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에서 산이 들어가는 기초자치단체를 가장 많이 보유한 충청남도 서산시 논산시 아산시 금산군 예산군 로고
우리나라의 지명에서 山이 가장 많이 들어가는 기초자치단체를 보유한 충청남도와 관련 기초자치단체들의 자료를 정리합니다.
제가 충청남도의 자료를 중점적으로 정리할 필요성을 느낀 이유가 바로 충청남도의 남동부에 위치한 기초자치단체인 금산군의 마스코트들을 보면서 관련 항목이 나무위키를 비롯한 백과프로그램에 정리되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충청남도의 기초자치단체가 8시 7군으로 도합 열다섯 시군들을 보유하고 있는데요. 충청남도가 거느리고 있는 열다섯 기초자치단체들 중에서 지명 중에 山이 들어가는 기초자치단체가 다섯 시군이나 됩니다. 서산시, 논산시, 아산시, 금산군, 예산군이 그러합니다. 금산군의 마스코트들인 삼신령과 삼동이를 정리하면서 충청남도와 山이 들어가는 기초자치단체들을 이번 게시물을 통해 정리한다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첫 번째 사진과 두 번째 사진이 각각 과거와 현재로 이어지는 충청남도의 문장입니다. 첫 번째 사진이 이전에 사용된 문장이고요. 두 번째 사진이 현재 사용되고 있는 문장입니다. 세 번째 사진이 충청남도의 서산시, 네 번째 사진이 충청남도의 논산시, 다섯 번째 사진이 충청남도의 아산시, 여섯 번째 사진이 충청남도의 금산군, 일곱 번째 사진이 충청남도의 예산군의 문장입니다. 여덟 번째 사진과 아홉 번째 사진이 각각 충청남도 금산군의 마스코트인 삼신령과 삼동이입니다. 열 번째 사진과 열한 번째 사진이 각각 삼신령과 삼동이가 함께 있는 모습들이 되겠습니다.
충청남도의 전신은 당연히 충청도가 되겠고요. 충청도는 1395년 조선 태조 4년에 처음으로 등장하기 시작합니다. 충청도는 다른 이름으로 호서 내지 호서 지방으로 불립니다. 충청도라는 이름은 충주시와 청주시의 앞글자를 딴 이름으로서 관련 도시들이 모두 충청북도에 존재하고 있습니다. 이 부분에서 경상도와 흡사한 면이 있는데 경상도는 경주시와 상주시의 앞글자를 딴 이름으로 만들어졌는데 해당 도시들이 모두 경상북도에 존재하고 있지요. 충청도가 본격적으로 등장한 시기는 앞서 말씀드린 바와 같이 1395년 태조 4년이고요. 현재의 틀이 만들어지는 시기는 태종 이방원의 시대로 접어든 1413년 태종 13년입니다. 태종 13년때 현재 안성시가 본래 충청도였으나 경기도로 이속되고, 대신 경상도의 고을이었던 보은군, 옥천군, 황간군, 영동군이 충청도로 편입합니다. 이러면서 현재와 유사한 충청도의 모습이 만들어지게 되는 것이지요.
이후 몇 차례 반란으로 인해서 명칭이 변경되기를 반복하다가 충청도의 이름은 1895년 6월 23일(윤 5월 1일)에 김홍집-박영효 내각의 제2차 갑오개혁으로 끝맺게 됩니다. 지방관제의 개혁으로 8도제에서 23부제로 개편됐기 때문인데요. 충청도는 23부제 당시 홍주부-공주부-충주부로 나뉩니다. 이때 전라도였던 진산군과 금산군이 전라도의 후신인 전주부, 남원부, 나주부, 제주부가 아닌 충청도의 후신인 공주부에 편입합니다. 현재 금산군이 처음으로 호남에서 호서로 편입된 시기가 바로 23부제로 개편됐던 당시였습니다.
1896년 8월 4일까지 이어지던 23부제가 폐지되고, 1896년 8월 4일부로 23부제에서 13도제로 지방관제가 개편되면서 홍주부-공주부-충주부는 각각 충청남도와 충청북도로 개편됐고요. 현재 도청 소재지라고 할 수 있는 관찰부의 소재지는 충청남도는 공주시로 충청북도는 충주시로 각각 결정됩니다. 23부제에서 13도제로 개편하면서 공주부의 금산군은 전라북도로 편입합니다.
1908년 6월 5일 충청북도의 도청 소재지가 충주시에서 청주시로 이전했고요. 1914년 부군면통폐합이라고 불리는 일제강점기 시절의 행정구역 개편이 진행되면서 충청남도의 평택군이 경기도로 이속됩니다. 부군면통폐합이 진행될 무렵 조선총독부는 당시 전라북도였던 금산군과 진산군을 충청남도로 무주군을 충청북도로, 강원도였던 영월군을 충청북도로 평해군을 경상북도로 이관할 방침이었으나 모종의 이유로 취소됩니다. 1914년 3월 1일부로 전라북도의 금산군과 진산군이 금산군으로, 강원도의 울진군과 평해군이 울진군으로 통폐합됩니다. 1932년에 충청남도의 도청 소재지가 공주시에서 대전시로 이전했습니다.
해방 이후 1962년 박정희 군사정부의 주도로 광역행정구역의 개편을 단행하게 되는데요. 이때 서울특별시ㆍ도ㆍ군ㆍ구의 관할구역 변경에 관한 법률 제1172호에 의거해서 전라북도 금산군이 충청남도로, 강원도였던 울진군이 경상북도로 이속됩니다. 또한, 같은 시기에 전라북도 익산시 황화면은 충청남도 논산시로 편입돼 논산시 관할인 구자곡면과 통합돼 충청남도 논산시 연무읍으로 변경됩니다. 이속되는 날짜는 1963년 1월 1일을 기준으로 하고요.
박정희 군사정부가 이러한 광역행정구역 개편을 추진한 이유가 전라북도였던 금산군과 강원도였던 울진군이 충청도와 경상북도를 파고 들어가는 두입지 형태였기에 각각 충청남도와 경상북도로 이속하면서 충남, 충북, 전북, 강원, 경북 간에 경계선을 일치시키고, 실제 생활권을 완벽하게 반영하며 해당 지역 주민들의 행정 편익을 위한 목적으로 진행했던 것으로 보입니다. 1963년 전라북도의 금산군이 충청남도로 편입하면서 현재와 일치하는 충청도의 모습이 갖춰집니다.
충청남도는 1989년 대전시가 광역시로 승격하고 태안군이 서산시로부터 분군합니다. 2003년 충청남도 직할 계룡출장소가 계룡시로 승격했고요. 2012년 당진군이 당진시로 승격했으며 연기군이 공주시의 일부 지역과 청주시의 일부 지역을 흡수하고 세종특별자치시로 승격하면서 대전시와 연기군이 충청남도의 관할에서 빠지게 됩니다. 2013년에 대전광역시에 위치한 충남도청이 홍성군과 예산군을 걸친 내포신도시로 이전했으며 2023년에 금산군에 충청남도청 남부출장소가 설치됐습니다. 그래서 현재 8시 7군의 모습을 갖췄습니다. 시가 천안시, 공주시, 계룡시, 당진시, 아산시, 논산시, 보령시, 서산시고요. 군은 홍성군, 청양군, 서천군, 예산군, 금산군, 부여군, 태안군입니다.
충청남도 금산군의 마스코트인 삼신령과 삼동이를 정리하면서 지명에 山이 들어가기에 山이 들어가는 서산시, 논산시, 아산시, 금산군, 예산군과 충청남도의 문장도 함께 정리했습니다. 내일은 대전광역시, 세종특별자치시, 충청남도, 충청북도의 연고 구단인 한화 이글스의 엠블럼들을 정리해서 올려놓도록 하겠습니다.
'요청 자료 및 기타 (要請 資料 其他)'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화 이글스 1994-2006 2007-2024 2025 엠블럼 로고 (0) | 2025.02.25 |
---|---|
2025 오사카ㆍ칸사이 엑스포 마스코트 먀쿠먀쿠 로고 2025 OsakaㆍKansai Expo Mascot Myaku-Myaku Logo Vector (0) | 2025.02.20 |
히로시마 썬더즈 오사카 마블러스 엠블럼 (0) | 2025.02.19 |
제이텍트 스팅스 아이치 엠블럼 로고 (0) | 2025.02.14 |
KBO 소년 마스코트 로고 (0) | 2025.02.12 |
2025 오사카ㆍ칸사이 엑스포 마스코트 먀쿠먀쿠 로고 2025 OsakaㆍKansai Expo Mascot Myaku-Myaku Logo Vector
2025년을 맞아 개최될 예정인 오사카ㆍ칸사이 엑스포의 자료를 올려놓습니다.
2025년 4월 13일부터 10월 13일까지 칸사이 지역이 대표 도시인 오사카를 중심으로 오사카ㆍ칸사이 엑스포이 개최될 예정인데요. 오사카ㆍ칸사이 엑스포는 오사카를 중심으로 개최될 등록박람회가 되겠습니다. 1970년 오사카 엑스포에 이어서 무려 55년 만에, 그리고 일본에서 20년 만에 또 다시 등록박람회를 개최하게 됩니다. 오사카 옆에 칸사이가 추가된 이유는 1970년에 개최된 박람회와 혼동을 줄이기 위해서입니다. 나무위키를 비롯한 백과프로그램에 2025 오사카ㆍ칸사이 엑스포의 항목을 둘러보면서 마스코트인 먀쿠먀쿠와 2008년 하계 올림픽 후보지였던 '오사카 올림픽'의 엠블럼이 벡터로 반영되지 않은 것을 확인했고요. 그래서 이번 게시물을 통해서 관련된 자료들을 정리해서 올려놓게 됐습니다.
첫 번째 사진이 2008년 하계 올림픽 후보지였던 오사카 올림픽의 후보지 엠블럼입니다. 두 번째 사진이 2025 오사카ㆍ칸사이 엑스포의 메인 마스코트인 먀쿠먀쿠의 기본형이 되겠습니다.
2008 오사카 올림픽의 후보지 엠블럼과 2025 오사카ㆍ칸사이 엑스포의 메인 마스코트인 먀쿠먀쿠를 함께 올린 이유는 두 번째 단락에서 말씀드렸던 나무위키를 비롯한 백과프로그램에 벡터로 반영되지 않아서였고요. 관련된 자료들을 찾아서 정리할 수 있어서 다행스럽게 생각합니다. 2008년 하계 올림픽은 일본의 오사카가 아닌 중국의 베이징이 선정되면서 중국이 개최하게 됐고요. 2025년 오사카ㆍ칸사이 엑스포는 일본 오사카가 선정되면서 일본이 등록박람회를 개최하게 됐습니다.
2025 오사카ㆍ칸사이 엑스포의 메인 마스코트는 앞서 말씀드렸던 것처럼 먀쿠먀쿠인데요. 세포와 물이 하나가 되어 탄생한 신비로운 생물이라고 하며 정체와 형태를 파악할 수 없을 정도로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는 것이 특징이라고 합니다. 2025 오사카ㆍ칸사이 엑스포의 경우 오사카시의 부지가 부족해서 인공섬인 유메시마에 개최할 예정인데요. 들리는 소식에 의하면 전체 공사의 공정률이 떨어져서 미완성 엑스포로서 반쪽짜리 행사로 전락할 위기에 처해 있다고 합니다. 2025 오사카ㆍ칸사이 엑스포는 행사가 개최되는 만큼 성공적인 행사가 됐으면 하는 마음입니다.
어제 말씀드렸던 2025 오사카ㆍ칸사이 엑스포와 관련된 자료들을 모두 정리했고요. 2008 오사카 올림픽 후보지 엠블럼과 2025 오사카ㆍ칸사이 엑스포의 메인 마스코트인 먀쿠먀쿠의 자료들은 나무위키를 비롯한 백과프로그램에 유용하게 활용하시면 될 듯 싶고요. 제가 내일은 시간의 부족으로 잠시 쉬고, 22일에 일본프로야구와 관련된 자료를 중심으로 정리하도록 하겠습니다.
'요청 자료 및 기타 (要請 資料 其他)'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화 이글스 1994-2006 2007-2024 2025 엠블럼 로고 (0) | 2025.02.25 |
---|---|
우리나라에서 산이 들어가는 기초자치단체를 가장 많이 보유한 충청남도 서산시 논산시 아산시 금산군 예산군 로고 (0) | 2025.02.24 |
히로시마 썬더즈 오사카 마블러스 엠블럼 (0) | 2025.02.19 |
제이텍트 스팅스 아이치 엠블럼 로고 (0) | 2025.02.14 |
KBO 소년 마스코트 로고 (0) | 2025.02.12 |
히로시마 썬더즈 오사카 마블러스 엠블럼
일본의 배구 리그인 SV.리그의 변경된 디자인들이 속속 확보되고 있습니다.
며칠 전에 SV.리그에 참가하고 있는 구단인 히로시마 썬더즈의 엠블럼을 확보하면서 같은 모기업을 두고 있는 오사카 마블러스의 엠블럼까지 함께 정리하게 됐습니다. 히로시마 썬더즈와 오사카 마블러스의 모기업은 바로 일본담배산업주식회사이입니다. 일본담배산업주식회사는 연합군 점령하 일본 시절인 1949년에 설립된 일본전매공사를 기반으로 하고 있습니다. 1985년 민영화되면서 정식으로 주식회사로 전환됐으며 현재는 담배를 비롯하여 음료, 식품, 의약품까지 다양한 분야의 사업 영역들을 거느리고 있습니다. 일본담배산업주식회사를 보면 우리나라의 KT&G와 흡사하지요. 공기업이었다가 민영화로 전환된 것도 그러하며 영위하고 있는 사업의 영역도 그렇고요. 배구단을 운영하는 것까지 똑같을 정도입니다. 다만, KT&G는 여자배구단만 운영하지만, 일본담배산업주식회사는 남자배구단과 여자배구단까지 모두 운영합니다.
첫 번째 사진이 JT 썬더즈 히로시마의 엠블럼이고요. 두 번째 사진이 JT 마블러스의 엠블럼입니다. 세 번째 사진이 히로시마 썬더즈의 엠블럼이고요. 네 번째 사진이 오사카 마블러스의 엠블럼입니다. 세 번째 사진에 있는 히로시마 썬더즈가 이번 게시물의 하이라이트가 되겠습니다. 오사카 마블러스는 작년에 확보하면서 올려놓은 적이 있었는데 이번 게시물을 통해 일본담배산업주식회사가 운영하는 배구단을 모두 정리하기 위한 차원으로 함께 올려 두었습니다.
첫 번째 사진과 두 번째 사진에서처럼 V.리그 시절에는 JT 썬더즈 히로시마와 JT 마블러스로 운영됐습니다만, SV.리그로 전환하면서 두 구단 모두 JT라는 모기업의 명칭을 제거하고, 모기업 대신 지역명인 히로시마와 오사카를 추가하여 각각 히로시마 썬더즈와 오사카 마블러스로 구단의 명칭을 변경하였습니다. 엠블럼도 JT를 제거하고 디자인도 부분적으로 변경을 완료했고요. 일본의 배구 리그와 관련된 자료들이 쉽사리 확보되지 않아서 초조했는데 근래 순차적으로 확보하게 되어서 다행스럽게 생각합니다.
JT 마블러스에 이은 오사카 마블러스는 우리나라의 배구팬들에게 친숙한 구단이기도 합니다. 바로 배구여제 김연경이 일본에 진출했을 당시 활약했던 소속 구단이었고요. 이번 시즌을 끝으로 라스트 댄스를 선언하고 은퇴하게 되는 김연경 선수가 통합 우승과 함께 화려하게 현역 시절을 마무리지을 수 있었으면 하는 마음입니다.
SV.리그와 관련된 히로시마 썬더즈와 오사카 마블러스의 자료는 이 정도로 마무리짓고요. 내일은 2025 오사카-칸사이 엑스포의 마스코트인 먀쿠먀쿠의 자료를 정리해서 올려놓도록 하겠습니다.
'요청 자료 및 기타 (要請 資料 其他)'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리나라에서 산이 들어가는 기초자치단체를 가장 많이 보유한 충청남도 서산시 논산시 아산시 금산군 예산군 로고 (0) | 2025.02.24 |
---|---|
2025 오사카ㆍ칸사이 엑스포 마스코트 먀쿠먀쿠 로고 2025 OsakaㆍKansai Expo Mascot Myaku-Myaku Logo Vector (0) | 2025.02.20 |
제이텍트 스팅스 아이치 엠블럼 로고 (0) | 2025.02.14 |
KBO 소년 마스코트 로고 (0) | 2025.02.12 |
한국투자증권 동원증권 슬로건 TRUE FRIEND 로고 (0) | 2025.02.11 |
제이텍트 스팅스 아이치 엠블럼 로고
일본의 배구 리그인 SV.리그에 참가하고 있는 제이텍트 스팅스 아이치의 엠블럼을 올려놓습니다.
제가 며칠 전에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의 자료를 찾다가 뜬금없이 제이텍트 스팅스 아이치의 엠블럼과 마스코트를 확보하게 됐는데요. 정작 찾기를 원했던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의 자료는 찾지 못했지만, 필요한 자료 중에 하나인 제이텍트 스팅스 아이치의 자료들을 확보하면서 아쉬움을 덜 수 있습니다. 일본의 배구 리그가 SV.리그와 V.리그로 개편되면서 일부 구단들의 디자인이 변경됐는데요. 제이텍트 스팅스 아이치도 이 중에 하나라고 보시면 될 듯 싶습니다.
첫 번째 사진이 제이텍트 스팅스의 엠블럼이고요. 두 번째 사진이 제이텍트 스팅스 아이치의 엠블럼입니다. 마지막 세 번째 사진이 제이텍트 스팅스 아이치의 마스코트인 스팅비가 되겠습니다.
앞서 말씀드린 바와 같이 일본의 배구 리그가 각각 SV.리그와 V.리그로 2024년에 개편됐는데요. 이때 일부 구단들의 명칭과 디자인이 변경됐고, 구단의 명칭에 연고지가 추가된 구단들이 여럿 있습니다. 제이텍트 스팅스 아이치도 이 중에 하나인데요. 2024년을 맞아 구단의 명칭에 연고지를 추가하면서 제이텍트 스팅스에서 제이텍트 스팅스 아이치로 명칭을 변경하였습니다. 또한, 구단의 엠블럼과 마스코트도 디자인을 변경했고요. 전반적으로 디자인이 부드럽게 변한 것이 특징입니다.
제이텍트 스팅스 아이치는 나무위키를 비롯한 백과프로그램에 반영되어야 하고요. 시간이 걸리겠지만, SV.리그와 V.리그의 변경된 자료들도 순차적으로 확보될 것으로 생각합니다. 새롭게 변경된 자료들도 확보하는 대로 별도의 게시물로 정리해서 올려놓을 구상입니다.
내일은 히로시마 도요 카프의 2025년 시즌 슬로건을 정리해서 올려놓을 생각이고요.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의 2025년 시즌 공식 엠블럼과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즈의 홈구장인 베루나 돔의 영문 버젼 등도 순차적으로 올려놓도록 하겠습니다. 내일은 앞서 말씀드린 바와 같이 히로시마 도요 카프의 2025년 시즌 슬로건을 올려놓겠습니다.
'요청 자료 및 기타 (要請 資料 其他)'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 오사카ㆍ칸사이 엑스포 마스코트 먀쿠먀쿠 로고 2025 OsakaㆍKansai Expo Mascot Myaku-Myaku Logo Vector (0) | 2025.02.20 |
---|---|
히로시마 썬더즈 오사카 마블러스 엠블럼 (0) | 2025.02.19 |
KBO 소년 마스코트 로고 (0) | 2025.02.12 |
한국투자증권 동원증권 슬로건 TRUE FRIEND 로고 (0) | 2025.02.11 |
CJ투자증권 굿모닝증권 굿모닝신한증권 대신증권 대신투자신탁운용 브릿지증권 증권업협회 로고 (0) | 2025.02.09 |
KBO 소년 마스코트 로고
어제 말씀드렸던 KBO의 마스코트입니다.
아마 어디서 많이 보셨다고 느끼실 수 있는 자료인데요. 제가 2006년에 발간한 자료를 통해서 확보하게 된 경우였는데 몸의 전신으로 된 형태는 없고, 상반신만 나온 형태입니다. 한국야구위원회를 비롯한 어디에도 구체적인 설명이 나온 곳이 없어서 난감합니다. 자료는 완벽한 형태도 아니고 설명되어 있는 곳이 없어서 난처한 입장입니다.
다만, 시기적으로 추정할 수 있는 건 2012년까지 한국야구위원회가 공식적으로 발간한 자료들을 통해서 쉽게 확인할 수 있는 정도가 아닐까 싶습니다. 일전에 올렸던 J리그의 마스코트들인 J리그킹과 미스터 피치는 일본 현지의 위키백과를 거쳐 J리그의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확인할 수 있었는데요. 이번 KBO의 마스코트는 웨이백머신 등을 통해서 확인하려고 해도 접속이 어려운 여건까지 겹치면서 개운하지 않습니다.
오른손에는 야구 배트를 들고, 왼속으로 V를 그리는 소년이 해맑게 웃는 모습과 대조적으로 KBO의 공식 모자를 깊게 눌러쓰면서 다른 한편으로 무섭다는 생각도 듭니다. 마치 유격훈련의 유격조교가 금방 떠오를 정도입니다.
KBO의 마스코트에 대해 전신의 모습을 확보하게 되면 별도의 게시물로 정리할 생각이고요. 이름을 비롯해 구체적인 신상을 알게 되면 함께 알려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내일은 한신 타이거스의 과거를 추억할 수 있는 2004년 슬로건을 정리해서 올려놓도록 하겠습니다.
'요청 자료 및 기타 (要請 資料 其他)' 카테고리의 다른 글
히로시마 썬더즈 오사카 마블러스 엠블럼 (0) | 2025.02.19 |
---|---|
제이텍트 스팅스 아이치 엠블럼 로고 (0) | 2025.02.14 |
한국투자증권 동원증권 슬로건 TRUE FRIEND 로고 (0) | 2025.02.11 |
CJ투자증권 굿모닝증권 굿모닝신한증권 대신증권 대신투자신탁운용 브릿지증권 증권업협회 로고 (0) | 2025.02.09 |
두산 베어스 마스코트 철웅이 2010 2024 홈 유니폼 원정 유니폼 활용 버젼 2025 시즌 워드마크 엠블럼 로고 (0) | 2025.01.25 |
한국투자증권 동원증권 슬로건 TRUE FRIEND 로고
아직 정리하지 않았던 증권사인 한국투자증권과 동원증권의 자료들을 마무리짓습니다.
제가 이번 게시물을 통해 올려놓은 한국투자증권은 현재가 아닌 과거에 사용된 자료에 해당하고요. 동원증권은 2003년에 발간한 자료를 통해서 확보했습니다. 동원증권이 2003년에 발간한 자료를 통해서 확보했지요. 한국투자증권과 동원증권 모두 동원그룹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자료들이라 이번 게시물을 통해서 정리하게 됐습니다.
첫 번째 사진이 한국투자증권의 구형 CI이고요. 두 번째 사진이 동원증권의 CI입니다. 마지막 세 번째 사진이 동원증권의 시절 슬로건인 TRUE FRIEND가 되겠습니다.
먼저, 한국투자증권의 역사에 대해서 말씀드려야 할 것 같습니다. 한국투자증권은 1974년 7월에 한국투자신탁으로 설립됐고요. 2000년 6월 한국투자신탁에서 한국투자신탁증권으로 사명을 변경했고요. 2000년 7월 정부로부터 증권사의 인가를 받아 정식으로 증권사로 업종을 변경합니다. 2003년 6월 한국투자신탁증권에서 한국투자증권으로 사명을 변경합니다. 제가 첫 번째 사진으로 올려놓은 한국투자증권의 자료가 바로 2003년 6월에 사명을 변경해서 적용한 CI가 되겠습니다. 그리고, 2005년 동원그룹으로부터 계열분리가 된 동원금융지주가 한국투자증권을 인수하면서 동원그룹의 계열사로 편입된 후 동원증권을 역합병하면서 존속 법인을 한국투자증권으로 정합니다.
다음으로 동원증권의 역사에 대해서도 간략하게 말씀드릴 필요가 있는데요. 동원증권은 1982년에 동원그룹이 한신증권을 인수하면서부터 역사가 시작됩니다. 동원그룹이 금융업으로 사업의 영역을 확장하기 위해서 1982년에 한신증권을 인수하게 된 것이고요. 한신증권으로 지속적으로 운영하면서 1993년에 증권감독원으로부터 최우수 증권사로 선정되기도 했으며 1995년에 동원증권으로 사명을 변경합니다. 1998년 SBS 8 뉴스때 각종 경제지표와 주식시장 관련 자료를 제공하면서 인지도를 본격적으로 높이기 시작했고요. 2003년 동원그룹 김재철 회장의 장남인 김남구 회장이 동원금융지주를 설립하게 되면서 주식시장에서 상장을 폐지합니다. 이듬해인 2004년 12월 13일 동원그룹으로부터 계열분리를 하기에 이릅니다. 2005년에 동원금융지주가 한국투자증권을 인수한 뒤에 동원증권이 역합병되면서 동원증권의 역사는 소멸됩니다. 현재는 한국투자금융지주의 한국투자증권으로 역사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동원그룹도 장남인 김남구 회장이 자연스럽게 금융 부문을 분가하여 한국투자금융지주를 이끌게 됐고요. 차남인 김남정 회장이 동원그룹을 이어 받아서 식품을 중심으로 이끌고 있습니다.
동원증권에 대해서 한 가지를 말씀드리면, 아이스하키와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바로 동원증권이 동원드림스 아이스하키단의 모기업이었고요. 2003년까지 동원드림스 아이스하키단이 운영됐는데 앞서 말씀드린 2003년을 끝으로 해체됩니다. 동원드림스 아이스하키단의 자료도 요청을 받았습니다만, 시기적으로 워낙 오래돼서 찾는 데 어려움이 있는 게 현실입니다. 동원드림스 아이스하키단의 자료를 확보하면 별도의 게시물로 정리하도록 하겠습니다.
한국투자증권의 구형 CI를 확보하면서 올려놓게 되었고요. 동시에 동원증권의 CI가 나무위키를 비롯한 백과프로그램에 자작된 형태로 적용되어 있어서 이번 게시물에 동원증권의 자료를 올려놓았습니다. 자작된 형태라는 게 한 유저분이 일러스트레이터를 이용해서 이미지를 보고 툴을 이용해서 딴 형태이지요. 마침 제가 2003년 동원증권이 발간한 자료를 통해서 CI를 확보하면서 올려놓았다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한국투자증권의 CI는 나무위키를 비롯한 백과프로그램에 유용하게 활용하시면 될 듯 싶고요. 동원증권의 CI도 나무위키를 비롯한 백과프로그램에 제가 확보한 자료로 수정해 주셨으면 하는 마음입니다. 예전 자료를 정리해서 올려놓을 수 있어서 다행스럽게 생각합니다. 내일은 KBO의 소년 마스코트를 정리해서 올려놓을까 합니다. 이름을 모르겠는데 보시면 어디서 많이 봤다고 느끼실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합니다. 내일은 간만에 KBO의 자료를 정리해서 올려놓도록 하겠습니다.
'요청 자료 및 기타 (要請 資料 其他)'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이텍트 스팅스 아이치 엠블럼 로고 (0) | 2025.02.14 |
---|---|
KBO 소년 마스코트 로고 (0) | 2025.02.12 |
CJ투자증권 굿모닝증권 굿모닝신한증권 대신증권 대신투자신탁운용 브릿지증권 증권업협회 로고 (0) | 2025.02.09 |
두산 베어스 마스코트 철웅이 2010 2024 홈 유니폼 원정 유니폼 활용 버젼 2025 시즌 워드마크 엠블럼 로고 (0) | 2025.01.25 |
2008 제89회 전라남도 전국체육대회 2019 제100회 서울특별시 전국체육대회 엠블럼 로고 (0) | 2025.01.16 |
CJ투자증권 굿모닝증권 굿모닝신한증권 대신증권 대신투자신탁운용 브릿지증권 증권업협회 로고
어제 말씀드렸던 증권사와 관련한 자료들을 정리해서 올려놓습니다.
증권사와 관련한 자료들은 작년부터 알음알음 수집하던 게 제법 됐던 터라 정리해서 올려놓게 되었고요. 마침 요청이 들어온 자료들이 있어서 이번 게시물을 통해서 한꺼번에 정리하게 됐습니다. 최근에 있는 자료들은 전부 다운로드하시기가 용이하기 때문에 과거에 있던 자료들을 중점적으로 올려놓았다고 보시면 될 듯 싶습니다.
첫 번째 사진이 CJ투자증권의 CI이고요. 두 번째 사진이 굿모닝증권의 CI입니다. 세 번째 사진이 굿모닝신한증권의 CI입니다. 네 번째 사진이 대신증권의 구형 CI이고요. 다섯 번째 사진이 대신증권과 같은 계열인 대신투자신탁운용의 구형 CI이입니다. 여섯 번째 사진이 브릿지증권의 CI입니다. 마지막 일곱 번째 사진이 증권업협회의 자료가 되겠습니다.
먼저 CJ투자증권은 식품으로 익히 알려진 CJ그룹의 증권사였고요. 이후 현대중공업그룹에 매각되면서 하이투자증권으로 사명이 변경된 후에 DGB금융그룹에 인수되어 iM증권으로 사명을 다시 변경하여 현재에 이르고 있습니다. 두 번째 사진과 세 번째 사진이 각각 신한투자증권의 전신인 굿모닝증권과 굿모닝신한증권입니다. 먼저 굿모닝증권은 전신이 바로 쌍용그룹의 증권 계열사였던 쌍용투자증권이었습니다. 그런데, 쌍용그룹이 쌍용자동차에 무리할 정도로 투자하고, IMF의 위기가 찾아오면서 자금난으로 인하여 쌍용투자증권을 1998년 미국의 H&Q AP 사에 매각하면서 1999년 사명을 굿모닝증권으로 변경하게 됩니다. 이후 2002년 신한금융지주가 인수하면서 신한증권과 합병하면서 굿모닝신한증권으로 역사가 이어집니다.
대신증권은 나무위키를 비롯한 백과프로그램에 해당 자료가 있습니다만, 대신투자신탁운용과 함께 확보하기도 해서 정리하는 차원에서 올려놓았고요. 여섯 번째 사진에 있는 브릿지증권은 현재 상상인증권의 이전 명칭이고요. 제가 올려놓은 자료가 바로 2002년부터 2006년까지 사용됐습니다. 증권업협회도 CJ투자증권을 찾을 때 뜻하지도 않게 함께 확보된 자료라 정리해서 올려놓게 된 경우입니다.
요청이 들어온 자료가 브릿지증권이었고요. 브릿지증권뿐만 아니라 굿모닝증권, 굿모닝신한증권 등 신한투자증권의 예전 자료들도 작년 연말에 확보했는데요. 마침 요청이 들어오기도 했고, 정리할 때 함께 올려놓게 되었습니다.
필요하신 자료들을 다운로드하셔서 사용하시면 되겠고요. 관련된 자료들은 나무위키를 비롯한 백과프로그램에 유용하게 활용됐으면 하는 마음입니다. 증권사와 관련해서 추후에 별도로 정리할 자료가 있을 예정이고요. 내일은 간만에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즈의 자료를 정리해서 올려놓을 생각입니다. 며칠 전에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즈의 2025년 슬로건을 확보했고요. 그래서 내일은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즈의 2025년 슬로건을 정리해서 올려놓도록 하겠습니다.
'요청 자료 및 기타 (要請 資料 其他)' 카테고리의 다른 글
KBO 소년 마스코트 로고 (0) | 2025.02.12 |
---|---|
한국투자증권 동원증권 슬로건 TRUE FRIEND 로고 (0) | 2025.02.11 |
두산 베어스 마스코트 철웅이 2010 2024 홈 유니폼 원정 유니폼 활용 버젼 2025 시즌 워드마크 엠블럼 로고 (0) | 2025.01.25 |
2008 제89회 전라남도 전국체육대회 2019 제100회 서울특별시 전국체육대회 엠블럼 로고 (0) | 2025.01.16 |
안산 OK금융그룹 읏맨 2020 2021 엠블럼 로고 (0) | 2025.01.06 |
두산 베어스 마스코트 철웅이 2010 2024 홈 유니폼 원정 유니폼 활용 버젼 2025 시즌 워드마크 엠블럼 로고
요청을 받았던 두산 베어스의 마스코트인 철웅이의 다양한 모습들과 새롭게 디자인된 두산 베어스의 공식 워드마크와 엠블럼을 올려놓습니다.
이번 달인 1월 초에 두산 베어스의 마스코트인 철웅이의 홈 유니폼과 원정 유니폼의 활용 버젼과 2025년을 맞아 새롭게 디자인되는 두산 베어스의 워드마크와 엠블럼, 심볼과 마스코트에 대해서 요청을 받았는데요. 그래서 두산 베어스의 마스코트인 철웅이는 2010년부터 2024년까지 사용된 유니폼들을 착용하고 있는 모습들을 작년 연말에 확보하는 데 성공했고요. 두산 베어스의 2025년 디자인들은 이달 초에 워드마크와 엠블럼에 한해서 확보했습니다. 두산 베어스는 2025년을 맞아 새롭게 디자인들을 리뉴얼했는데요. 심볼, 워드마크, 엠블럼이 모두 변경됐는 데 반해 철웅이는 엄청난 사랑과 인기를 바탕으로 앞으로도 쭉 이어지게 되었습니다. 다만, 디자인이 2010년부터 2024년까지 사용된 자료와 다르게 강인함에서 귀여운 모습으로 변경됐습니다. 심볼과 마스코트인 철웅이의 새롭게 디자인된 자료는 추후 확보하는 대로 별도의 게시물로 정리하도록 하겠습니다.
첫 번째 사진과 두 번째 사진이 2010년부터 2024년까지 사용된 두산 베어스의 홈 유니폼을 착용하고 있는 철웅이의 기본형들이고요. 각각 왼쪽과 오른쪽으로 향하는 시선의 방향에 따라 생기는 차이입니다. 세 번째 사진, 네 번째 사진도 상기한 시기와 동일한 시기에 사용된 두산 베어스의 홈 유니폼을 착용하고 있는 철웅이의 타격과 투구 활용 버젼입니다. 각각의 차이는 세 번째 사진이 타격 형태이며 네 번째 사진이 투구 형태입니다. 다섯 번째 사진과 여섯 번째 사진이 홈 유니폼과 같은 시기에 사용된 두산 베어스의 원정 유니폼을 착용하고 있는 철웅이의 타격과 투구 활용 버젼입니다. 각각의 차이는 다섯 번째 사진이 타격 형태이며 여섯 번째 사진이 투구 형태입니다.
일곱 번째 사진과 여덟 번째 사진이 각각 올해를 맞아 새롭게 디자인된 두산 베어스의 2025년 워드마크들입니다. 일곱 번째 사진이 배경 색상이 적용되지 않은 기본형이며 여덟 번째 사진이 배경 색상이 적용된 활용형입니다. 마지막 아홉 번째 사진이 두산 베어스의 2025년 엠블럼입니다.
철웅이는 KBO의 대표적인 마스코트로 봐도 손색없다고 자부합니다. 많은 인기를 얻고 있어서 일본프로야구로 치면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의 츠바쿠로에 비견될 만한다고 생각합니다. 마스코트가 구단의 인기와 지위를 끌어올릴 수 있다는 걸 KBO에서 철웅이가 몸소 보여 준다고 판단합니다.
2025년에 디자인된 워드마크와 엠블럼들은 이번 달 15일 무렵에 확보했습니다. 워드마크와 엠블럼 모두 흰색 테두리가 적용된 형태입니다. 특히, 두산 베어스의 2025년 워드마크와 엠블럼은 크게 기대하지 않았던 상태에서 확보했던 자료라 훨씬 기뻤습니다. 심볼, 마스코트인 철웅이와 철웅이 엠블럼을 확보하지 못한 점이 다소 아쉽습니다만, 심볼, 마스코트인 철웅이와 철웅이 엠블럼도 확보할 수 있도록 각별히 신경쓰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제가 지금껏 확보했던 두산 베어스의 역대 엠블럼들은 내달에 별도의 게시물로 정리해서 올려놓을 예정입니다. 시기는 1999년부터 2025년에 이릅니다.
관련된 자료들은 나무위키를 비롯한 백과프로그램에 활용하시면 될 듯 싶고요. 내일은 치바 롯데 마린즈의 2010년부터 2013년까지 사용된 홈 유니폼, 비지타 유니폼, 서드 유니폼을 정리해서 올려놓도록 하겠습니다.
'요청 자료 및 기타 (要請 資料 其他)'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투자증권 동원증권 슬로건 TRUE FRIEND 로고 (0) | 2025.02.11 |
---|---|
CJ투자증권 굿모닝증권 굿모닝신한증권 대신증권 대신투자신탁운용 브릿지증권 증권업협회 로고 (0) | 2025.02.09 |
2008 제89회 전라남도 전국체육대회 2019 제100회 서울특별시 전국체육대회 엠블럼 로고 (0) | 2025.01.16 |
안산 OK금융그룹 읏맨 2020 2021 엠블럼 로고 (0) | 2025.01.06 |
쌍방울 레이더스의 추억이 깃든 무주리조트 1987-1998 1998-2005 로고 (0) | 2025.01.05 |
2008 제89회 전라남도 전국체육대회 2019 제100회 서울특별시 전국체육대회 엠블럼 로고
요청을 받았던 자료부터 정리해서 올려놓습니다.
전국체육대회와 관련된 자료를 요청을 받았는데요. 다른 자료들보다 요청을 받았던 자료들인 전국체육대회와 관련된 자료를 먼저 정리해서 올려놓은 다음에 일본프로야구와 관련된 자료들이 이어질 예정입니다. 요청을 받았던 자료들은 2008년에 있었던 제89회 전라남도 전국체육대회와 2019년에 있었던 제100회 서울특별시 전국체육대회입니다.
첫 번째 사진이 2008년에 있었던 제89회 전라남도 전국체육대회의 공식 엠블럼입니다. 두 번째 사진이 2019년에 있었던 제100회 서울특별시 전국체육대회의 공식 엠블럼이 되겠습니다.
먼저, 2008년에 있었던 제89회 전라남도 전국체육대회는 2007년에 펼쳐졌던 제88회 광주광역시 전국체육대회와 더불어 2년 연속으로 광주광역시/전라남도 권역에서 펼쳐진 대회였습니다. 2008년 10월 10일부터 2008년 10월 16일까지 펼쳐졌습니다. 개최지는 당연히 전라남도 일원이며 주개최지는 전라남도 여수시였습니다. 여수 진남종합운동장이 주경기장이었지요. 1위는 경기도, 2위는 서울특별시, 3위는 개최지인 전라남도가 각각 차지했습니다.
다음으로 2019년에 있었던 제100회 서울특별시 전국체육대회는 2019년 10월 4일부터 2019년 10월 10일까지 펼쳐졌고요. 제1회 전국체육대회가 서울에서 개최된 만큼 제100회라는 상징성에 걸맞게 개최지가 서울특별시로 일찌감치 선정된 경우였습니다. 2019년 이전에 서울특별시에서 전국체육대회가 개최한 건 1986년으로 33년 전이었으며 단독 개최지를 기준으로 할 때는 1981년 이후 무려 38년 만이었습니다. 다문화가족과 외국인들도 참가했고요. 개최지는 당연히 서울특별시였지만, 사격과 수영 종목은 각각 대구광역시와 경상북도 김천시에서 대회를 진행했습니다.
관련된 자료들을 나무위키를 비롯한 백과프로그램에 활용하시면 될 듯 싶고요. 요청하신 자료는 다운로드하셔서 유용하게 사용하시면 되겠습니다. 시간의 부족으로 블로그를 방치하는 동안 히로시마 도요 카프의 마스코트들인 카프 보야와 슬라이리의 2023년 홈 유니폼 기본형을 모두 확보했고요.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즈의 마스코트인 브리스키 더 베어의 2022년 홈 유니폼 기본형까지 모두 확보했습니다. 관련된 내용들을 순차적으로 정리해서 올려놓도록 하겠습니다.
요즘 시간이 많이 부족합니다. 제가 21일까지 블로그에 자료들을 정리해서 올려놓기가 어려울 듯 싶고요. 22일부터 27일까지 시간이 되기 때문에 이 기간에 집중적으로 히로시마 도요 카프,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즈,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의 자료를 중심으로 정리해서 올려놓을 생각입니다. 22일부터 일본프로야구를 중심으로 관련된 자료들을 정리해서 올려놓도록 하겠습니다.
'요청 자료 및 기타 (要請 資料 其他)' 카테고리의 다른 글
CJ투자증권 굿모닝증권 굿모닝신한증권 대신증권 대신투자신탁운용 브릿지증권 증권업협회 로고 (0) | 2025.02.09 |
---|---|
두산 베어스 마스코트 철웅이 2010 2024 홈 유니폼 원정 유니폼 활용 버젼 2025 시즌 워드마크 엠블럼 로고 (0) | 2025.01.25 |
안산 OK금융그룹 읏맨 2020 2021 엠블럼 로고 (0) | 2025.01.06 |
쌍방울 레이더스의 추억이 깃든 무주리조트 1987-1998 1998-2005 로고 (0) | 2025.01.05 |
미야기 스타디움 네이밍 히토메보레 스타디움 미야기 큐 앤드 에이 스타디움 미야기 로고 (4) | 2024.12.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