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리안츠 스타디움 CBUS 슈퍼 스타디움 스킬드 파크 로고
어제 말씀드린 바와 같이 알리안츠 스타디움, CBUS 슈퍼 스타디움과 스킬드 파크의 자료를 정리합니다.
알리안츠 스타디움, CBUS 슈퍼 스타디움과 스킬드 파크도 나무위키를 비롯한 백과프로그램에 정리되지 않아서 이번 게시물을 통해 올려놓게 되었습니다. 알리안츠 스타디움, CBUS 슈퍼 스타디움과 스킬드 파크도 축구와 럭비가 동시에 개최되는 다목적 경기장들이고요. 호주, 뉴질랜드를 중심으로 하는 경기장들의 자료들이 시나브로 정리되는 것을 느낍니다. 호주, 뉴질랜드뿐만 아니라 캐나다까지도 영역을 넓힐 생각입니다. 벡터로 반영되지 않은 자료들을 중점적으로 올려놓을 계획입니다.
첫 번째 사진이 알리안츠 스타디움의 엠블럼이고요. 두 번째 사진이 CBUS 슈퍼 스타디움의 엠블럼입니다. 마지막 세 번째 사진이 스킬드 파크의 엠블럼이 되겠습니다.
먼저, 알리안츠 스타디움은 본래 명칭이 시드니 풋볼 스타디움입니다. 1986년에 착공하여 1988년 1월 24일에 개장되었고요. 앞서 말씀드린 바와 같이 축구와 럭비가 동시에 개최되는 다목적 경기장입니다. 경기장의 노후화로 인하여 2019년 9월 18일에 철거했습니다. 2020년 4월 15일 철거한 자리에 경기장을 재건축하고 착공하여 2022년 8월 28일에 완공됐습니다. 독일을 기반으로 하는 보험, 금융 서비스 그룹인 알리안츠가 구장의 명명권을 취득하면서 알리안츠 스타디움의 이름으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다음으로 CBUS 슈퍼 스타디움의 본래 명칭은 로비나 스타디움입니다. 로비나라는 이름을 보면서 일본 J리그에 참가하고 있는 세레소 오사카가 떠오릅니다. 세레소 오사카의 여성 마스코트가 마담 로비나인데요. 메인 마스코트인 로비의 어머니이고, 남편을 상부한 미망인으로 설정되어 있습니다. 일본 현지에서 세레소 오사카 팬들을 중심으로 로비나 여사님으로 불립니다. 칸사이 지역의 아주머니들을 모티브로 디자인한 마스코트입니다. 로비나 스타디움은 2006년에 착공하여 2008년 2월에 완공하여 개장한 경기장입니다. 로비나 스타디움은 구장이 완공되기 전인 2006년 9월 27일 호주의 아웃소싱 업체인 스킬드가 구장의 명명권을 취득하면서 구장의 전반적인 단지를 스킬드 파크로 명명했고요. 로비나 스타디움도 CBUS 슈퍼 스타디움으로 명명돼서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습니다. 그래서 CBUS 슈퍼 스타디움과 스킬드 파크를 함께 올려놓은 이유입니다. 앞서 말씀드린 바와 같이 CBUS 슈퍼 스타디움도 축구와 럭비가 동시에 개최되는 다목적 경기장입니다.
알리안츠 스타디움, CBUS 슈퍼 스타디움, 스킬드 파크의 자료들을 이쯤에서 마무리짓고요. 이번 게시물의 3월의 마지막 게시물이 되겠습니다. 제가 31일과 4월 3일 정도까지 바쁜 이유로 블로그에 자료들을 올려놓기가 어렵습니다. 4월 4일 무렵에 기존에 확보된 예전 자료은 삼성 Fn.com 배 2000, 2001 프로야구의 엠블럼과 삼성증권배 2002 프로야구의 엠블럼을 정리해서 올려놓을 예정이고요. 아산 러시앤캐시 드림식스, 쌍방울 레이더스의 마스코트인 방울이의 달리기 활용 버젼, 워드마크가 빠진 해태 타이거즈의 마스코트인 호돌이의 기본형, 1996년에 디자인된 롯데 자이언츠의 거인 마스코트 자료들, 2024년에 리뉴얼된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의 마스코트들인 클러치와 클러치나, 스위치, 치바 롯데 마린즈의 2025년 공식 슬로건, 1999년에 디자인된 두산 베어스의 마스코트들인 반달가슴곰과 회색곰의 기본형 자료들과 함께 호주, 뉴질랜드, 캐나다의 경기장 자료들을 순차적으로 정리해서 올려놓도록 하겠습니다. 4월 4일 KBO의 2000년대 초반 자료들로 4월을 열겠습니다.
'요청 자료 및 기타 (要請 資料 其他)'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선콥 스타디움 로고 옵터스 스타디움 로고 (0) | 2025.03.29 |
---|---|
AAMI 파크 GIO 스타디움 캔버라 로고 (0) | 2025.03.28 |
쿠퍼스 스타디움 2013-2023 2024-현재 로고 (0) | 2025.03.27 |
스타디움 오스트레일리아 텔스트라 스타디움 ANZ 스타디움 ACCOR 스타디움 로고 (0) | 2025.03.24 |
두산 베어스 1999-2009 2010-2024 2025-현재 엠블럼 로고 모음 (0) | 2025.02.27 |
선콥 스타디움 로고 옵터스 스타디움 로고
호주의 경기장과 관련한 자료들이 이어집니다.
이번 게시물의 주제로 선콥 스타디움과 옵터스 스타디움을 선정했습니다. 선콥 스타디움과 옵터스 스타디움도 나무위키를 비롯한 백과프로그램에 관련한 자료들이 벡터로 반영되지 않아서 올려놓게 된 경우입니다. 이번 달에 호주의 경기장과 관련하여 확보된 자료들을 중점적으로 올려놓을 계획이고요. 이번 달 안으로 모두 정리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다음달까지도 순차적으로 확보되는 대로 정리할 계획을 갖고 있습니다.
첫 번째 사진이 2003년부터 2018년까지 사용된 선콥 스타디움의 엠블럼이고요. 두 번째 사진이 2018년에 새롭게 리뉴얼되어 현재까지 사용되고 있는 선콥 스타디움의 엠블럼입니다. 마지막 세 번째 사진이 옵터스 스타디움의 엠블럼이 되겠습니다.
먼저, 선콥 스타디움은 본래 랭 파크이며 지역의 명칭을 붙여 브리즈번 스타디움으로 호명되기도 합니다. 1911년에 착공하여 1914년에 완공한 유서 깊은 경기장이고요. 축구와 럭비가 동시에 개최되는 다목적 경기장입니다. 랭 파크로 명칭이 정한 이유는 호주에 공화주의의 큰 영향을 끼친 장로교 성직자이자 작가이며 정치인인 존 던모어 랭의 이름을 땄기 때문입니다. 1994년에 퀸즐랜드 재정 협회를 통해 선콥-멧웨이 유한회사가 구장의 명명권을 취득해서 2002년까지 선콥 멧웨이 스타디움으로 불리게 됐습니다. 2003년에는 호주의 은행, 보험, 자산운용 등 금융 전문 그룹인 선콥이 명명권을 취득하면서 2003년부터 현재까지 선콥 스타디움으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2003년에 선콥 스타디움으로 명명권이 정리되면서 2018년까지 디자인이 사용되다가 2018년 연말에 디자인이 한 차례 리뉴얼을 거친 뒤에 현재에 이르고 있습니다.
다음으로 옵터스 스타디움은 본래 명칭이 퍼스 스타디움입니다. 2014년에 착공하여 2017년 12월에 완공한 경기장입니다. 2018년 1월 21일에 정식으로 구장을 개장했고요. 럭비, 축구, 크리켓이 개최되는 다목적 경기장입니다. 구장이 완공되기 전인 2017년 11월 8일 호주에서 두 번째로 큰 규모를 자랑하는 이동통신 업체인 옵터스가 구장의 명명권을 취득하면서 옵터스 스타디움으로 명명됩니다. 계약 기간은 10년에 이르며 계약의 금전적인 가치는 5,000만 호주 달러에 이른다고 합니다. 옵터스 스타디움은 호주에서 세 번째로 많은 관중을 수용할 수 있는 규모를 자랑합니다.
선콥 스타디움과 옵터스 스타디움의 자료들을 이쯤에서 마무리짓고요. 내일은 알리안츠 스타디움과 CBus 슈퍼 스타디움의 자료를 중심으로 정리하도록 하겠습니다.
'요청 자료 및 기타 (要請 資料 其他)'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알리안츠 스타디움 CBUS 슈퍼 스타디움 스킬드 파크 로고 (0) | 2025.03.30 |
---|---|
AAMI 파크 GIO 스타디움 캔버라 로고 (0) | 2025.03.28 |
쿠퍼스 스타디움 2013-2023 2024-현재 로고 (0) | 2025.03.27 |
스타디움 오스트레일리아 텔스트라 스타디움 ANZ 스타디움 ACCOR 스타디움 로고 (0) | 2025.03.24 |
두산 베어스 1999-2009 2010-2024 2025-현재 엠블럼 로고 모음 (0) | 2025.02.27 |
AAMI 파크 GIO 스타디움 캔버라 로고
호주의 축구장과 관련한 자료가 이어집니다.
어제 말씀드렸던 바와 같이 이번 게시물에서 AAMI 파크와 GIO 스타디움 캔버라의 자료를 올려놓게 되었고요. AAMI 파크와 GIO 스타디움 캔버라 모두 나무위키를 비롯한 백과프로그램에 벡터 자료들이 반영되어 있지 않아서 정리하게 된 자료들입니다. 호주의 축구장과 호주의 럭비장과 관련한 자료들이 벡터로 반영되지 않은 항목들이 여럿 있어서 관련하여 이른 시일 내에 마무리지을 생각입니다.
첫 번째 사진이 AAMI 파크의 엠블럼이고요. 두 번째 사진이 GIO 스타디움 캔버라의 엠블럼입니다. 마지막 세 번째 사진이 슬로건이 함께 반영된 GIO 스타디움 캔버라의 엠블럼 풀 버젼이 되겠습니다.
먼저, AAMI 파크는 본래 정식 명칭이 멜버른 렉탱귤러 스타디움입니다. 2007년에 착공하여 2010년에 완공하여 같은 해인 5월 7일에 정식으로 개장합니다. 총 30,050명의 관중들을 수용할 수 있는 규모를 갖추고 있고요. 축구장과 럭비장을 겸비하는 다목적 경기장이기도 합니다. 구장의 개장과 동시에 호주의 손해보험사인 AAMI가 2010년 3월 16일에 명명권을 취득하면서 AAMI 파크로 명칭이 결정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습니다. AAMI의 명명권 계약은 2010년 3월 16일에 체결된 이래로 두 차례가 연장됐으며 2026년까지 이어진 뒤에 만료될 예정에 있습니다.
다음으로 GIO 스타디움 캔버라는 본래 정식 명칭이 캔버라 스타디움입니다. 1977년 10월 29일에 개장한 오래된 역사를 지닌 경기장이고요. 럭비 경기가 주로 개최됩니다만, 간간히 축구 경기도 개최되기 때문에 AAMI 파크처럼 다목적 경기장으로 보셔도 무방할 듯 싶습니다. 총 25,011명의 관중들을 수용할 수 있는 규모를 갖추고 있고요. 2014년 1월 호주의 손해보험사인 GIO가 구장의 명명권을 취득하면서 GIO 스타디움 캔버라로 명칭이 결정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습니다. 구장의 새로운 영상 스크린이 노후화된 기존 영상 스크린을 대체하고 2020년 3월에 설치됐습니다.
AAMI 파크와 GIO 스타디움 캔버라의 자료들을 이쯤에서 마무리짓고요. 내일은 호주의 럭비장인 선콥 스타디움의 자료들을 올려놓도록 하겠습니다.
'요청 자료 및 기타 (要請 資料 其他)'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알리안츠 스타디움 CBUS 슈퍼 스타디움 스킬드 파크 로고 (0) | 2025.03.30 |
---|---|
선콥 스타디움 로고 옵터스 스타디움 로고 (0) | 2025.03.29 |
쿠퍼스 스타디움 2013-2023 2024-현재 로고 (0) | 2025.03.27 |
스타디움 오스트레일리아 텔스트라 스타디움 ANZ 스타디움 ACCOR 스타디움 로고 (0) | 2025.03.24 |
두산 베어스 1999-2009 2010-2024 2025-현재 엠블럼 로고 모음 (0) | 2025.02.27 |
쿠퍼스 스타디움 2013-2023 2024-현재 로고
며칠 전에 말씀드렸던 호주와 관련된 자료는 쿠퍼스 스타디움입니다.
호주의 축구장과 관련된 자료를 며칠 전에 이어서 이번 게시물을 통해 정리하게 됐고요. 호주의 축구장과 관련한 요청이 있어서 해당하는 자료들을 올려놓게 됐습니다. 호주의 축구장은 지난번에 올렸던 ACCOR 스타디움을 필두로 이번 게시물의 쿠퍼스 스타디움, GIO 스타디움 캔버라, 선콥 스타디움까지 확보했습니다. 호주의 축구장과 관련한 자료들은 아직 확보되지 않은 자료들을 중점적으로 찾아서 정리할 계획입니다.
첫 번째 사진이 2013년부터 2023년까지 사용된 쿠퍼스 스타디움의 엠블럼이고요. 두 번째 사진이 2024년에 새롭게 리뉴얼되어 현재까지 사용되고 있는 쿠퍼스 스타디움의 가로형 엠블럼입니다. 마지막 세 번째 사진이 2024년에 새롭게 리뉴얼되어 현재까지 사용되고 있는 쿠퍼스 스타디움의 세로형이자 기본형 엠블럼이 되겠습니다.
쿠퍼스 스타디움은 1960년에 완공하여 개장한 축구장이고요. 애들레이드 유나이티드 FC의 홈구장입니다. 1997년부터 2000년 사이에 구장을 개조하고 보수하여 재개장하였습니다. 2023년에 구장을 보수하고, 리모델링하는 작업을 다시 거쳤습니다. 구장의 규모는 16,500명의 관중을 수용할 수 있습니다. 쿠퍼스 스타디움의 본래 명칭은 하인드마시 스타디움인데요. 2013년에 쿠퍼스 맥주가 구장의 명명권을 취득하면서 2013년부터 현재까지 쿠퍼스 스타디움으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며칠 전에 말씀드렸던 것처럼 호주와 관련한 축구장의 자료를 이어서 정리했고요. 내일은 GIO 스타디움 캔버라와 AAMI 파크의 자료들을 정리해서 올려놓도록 하겠습니다.
'요청 자료 및 기타 (要請 資料 其他)'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선콥 스타디움 로고 옵터스 스타디움 로고 (0) | 2025.03.29 |
---|---|
AAMI 파크 GIO 스타디움 캔버라 로고 (0) | 2025.03.28 |
스타디움 오스트레일리아 텔스트라 스타디움 ANZ 스타디움 ACCOR 스타디움 로고 (0) | 2025.03.24 |
두산 베어스 1999-2009 2010-2024 2025-현재 엠블럼 로고 모음 (0) | 2025.02.27 |
한화 이글스 1994-2006 2007-2024 2025-현재 엠블럼 로고 (0) | 2025.02.25 |
스타디움 오스트레일리아 텔스트라 스타디움 ANZ 스타디움 ACCOR 스타디움 로고
며칠 전에 말씀드렸던 호주와 관련한 내용은 스타디움 오스트레일리아입니다.
나무위키에 접속하다가 스타디움 오스트레일리아와 관련한 내용들을 보게 됐는데요. 스타디움 오스트레일리아에 속한 자료들이 현재에 맞게 반영되지 않고, 벡터로 적용되지 않아서 이번 게시물을 통해서 올려놓았다고 보시면 될 듯 싶습니다. 스타디움 오스트레일리아와 네이밍들을 함께 정리하였습니다.
첫 번째 사진이 2002년부터 2007년까지 사용된 텔스트라 스타디움의 엠블럼이고요. 두 번째 사진이 2008년부터 2010년까지 사용된 ANZ 스타디움의 엠블럼입니다. 세 번째 사진이 2010년부터 2020년까지 사용된 ANZ 스타디움의 엠블럼입니다. 마지막 네 번째 사진이 2021년 10월부터 사용되기 시작한 ACCOR 스타디움의 엠블럼이 되겠습니다.
스타디움 오스트레일리아는 1996년에 착공 및 기공에 들어가서 1999년에 완공된 경기장입니다. 호주 뉴사우스웨일스주 시드니 홈부쉬 지역의 올림픽 공원에 위치한 다목적 경기장이고요. 2000년 호주에서 개최된 시드니올림픽의 개회식과 폐회식이 열렸던 경기장이었으며 육상 종목이 개최됐습니다. 2003년 럭비 월드컵의 개최지이자 결승전이 펼쳐졌던 경기장이었습니다. 82,000명 정도를 수용할 수 있는 경기장이고요. 현재는 럭비를 주종목으로 운영되고 있는 경기장입니다.
스타디움 오스트레일리아의 명명권은 2002년에 처음으로 사용됐는데요. 통신 업체인 텔스트라가 명명권을 취득하면서 2002년 1월 1일부터 2007년 12월 31일까지 텔스트라 스타디움으로 명명됐습니다. 이후 2008년 1월 1일부터 ANZ은행이 명명권을 취득하면서 ANZ 스타디움으로 구장의 명칭이 변경됩니다. 중간인 2017년에 보다 좋은 계약 조건으로 ANZ 은행이 제시하면서 네이밍 권리를 이어졌고요. 2020년 11월까지 ANZ 스타디움이라는 이름이 이어집니다. 2020년 11월 30일부로 ANZ 은행과 체결한 구장의 명명권 계약이 종료됐고요. 2008년 1월 1일부터 2020년 11월 30일까지 장장 12년 이상 이어지던 ANZ 스타디움의 이름이 막을 내립니다. 2020년 12월 1일부터 2021년 10월 31일까지 본래 명칭인 스타디움 오스트레일리아로 사용되다가 프랑스에 기반을 둔 다국적 호텔 체인인 ACCOR가 구장의 명명권을 취득하면서 ACCOR 스타디움으로 구장의 명칭이 변경되면서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습니다.
스타디움 오스트레일리아의 명칭들을 시대별로 정리해서 다행스럽게 생각하고요. 현재까지 확보된 나머지 구장들도 순차적으로 정리할 생각입니다. 며칠 전에 아산 러시앤캐시 드림식스를 비롯하여 전남 드래곤즈와 포항 스틸러스의 과거 엠블럼, 1999년에 디자인된 두산 베어스의 마스코트들인 반달가슴곰과 회색곰의 기본형, 치바 롯데 마린즈의 2025년 시즌 공식 슬로건, 삼성 Fn.com 배 2000, 2001 프로야구 엠블럼, 삼성증권배 2002 프로야구 엠블럼까지 확보했습니다. 이들 자료들을 이번 달 말과 다음달 초에 순차적으로 정리해서 올려놓을 구상입니다. 제가 25일과 26일은 바빠서 블로그를 쉴 생각이고요. 27일에 호주와 관련된 쿠퍼스 스타디움의 자료를 정리해서 올려놓도록 하겠습니다.
'요청 자료 및 기타 (要請 資料 其他)' 카테고리의 다른 글
AAMI 파크 GIO 스타디움 캔버라 로고 (0) | 2025.03.28 |
---|---|
쿠퍼스 스타디움 2013-2023 2024-현재 로고 (0) | 2025.03.27 |
두산 베어스 1999-2009 2010-2024 2025-현재 엠블럼 로고 모음 (0) | 2025.02.27 |
한화 이글스 1994-2006 2007-2024 2025-현재 엠블럼 로고 (0) | 2025.02.25 |
우리나라에서 산이 들어가는 기초자치단체를 가장 많이 보유한 충청남도 서산시 논산시 아산시 금산군 예산군 로고 (0) | 2025.02.24 |
오이식스 니가타 알비렉스 베이스볼 클럽 2025 심볼 엠블럼 로고 Oisix Niigata Albirex Baseball Club 2025 Symbol Emblem Logo Vector
오이식스 니가타 알비렉스 베이스볼 클럽도 2025년을 맞아 디자인을 리뉴얼했습니다.
지난주 무렵에 오이식스 니가타 알비렉스 베이스볼 클럽의 디자인이 변경된 것을 확인했고요. 다행스럽게도 늦지 않게 자료를 확보하는 데 성공했습니다. 메인 마스코트인 알파군도 디자인이 변경된 것을 확인했는데요. 확보하는 대로 별도의 게시물로 정리해서 올려놓을 생각입니다. 심볼과 엠블럼을 중심으로 확보했으며 2024년에 사용된 엠블럼의 기본형과 슬로건도 함께 확보하는 데 성공했습니다.
첫 번째 사진이 오이식스 니가타 알비렉스 베이스볼 클럽의 2024년 시즌 슬로건이고요. 두 번째 사진과 세 번째 사진이 각각 오이식스 니가타 알비렉스 베이스볼 클럽의 2024년 시즌 심볼과 엠블럼입니다. 네 번째 사진과 마지막 다섯 번째 사진이 각각 2025년을 맞아 새롭게 리뉴얼된 오이식스 니가타 알비렉스 베이스볼 클럽의 심볼과 엠블럼이 되겠습니다.
오이식스 니가타 알비렉스 베이스볼 클럽은 2024년을 기준으로 일본프로야구의 2군인 팜을 한정으로 참가하고 있는 구단이고요. 이스턴리그에 소속돼 리그에 참가하고 있습니다. 오이식스는 일본의 식품 통신 판매 업체인 오이식스 라 다이치가 구단의 명명권을 취득하면서 생긴 명칭이고요. 일본프로야구 2군에 참여하면서 최저 연봉인 240만 엔 이상을 보장해야 하는 조건이기 때문에 루트인 베이스볼 챌린지 리그인 독립리그 시절과 비교할 때 선수단의 연봉이 전보다 인상됐을 것으로 추정됩니다.
오이식스 니가타 알비렉스 베이스볼 클럽이 쿠후 하야테 벤처즈 시즈오카와 함께 2군인 팜을 한정으로 참가하고 있는 이유는 일본프로야구의 2군인 팜이 기형적으로 운영되고 있기 때문입니다. 이스턴리그와 웨스턴리그가 각각 일곱 구단과 다섯 구단의 체제였기 때문인데요. 2004년 일본프로야구의 재편 문제가 불거졌을 때 후쿠오카 다이에 호크스는 소프트뱅크에 인수됐으나 오사카 킨테츠 버팔로즈가 오릭스 버팔로즈에 합병되고, 동시에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가 새롭게 창단하면서 웨스턴리그가 다섯 구단으로 줄고 이스턴리그가 일곱 구단으로 늘어났기 때문입니다. 이처럼 기형적인 구조를 해소하고자 오이식스 니가타 알비렉스 베이스볼 클럽과 쿠후 하야테 벤처즈 시즈오카가 각각 이스턴리그와 웨스턴리그에 참가하고 있는 것입니다. 그래서 라쿠텐그룹이 새롭게 구단을 창단하기 보다 오사카 킨테츠 버팔로즈를 인수했으면 어땠을까하는 아쉬움이 듭니다.
오이식스 니가타 알비렉스 베이스볼 클럽의 2024년 시즌 슬로건은 ' 挑 '이고요. 한자로 도전할 도자이며 도전이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2군인 팜 한정이기는 하지만, 일본프로야구에 참가하는 만큼 다양한 것들을 경험하고 도전하겠다는 뜻에서 도전할 도를 슬로건으로 선정했습니다. 또한, 2024년 한 시즌 한정으로 사용됐던 기본형 엠블럼도 확보했기 때문에 심볼과 함께 정리하는 차원에서 올렸습니다. 2025년 3월을 맞아 새롭게 리뉴얼한 디자인들은 기존 대비 심플하면서도 깔끔한 느낌을 줍니다. HARD OFF ECO 스타디움 니가타와 함께 오이식스 니가타 알비렉스 베이스볼 클럽의 자료를 연이어 정리하게 됐습니다.
관련 자료들은 나무위키를 비롯한 백과프로그램에 새롭게 반영해 주셨으면 하는 마음이고요. 한신 타이거스의 새로운 마스코트인 코럭키를 확보했습니다. 한신 타이거스는 여성 마스코트인 럭키와 서드 마스코트인 키타를 확보하는 대로 별도의 게시물로 정리할 계획입니다. 제가 22일과 23일은 개인적인 이유로 블로그를 쉴 예정이고요. 24일에 호주와 관련한 자료를 정리해서 올려놓도록 하겠습니다.
'일본 프로야구 로고 및 마스코트 (日本 プロ野球 L&M ) > 일본야구기구 Nippon Professional Baseball' 카테고리의 다른 글
HARD OFF ECO 스타디움 니가타 영문 버젼 로고 HARDㆍOFF ECO Stadium Niigata English Version Logo Vector
일본프로야구의 지방 경기장과 관련한 자료를 올려놓습니다.
며칠 전에 말씀드렸던 HARD OFF ECO 스타디움 니가타의 자료를 이번 게시물을 통해 정리하게 되었고요. 나무위키를 비롯한 백과프로그램에 HARD OFF ECO 스타디움 니가타의 관련 항목이 존재하기에 올려놓았습니다. 제가 몇 년 전에 HARD OFF ECO 스타디움 니가타의 영문 엠블럼들을 확보했습니다. 그런데, 심볼과 워드마크, 엠블럼과 마스코트, 그리고 구단기들을 우선했던 탓에 일본프로야구의 지방 경기장과 관련해서 소홀하게 인지하고, 다른 한편으로 등한시했습니다. 그러다가 며칠 전에 나무위키를 비롯한 백과프로그램을 둘러보다가 HARD OFF ECO 스타디움 니가타의 항목이 존재하는 걸 확인해서 부랴부랴 올려놓게 된 경우입니다. 몇 년 전에 그냥 무심결에 HARD OFF ECO 스타디움 니가타의 자료를 다운로드했는데 지금 와서 보면 받아 놓기를 잘했다는 생각입니다.
첫 번째 사진이 HARDㆍOFF의 CI이고요. 두 번째 사진이 HARD OFF ECO 스타디움 니가타의 세로형 영문 엠블럼입니다. 마지막 세 번째 사진이 배경이 적용된 HARD OFF ECO 스타디움 니가타의 영문 엠블럼이 되겠습니다.
먼저, HARDㆍOFF는 일본의 니가타현 시바타시에 본거지를 두고 있는 소매업을 영위하고 있는 업체인데요. 소매업 중에서 중고품에 보다 특화되어 있는 업체입니다. 중고 가전제품이나 악기 종류를 중점적으로 판매하는 업제이지요. HARD OFF ECO 스타디움 니가타는 본래 명칭은 니가타현립야구장입니다. 니가타현에는 여러 야구장들이 존재했으나 노후화되고, 조에츠 신칸센이 개통하면서 프로야구를 치를 수 있는 새로운 야구장을 필요로 하였습니다. 그러나, 본래 덴카 빅 스완 스타디움 옆에 착공하기로 하였으나 어려웠던 경제적 상황과 자연재해로 인하여 차일피일 지연됐습니다. 여러 우여곡절 끝에 2007년 1월 24일에 착공에 들어가서 2009년 7월 1일 부로 준공합니다. 그리고, 앞서 말씀드린 HARDㆍOFF가 니가타현립야구장의 명명권을 취득하면서 HARD OFF ECO 스타디움 니가타로 구장의 이름이 명명됐습니다.
HARDㆍOFF 말고도 사토 식품 등 3개 업체가 명명권을 취득하기 위해 입찰에 참가했는데요. HARDㆍOFF를 선정하는 이유는 기본적으로 제시한 조건이 연간 3,000만 엔에 5년이라는 기간을 제시했을 정도로 좋았던 데다 기업의 이름과 상품의 명칭만이 아닌 ECO와 니가타라는 지역의 명칭까지 모두 포함했기 때문입니다. 준공하기 석 달 전인 2009년 4월 17일에 HARDㆍOFF가 최종적으로 결정됐으며 세부적인 조건들을 조정한 뒤에 2009년 5월 18일에 최종적으로 명명권의 계약을 체결합니다. 명명권의 계약이 체결됨과 동시에 HARD OFF ECO 스타디움 니가타라는 이름이 사용되기 시작합니다.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계약은 계속 갱신되고요. 현재까지 HARD OFF ECO 스타디움 니가타로 구장의 이름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HARD OFF ECO 스타디움 니가타는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즈의 제2홈구장이면서 일본프로야구의 2군인 팜의 이스턴리그를 한정으로 참가하고 있는 오이식스 니가타 알비렉스 베이스볼 클럽의 홈구장이기도 합니다.
일본프로야구의 지방 경기장 중에 한 곳인 HARD OFF ECO 스타디움 니가타의 자료를 이렇게 마무리짓고요. 관련한 자료들은 나무위키를 비롯한 백과프로그램에 활용하시면 될 듯 싶습니다. 제가 19일과 20일은 시간의 부족으로 블로그를 쉴 예정이고요. 그래서 21일에 2025년을 맞아 디자인이 변경된 오이식스 니가타 알비렉스 베이스볼 클럽의 심볼, 워드마크, 엠블럼을 정리해서 올려놓도록 하겠습니다.
'일본 프로야구 로고 및 마스코트 (日本 プロ野球 L&M ) > 일본야구기구 Nippon Professional Baseball' 카테고리의 다른 글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탄생 20주년 기념 엠블럼 로고 Fukuoka SoftBank Hawks Birth 20th Anniversary Emblem Logo Vector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의 탄생 20주년 기념 엠블럼을 올려놓습니다.
소프트뱅크가 후쿠오카 다이에 호크스를 인수해서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를 출범시킨 지 어느덧 20주년이 되었습니다. 2004년 후쿠오카 다이에 호크스는 모기업인 다이에의 경영난으로 인해서 야구단을 소프트뱅크에 매각했고요. 이듬해인 2005년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로 정식으로 출범합니다. 2005년을 기준으로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가 어느덧 20주년이라는 역사적인 기록을 남기게 되었지요. 경영난을 겪던 후쿠오카 다이에 호크스와 오사카 돔으로 인해 구단의 재정에 부담을 느낀 오사카 킨테츠 버팔로즈가 2004년을 끝으로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지면서 프로야구의 재편 문제가 대두되었던 시기이기도 했습니다.
첫 번째 사진이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의 탄생 15주년 기념 엠블럼이고요. 두 번째 사진이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의 탄생 20주년 기념 엠블럼입니다. 15주년 기념 엠블럼과 20주년 엠블럼을 함께 올린 이유는 정리하는 차원에서입니다. 디자인이 전반적으로 심플하면서 깔끔합니다만, 보기에 따라서 15주년 기념 엠블럼을 활용했다는 시각도 존재할 것 같습니다. 15주년과 20주년을 비교할 때 구단의 홈 유니폼과 비지타 유니폼에 들어가는 색상을 연대별로 다르게 활용한 것으로 해석됩니다.
15주년 기념 엠블럼은 2020년에 맞이했던 역사였고요. 20주년 기념 엠블럼은 5년이 지난 2025년에 맞이하게 되는 역사가 됐습니다. 보시는 것처럼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는 세는 햇수로 정하는 것이 아닌 만을 기준으로 합니다. 그래서 2005년을 기준으로 올해가 20주년이 되는 것입니다.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가 20주년이 되었다는 역사적인 사실에 놀라게 되고요. 시간이 흐르는 속도가 빠르다는 걸 여실히 느꼈습니다. 올해로 20주년을 맞이한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에 축하의 박수를 보내고 싶습니다.
며칠 전에 말씀드렸던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의 자료는 이쯤에서 마무리짓고요.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의 2025년 슬로건을 확보한다면 20주년 기념 엠블럼과 별도의 게시물로 함께 정리할 예정입니다. 기념하는 자료를 확보하고 정리할 수 있어서 다행스럽게 생각합니다. 제가 16일과 17일은 시간의 부족으로 블로그를 쉴 예정이고요. 18일에 일본프로야구 2군인 팜의 이스턴리그에 참가하고 있는 오이식스 니가타 알비렉스 베이스볼 클럽의 홈구장이자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즈의 제2홈구장인 HARD OFF ECO 스타디움 니가타의 영문 엠블럼을 정리해서 올려놓도록 하겠습니다.
'일본 프로야구 로고 및 마스코트 (日本 プロ野球 L&M ) > 퍼시픽리그 Pacific Leagu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즈 마스코트 DB.스타맨 DB.키라라 2025 홈 유니폼 버젼 로고 Yokohama DeNA Baystars Mascot DB.Starman DB.Kirara 2025 Home Uniform Version Logo Vector
DB.스타맨과 DB.키라라가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즈의 2025년을 알려 줍니다.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즈가 2025년을 맞이하면서 유니폼의 디자인을 부분적으로 변경했는데요.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즈의 구단 측에서 설명하기로 기존의 요코하마 스트라이프를 계승하면서 요코하마 블루 라인으로 불리는 유니폼 가운데에 새롭게 생긴 두 개의 굵은 파란선과 가느다란 노란선들은 센트럴리그 우승과 日本一을 달성하고자 하는 열망을 담았다고 합니다. 이번 게시물을 통해 확보한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즈의 메인 마스코트인 DB.스타맨과 여성 마스코트인 DB.키라라의 모습을 통해서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즈가 2025년을 맞아 유니폼의 디자인을 변경한 부분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첫 번째 사진이 2025년 홈 유니폼이 적용된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즈의 메인 마스코트인 DB.스타맨의 걷는 버젼이고요. 두 번째 사진이 2025년 홈 유니폼이 적용된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즈의 여성 마스코트인 DB.키라라의 응원하는 버젼입니다. 마지막 세 번째 사진이 첫 번째 사진과 두 번째 사진에 있는 DB.스타맨과 DB.키라라가 함께 있는 모습이 되겠습니다.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즈의 경우 기본형 내지 기본형에 가까운 형태들을 확보하면 좋았겠지만, 아쉽게도 활용 버젼을 확보하게 됐습니다. 추후에 2025년 홈 유니폼이 적용된 기본형 내지 기본형에 가까운 형태들을 확보하게 된다면 별도의 게시물로 정리해서 올려놓도록 하겠습니다. 나무위키를 비롯한 백과프로그램에도 2025년 홈 유니폼이 적용된 이번 게시물의 자료들로 반영해 주셨으면 하는 마음입니다. 한신 타이거스와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도 최신 버젼의 홈 유니폼이 적용된 자료들을 조속히 확보할 수 있도록 각별히 신경쓰도록 하겠습니다.
앞서 말씀드린 바와 같이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즈의 2025년 홈 유니폼이 적용된 DB.스타맨과 DB.키라라의 기본형을 추후에 확보하게 별도로 정리할 예정이고요. 제가 13일과 14일은 시간의 부족으로 블로그를 쉴 예정입니다. 15일에 올해로 후쿠오카 다이에 호크스의 인수 20주년을 기념하는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의 탄생 20주년 기념 엠블럼을 15일에 정리해서 올려놓도록 하겠습니다.
'일본 프로야구 로고 및 마스코트 (日本 プロ野球 L&M ) > 센트럴리그 Central League'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 2005-2017 2015-2017 홈 유니폼 2010 레이디스 팬클럽 유니폼 2010-2017 2015-2017 비지타 로고 Tohoku Rakuten Golden Eagles 2010-2017 2015-2017 Home Uniform 2010 Lady's Fanclub Uniform 2010-2017 2015-2017 Visitor Uniform Logo Vector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의 유니폼도 올려놓습니다.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의 유니폼을 몇 년 전에 확보했는데요. 다른 게시물들에 밀려서 잊고 지내다가 며칠 전에 기억나서 정리하여 올려놓게 되었습니다. 제가 이번 게시물을 통해 정리하는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의 유니폼은 2005년에 디자인돼 2017년까지 사용된 홈 유니폼의 기본형과 2015년부터 2017년까지 사용된 등번호가 적용된 홈 유니폼하고요. 2010년에 레이디스 팬클럽때 사용된 유니폼도 확보했기 때문에 함께 정리합니다. 그리고, 2010년에 디자인돼 2017까지 사용된 비지타 유니폼의 기본형과 2015년부터 2017년까지 사용된 등번호가 적용된 비지타 유니폼이 되겠습니다.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는 기존에 이벤트와 얼트 유니폼을 중심으로 올렸는데 홈 유니폼과 비지타 유니폼을 중점적으로 정리하게 된 건 이번이 처음입니다.
첫 번째 사진이 2005년에 디자인돼서 2017년까지 사용된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의 홈 유니폼이고요. 두 번째 사진이 2015년부터 2017년까지 사용된 등번호가 적용된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의 홈 유니폼입니다. 세 번째 사진이 2010년에 사용된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의 레이디스 팬클럽때 사용된 유니폼입니다. 네 번째 사진이 2010년에 디자인돼서 2017년까지 사용된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의 비자타 유니폼이고요. 마지막 다섯 번째 사진이 2015년부터 2017년까지 사용된 등번호가 적용된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의 비지타 유니폼이 되겠습니다.
기본형을 보시면 라쿠텐의 CI가 오른쪽 팔에 부착된 것을 확인하실 수가 있고요. 2013년, 2014년을 전후로 오른쪽 팔에 부착된 라쿠텐의 CI가 원형과 색상이 적용된 라쿠텐의 심볼로 변경됐습니다. 2015년과 2017년에 등번호가 적용된 유니폼을 보시면 일본어와 한자가 들어 있는 것을 확인하실 수 있는데요. 일본어와 한자는 간바로우 토호쿠이고요. 힘내라 토호쿠라는 뜻입니다. 2011년부터 본격적으로 간바로우 토호쿠가 들어 있기 시작했는데요. 이유는 2011년 3월 11일에 있었던 토호쿠 지진이 발생하면서 토호쿠 지방이 많은 피해를 입었기 때문입니다. 왼쪽 가슴에 있는 패치가 아이리스 오야마를 뜻하고요. 아이리스 오야마는 미야기현 센다이시에 본거지를 두고 있는 일본의 소비자용 플라스틱 및 가전제품 등 생활용품을 제조하는 회사입니다.
많이 밀렸던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의 홈 유니폼과 비지타 유니폼을 중점적으로 정리해서 올려놓게 되었고요.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의 유니폼들도 이쯤에서 마무리짓겠습니다. 제가 며칠 전과 어제에 걸쳐서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의 다이에 인수 기념 20주년 기념 엠블럼과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즈의 마스코트들인 DB.스타맨, DB.키라라의 2025년 홈 유니폼이 적용된 자료들을 확보하는 데 성공했습니다. 이들 자료를 순차적으로 정리할 예정입니다.
제가 시간의 부족으로 10일과 11일은 블로그를 쉴 예정이며 12일에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즈의 마스코트들인 DB.스타맨과 DB.키라라의 2025년 홈 유니폼이 적용된 자료를 정리해서 올려놓도록 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