 홈경기를 펼치기도 했습니다.
1978년 새롭게 신축한 요코하마 스타디움을 놓고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즈의 전신인 다이요 훼일즈와 롯데 오리온즈 간의 경쟁이 펼쳐지기도 했는데요, 요코하마 시가 야구장을 건설해주면 요코하마로 연고지를 이전하겠다는 다이요 훼일즈의 러브콜을 받아들인 점과 요코하마 스타디움의 산파격인 다이요라는 점을 바탕으로 NPB가 다이요 훼일즈의 손을 들어주며 롯데 오리온즈는 울며 겨자 먹기로 다이요 훼일즈가 사용하던 가와사키 구장에 정착하게 됩니다. 이 과정에서 롯데는 다이요에게 요코하마 스타디움을 공동으로 사용하자고 제안합니다만, 구장의 일정 과밀화를 우려한 다이에가 롯데의 제안을 거부합니다. 애초부터 요코하마 스타디움의 건설을 추진했던 팀이 다이요라 롯데가 명분부터 밀리는 싸움이었습니다. 거기에 롯데가 낼름 먹으려고 했던 것도 문제였고요. 만약 롯데가 요코하마 스타디움으로 연고지를 이전했다면 롯데 오리온즈와 롯데 자이언츠가 똑같이 생긴 야구장을 홈구장으로 삼을 수 있었을 겁니다. 사직야구장이 요코하마 스타디움을 모티브로 건설된 야구장이기 때문입니다.
1978년부터 1991년까지 롯데 오리온즈는 가와사키 구장을 홈구장으로 삼게 됩니다. 그러나, 공업 지역이라는 특성상 관중 동원이 만무했을 뿐만 아니라 구장 자체가 노후화된 데다 시설이 고장나면 바꿀 부품마저 없을 정도로 환경이 열악했습니다. 라커룸에는 습기가 많아서 배트가 금방 무거워질 정도였으니까요. 스탠드 경사도 낮아서 파울볼이 생기면 구장 주변의 자동차들이 곧잘 파손될 정도였다고 합니다. 가와사키 구장을 롯데가 연고지로 삼던 시절 장훈의 3000안타와 500홈런, 그리고 1988년 10월 19일에 펼쳐진 오사카 킨테츠 버팔로즈와 롯데 오리온즈와의 더블헤더 경기까지 TV로는 볼 수 없는 가와사키 극장이라는 표현으로 불리기도 했지만, 노후화되고 열악한 환경 탓에 롯데는 연고지 이전을 추진하기 시작합니다.
1990년 무렵 치바 현의 지바마린스타디움이 완공됩니다. 1990년과 1991년 롯데 오리온즈가 지바마린스타디움에서 시범경기를 펼치기도 했습니다. 지바마린스타디움의 완공을 시작으로 치바 현도 롯데의 연고지 이전을 추진하게 되는데요, 치바 현과 롯데의 이해관계가 맞아떨어지면서 1991년 시즌을 끝으로 롯데는 치바 현으로 연고지를 이전하고, 동시에 팀명도 롯데 오리온즈에서 지바 롯데 마린스로 변경하게 됩니다. 1991년을 끝으로 롯데 오리온즈의 역사도 끝이 나게 되고요.
롯데 오리온즈에서 활약하던 선수가 대표적으로 코야마 마사아키, 나리타 후미오, 도끼 투구법으로 유명한 일요일의 남자로 불렸던 무라타 쵸지, 카네다 마사이치 김경홍 감독의 동생이었던 카네다 토메히로 김말홍, 하츠시바 키요시 등이 있습니다. 1973년부터 1978년까지 재임하며 집시 롯데 시절 1974년 롯데 오리온즈의 우승을 이끌고, 1990년부터 1991년까지 재임하며 두 차례에 걸쳐 롯데 오리온즈의 감독을 맡았던 이가 바로 카네다 마사이치 김경홍 감독이었지요. 카네다 마사이치 김경홍 감독은 작년 2019년 지병으로 유명을 달리했습니다.
롯데 오리온즈의 자료들은 갖고 싶었는데 갖게 될 수 있어서 마음만큼은 정말 행복한 하루였습니다. 확보한 롯데 오리온즈의 자료들을 정리해서 포스팅할 수 있어서 더욱 좋았고요. 롯데 오리온즈에 이어 지바 롯데 마린스의 초대 엠블럼, 워드마크, 구단기들을 정리할 예정이고요. 제가 요청받은 자료들은 별도의 항목을 구성해서 올려 둘 예정입니다. 그 외에 제가 그동안 수집했던 자료들도 별도의 항목을 만들어서 올려놓을 생각이고요. 롯데의 역사를 표현해주는 자료들도 순차적으로 정리해서 마무리하도록 하겠습니다.
'일본 프로야구 로고 및 마스코트 (日本 プロ野球 L&M ) > 퍼시픽리그 Pacific League' 카테고리의 다른 글
롯데 오리온즈 지바 롯데 마린스 구단기 로고 모음 Lotte Orions Chiba Lotte Marines Official Flag Assortment Logo Vector
LOTTE ORIONS OFFICIAL FLAG ORIGINAL Logo Vector.ai
CHIBA LOTTE MARINES OLD FLAG ORIGINAL Logo Vector.ai
CHIBA LOTTE MARINES OFFICIAL FLAG Logo Vector.ai
정말 갖고 싶었던 자료들을 확보했습니다.
제가 블로그에서 누차 말씀드렸던 롯데 오리온즈의 자료들을 한꺼번에 확보를 했습니다. 롯데 오리온즈의 구단기 뿐만 아니라 심볼, 워드마크, 폰트, 마스코트까지 확보를 했습니다. 여기에 롯데 오리온즈보다 훨씬 전신이었던 마이니치 오리온즈, 다이마이 오리온즈, 도쿄 오리온즈의 엠블럼은 물론 지바 롯데 마린스의 초대 엠블럼까지 구했습니다. 말 그대로 엠블럼을 통해서 롯데의 역사를 확보했다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첫 번째 사진이 제가 며칠 전에 확보한 롯데 오리온즈의 구단기, 두 번째 사진이 지바 롯데 마린스의 초대 구단기, 마지막 세 번째 사진이 지바 롯데 마린스의 현재 구단기입니다. 시간의 흐름을 보여드리기 위해 지바 롯데 마린스의 초대 구단기와 현재 구단기도 롯데 오리온즈의 구단기와 함께 올렸습니다.
롯데 오리온즈의 첫 시작으로 롯데 오리온즈의 구단기를 올렸고요. 이후에 순차적으로 제가 확보한 롯데의 역사들을 풀어 갈 예정입니다. 롯데그룹이 1969년 다이에이 영화사와 마이니치 신문이 운영하던 도쿄 오리온즈의 네이밍 스폰서를 시작하면서부터 출발합니다. 1969년과 1970년 두 해 동안 롯데그룹이 도쿄 오리온즈의 네이밍 스폰서를 하면서 1969년부터 롯데 오리온즈의 이름으로 출범했습니다. 1968년까지는 도쿄 오리온즈로 운영이 됐고요. 1970년 시즌이 끝나자 퍼시픽리그의 우승을 차지한 롯데 오리온즈를 롯데그룹이 다이에이 영화사와 마이니치 신문으로부터 정식으로 야구단의 경영권을 인수합니다.
1971년부터 롯데그룹의 산하로 야구단이 편입하게 됐고요. 이후 1991년까지 롯데 오리온즈라는 팀명으로 운영이 됩니다. 지바 롯데 마린스가 야구단 역사를 정리할 때 네이밍 스폰서를 통해 야구단 경영에 참여한 1969년부터 1991년까지 롯데 오리온즈의 기간으로 정리하는 것도 이러한 이유에서입니다. 롯데 오리온즈에서 활약하던 한국인 야구선수로 백인천과 장훈이 있었습니다. 백인천의 경우 닛폰햄 파이터즈 다음으로 오래 선수 생활을 한 팀이 롯데 오리온즈고요, 장훈의 경우 선수 생활의 마지막을 장식한 팀이 롯데 오리온즈였습니다.
1979년 시즌이 끝나고 교진군 요미우리 자이언츠가 장훈을 롯데 오리온즈로 트레이드를 했는데요, 이때 장훈의 트레이드를 재고해달라고 했던 선수가 바로 왕정치였습니다. 교진군 요미우리 자이언츠에서 3000안타를 달성함과 동시에 선수 생활의 마지막을 장식하게 해달라는 요청이었습니다만, 결국 교진군 요미우리 자이언츠의 오너였던 쇼리키 토오루가 불쾌한 감정을 드러내자 왕정치의 입장이 난처하지 않도록 장훈이 트레이드를 받아들이면서 잘 마무리를 하게 되지요. 롯데로 이적한 장훈이 1980년 5월 28일 한큐 브레이브스를 상대로 3000안타를 달성했고요, 같은 해 9월 28일에 오사카 킨테츠 버팔로즈를 상대로 500홈런을 달성합니다. 장훈은 1981년까지 롯데에서 활약하게 됐고요, 1981년을 끝으로 현역 생활을 마무리하게 됩니다.
롯데 오리온즈 시절 홈구장에 대해서는 롯데 오리온즈의 심볼, 워드마크, 폰트, 엠블럼, 마스코트, 구단기를 올릴 때 자세한 설명을 드리겠습니다. 롯데 오리온즈의 자료들을 먼저 올리고요, 이후에 지바 롯데 마린스의 초대 엠블럼, 마이니치 오리온즈, 다이마이 오리온즈, 도쿄 오리온즈의 엠블럼 등도 올려 두도록 하겠습니다.
'일본 프로야구 로고 및 마스코트 (日本 プロ野球 L&M ) > 퍼시픽리그 Pacific League'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즈 마스코트 커비 더 베어 로고 모음 Hokkaido Nippon-Ham Fighters Mascot Cubby The Bear Assortment Logo Vector
HOKKAIDO NIPPON-HAM FIGHTERS MASCOT CUBBY THE BEAR APPLICATION CONGRATULATIONS Logo Vector.ai
HOKKAIDO NIPPON-HAM FIGHTERS MASCOT CUBBY THE BEAR KAMAGAYA FIGHTERS Logo Vector.ai
HOKKAIDO NIPPON-HAM FIGHTERS MASCOT CUBBY THE BEAR Logo Vector.ai
HOKKAIDO NIPPON-HAM FIGHTERS MASCOT CUBBY THE BEAR OLD HOME UNIFORM Logo Vector.ai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즈의 마스코트인 커비 더 베어입니다.
커비 더 베어는 제가 예전에도 몇 차례 올린 적이 있었는데요, 며칠 전에 기존과는 다른 모습의 커비 더 베어를 확보하면서 전에 확보한 자료들과 정리를 하기 위해서 별도의 게시물로 올리게 됐습니다.
바로 첫 번째 사진이 이번 게시물의 하이라이트라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첫 번째 사진의 커비 더 베어를 찾고 싶었는데 간신히 찾을 수 있었습니다. 다만, 파이터즈의 워드마크를 보시면 일부 오브젝트가 빠져 있습니다. 워드마크가 다소 흠이긴 합니다만, 이전과는 다른 모습이라는 점에서 신선함을 찾을 수 있지 않나 싶습니다. 추후라도 워드마크까지 완벽하게 구성된 자료를 구하면 수정해놓도록 하겠습니다.
커비 더 베어는 홋카이도가 아닌 치바에 모습을 드러냅니다. 1군 마스코트가 아닌 2군 마스코트고요, 가끔 홋카이도에서 행사가 있을 때 모습을 보입니다만, 기본적으로 2군 홈구장인 카마가야 파이터즈 스타디움에서 모습을 보입니다.
추후에 완벽한 커비 더 베어의 자료가 확보되는 대로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즈의 마스코트들을 정리할 예정이고요, 찾고 있는 자료들도 조속히 찾을 수 있도록 힘을 써보겠습니다. 제가 찾고 싶었던 롯데 오리온즈의 자료를 비롯해서 롯데와 관련된 다양한 자료들을 확보했습니다. 이들 자료도 순차적으로 올려 두도록 하겠습니다.
'일본 프로야구 로고 및 마스코트 (日本 プロ野球 L&M ) > 퍼시픽리그 Pacific League' 카테고리의 다른 글
SAKAI SHRIKES WORDMARK Logo Vector.ai
SAKAI SHRIKES EMBLEM Logo Vector.ai
06 BULLS EMBLEM Logo Vector.ai
간사이 독립 리그의 신생팀 사카이 슈라이크스입니다.
간사이 독립 리그의 이전 명칭인 베이스볼 퍼스트 리그에서 간사이 독립 리그의 명칭을 다시 사용하기 시작한 시점이 2019년 무렵일 겁니다. 2018년에 새롭게 창단해서 2019년부터 간사이 독립 리그에 참가한 팀이 바로 사카이 슈라이크스입니다.
간사이 독립 리그의 흐름에 대해 간략히 설명을 드리면 간사이 독립 리그가 2009년부터 2013년까지 사용되다가 2014년부터 2018년까지 베이스볼 퍼스트 리그로 리그 명칭이 바뀝니다. 다시 2019년부터 간사이 독립 리그의 명칭을 사용하기 시작하게 된 것이고요. 일본 위키를 보면 각각 1대목, 2대목으로 나눠져서 설명이 되어 있는 것이지요.
현재 간사이 독립 리그에 참가하고 있는 팀이 06 불스, 효고 블루산다즈, 와카야마 파이팅 버즈, 사카이 슈라이크스 이렇게 총 네 팀이 참가하고 있습니다. 이번 게시물에서 며칠 전에 확보한 사카이 슈라이크스와 쉽게 자료를 확보했던 06 불스의 자료를 첨부를 했는데요, 전에 올렸던 효고 블루산다즈까지 포함하면 와카야마 파이팅 버즈만 아직 확보를 하지 못했습니다. 간사이 독립 리그의 엠블럼이 올해 새롭게 바뀌었는데요, 간사이 독립 리그의 예전과 현재 엠블럼과 와카야마 파이팅 버즈의 엠블럼을 확보하는 대로 현재 간사이 독립 리그의 자료들을 정리할 예정입니다. 예전 간사이 독립 리그와 베이스볼 퍼스트 리그의 자료들도 모두 확보가 되면 별도로 정리를 하겠습니다.
또 다른 독립리그인 베이스볼 챌린지 리그의 경우 몇몇 팀들의 팀명이나 운영 주체가 바뀌었습니다. 시즌이 시작되어야 관련 자료들도 나올텐데요, 새롭게 바뀐 베이스볼 챌린지 리그의 자료들도 확보하는 대로 정리를 해 두도록 하겠습니다.
'일본 프로야구 로고 및 마스코트 (日本 プロ野球 L&M ) > 일본독립리그 JAPAN Independent Baseball League'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도치기 골든 브레이브스 로고 모음 Tochigi Golden Braves Assortment Logo Vector (0) | 2020.08.31 |
---|---|
야마토 사무라이 레즈 로고 Yamato Samurai Reds Logo Vector (0) | 2020.07.20 |
효고 블루산다즈 로고 모음 Hyogo Bluesandars Assortment Logo Vector (0) | 2020.05.05 |
효고 블루산다즈 옛날 버젼 심볼 일본어 버젼 로고 Hyogo Bluesandars Old Version Symbol Japanese Version Logo Vector (0) | 2019.12.14 |
06 불스 워드마크 엠블럼 로고 06 Bulls Wordmark Emblem Logo Vector (0) | 2019.12.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