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영혼

자유영혼의 M&A +1341

 

 

 

 

 

NORTH HARBOUR STADIUM Logo Vector.ai
0.08MB
FMG STADIUM WAIKATO Logo Vector.ai
0.05MB
FORSYTH BARR STADIUM Logo Vector.ai
0.15MB

 

 

 

 

 

 

뉴질랜드의 경기장들도 처음으로 정리합니다.

 

 

호주의 경기장들뿐만 아니라 뉴질랜드의 경기장들도 알음알음 확보했는데요. 확보한 뉴질랜드의 경기장들도 이번 게시물을 통해서 정리할 생각입니다. 제목에서처럼 노스 하버 스타디움, FMG 스타디움 와이카토, 포사이스 바 스타디움의 자료들을 확보하는 데 성공했습니다. 일종의 기분을 전환시킬 겸해서 주제의 방향을 변경했습니다.

 

 

첫 번째 사진이 노스 하버 스타디움이고요. 두 번째 사진이 FMG 스타디움 와이카토입니다. 마지막 세 번째 사진이 포사이스 바 스타디움이 되겠습니다.

 

 

먼저, 노스 하버 스타디움은 1997년 3월 8일에 개장했고요. 뉴질랜드의 오클랜드 노스 쇼어에 위치한 다목적 경기장입니다. 14,000명의 관중들을 수용할 수 있으며 축구, 럭비, 크리켓, 야구까지 다양한 종목이 펼쳐지는 경기장입니다. 노스 하버 스타디움은 호주 야구 리그에 참가했던 오클랜드 투아타라의 홈구장이었습니다. 노스 하버 스타디움은 이전 명칭이 바로 QBE 스타디움인데요. QBE는 바로 QBE 보험이 2014년부터 2019년까지 구장의 명명권을 취득하면서 해당 기간 동안 QBE 스타디움으로 운영된 적이 있습니다. QBE 보험은 호주와 뉴질랜드를 기반으로 하는 재보험사입니다. 재보험이라고 해서 의아하실 수 있을텐데요. 보통 보험사들이 항공기처럼 비싼 보험목적물이 있을 경우 사고가 났을 때 보험금을 지급해야 할 액수가 크기 때문에 한 보험회사가 혼자서 보험금을 지급할 수가 없게 되는 경우가 존재합니다. 이럴 때를 대비해서 보험사가 또 다른 보험사에게 보험을 들게 되는 데 이를 가리켜서 재보험이라고 합니다. 쉽게 말씀드리면 보험사가 보험을 드는 것입니다.

 

 

다음으로 FMG 스타디움 와이카토는 1925년에 개장하여 2000년에 폐장한 뒤에 2002년에 다시 개장한 이력을 가진 경기장입니다. 25,800명의 관중을 수용할 수 있는 규모를 갖췄고요. 축구, 럭비, 크리캣 등 다양한 경기가 펼쳐지는 다목적 경기장입니다. 본래는 와이카토 스타디움으로 불렸습니다만, 2015년 10월 1일 구장의 명명권 계약이 체결되면서 FMG 스타디움 와이카토로 현재에 이르고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포사이스 바 스타디움은 2009년 5월에 착공하여 2011년 8월 5일에 완공하여 개장한 경기장입니다. 30,748명의 관중을 수용할 수 있는 규모를 갖추고 있으며 럭비와 풋볼을 중심으로 하는 럭비 전용 경기장으로 보시면 될 듯 싶습니다. 여러 명칭들이 있었으나 포사이스 바 스타디움으로 명명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습니다.

 

 

뉴질랜드와 관련한 경기장의 자료들을 이쯤에서 마무리짓고요. 호주와 뉴질랜드, 캐나다를 위시로 하는 영연방 국가들의 구장과 관련한 자료들을 시간이 되는 대로 정리해서 올려놓을 계획입니다. 일정이 많이 바쁩니다. 그래서 8일과 9일은 블로그를 쉴 예정이고요. 다가오는 10일에 K리그와 J리그가 연관되어 있는 자료를 정리해서 올려놓도록 하겠습니다.

 

 

 

 

 

ADELAIDE OVAL Logo Vector.ai
0.05MB
MELBOURNE CRICKET GROUND Logo Vector.ai
0.08MB
QUEENSLAND COUNTRY BANK STADIUM Logo Vector.ai
0.06MB

 

 

 

 

 

 

호주의 경기장과 관련한 내용들을 정리합니다.

 

 

애들레이드 오벌, 멜버른 크리켓 그라운드, 퀸즐랜드 컨트리 뱅크 스타디움의 자료들을 몇 달 전에 확보했기 때문에 이번 게시물을 통하여 호주의 경기장과 관련한 내용들을 이어서 올려놓습니다. 일본프로야구와 우리나라의 고전 자료들을 중점적으로 정리하되 여의치 않을 경우 호주와 뉴질랜드, 캐나다 등지의 경기장과 관련한 자료들을 확보되는 대로 정리할 방침입니다. 앞서 말씀드린 바와 같이 애들레이드 오벌, 멜버른 크리켓 그라운드, 퀸즐랜드 컨트리 뱅크 스타디움의 자료들이 주제가 되겠습니다.

 

 

첫 번째 사진이 애들레이드 오벌이고요. 두 번째 사진이 멜버른 크리켓 그라운드입니다. 마지막 세 번째 사진이 퀸즐랜드 컨트리 뱅크 스타디움이 되겠습니다.

 

 

먼저, 애들레이드 오벌은 1871년에 개장한 다목적 경기장입니다. 남호주 크리켓 협회가 창립된 시기와 궤를 같이 하고요. 호주와 영국 간의 최초의 크리켓 경기가 펼쳐진 경기장입니다. 2003년 역사에 길이 남을 럭비 월드컵의 두 경기가 바로 애들레이드 오벌에서 개최됐습니다. 경기장은 호주의 애들레이드와 노스 애들레이드 사이에 위치하고 있고요. 53,500명의 관중들을 수용할 수 있으며 양궁, 육상, 크리켓, 야구, 사이클, 테니스 등 무려 열여섯 가지의 종목들이 개최된 바가 있습니다.

 

 

다음으로 멜버른 크리켓 그라운드는 1853년에 개장한 다목적 경기장입니다. 멜버른 스포츠 & 엔터테인먼트 구역 내에 위치한 야라 공원 내부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크리켓, 오스트레일리안 풋볼, 럭비 리그, 축구까지 다양한 종목들이 개최되고 있으며 100,024명의 관중들을 수용할 수 있는 큰 규모를 자랑하는 경기장입니다. 특기할 만한 사항으로 멜버른 크리켓 그라운드는 1956년 호주에서 개최한 멜버른 올림픽 당시에 주경기장으로 사용된 적이 있을 정도로 유서가 깊은 경기장이 되겠습니다.

 

 

마지막으로 퀸즐랜드 컨트리 뱅크 스타디움은 본래 명칭이 노스 퀸즐랜드 스타디움입니다. 2017년 8월 16일에 착공하여 2020년 2월 22일에 완공하여 개장했습니다. 25,455명의 관중들을 수용할 수 있는 규모를 갖추고 있고요. 사우스 타운스빌 퀸즐랜드에 경기장이 위치하고 있습니다. 구장이 개장하기 전인 2019년 12월 12일 퀸즐랜드 컨트리 은행이 구장의 명명권을 취득하면서 퀸즐랜드 컨트리 뱅크 스타디움으로 명명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습니다.

 

 

호주의 경기장과 관련한 자료들은 이쯤에서 마무리짓고요. 5일과 6일에는 일정이 바빠서 블로그를 신경쓰기가 어렵습니다. 7일에도 특별한 사정이 없다면 호주의 경기장과 관련한 자료들을 정리해서 올려놓도록 하겠습니다.

 

 

 

 

 

FUKUOKA SOFTBANK HAWKS 20TH ANNIVERSARY EMBLEM Logo Vector.ai
0.90MB
FUKUOKA SOFTBANK HAWKS 20TH ANNIVERSARY UNIFORM NUMBER 7 Logo Vector.ai
0.30MB
FUKUOKA SOFTBANK HAWKS 2025 SLOGAN Logo Vector.ai
0.08MB

 

 

 

 

 

 

5월은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로 시작합니다.

 

 

지난주이자 지난주 월말에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의 2025년 시즌 슬로건을 확보했습니다. 2025년 시즌 슬로건뿐만 아니라 20주년 기념 유니폼도 깔끔한 형태로 디자인된 자료도 함께 확보했고요. 2025년이 후쿠오카 다이에 호크스를 소프트뱅크가 인수하여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로 새롭게 출범한 지 20주년이 되는 해라 20주년과 관련한 자료들을 같이 올려놓았습니다.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의 2025년 시즌 슬로건도 확보하고 싶었던 자료였는데 너무 늦지 않게 정리할 수 있어서 다행스럽게 생각합니다.

 

 

첫 번째 사진이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의 20주년 기념 엠블럼이고요. 두 번째 사진이 깔끔한 형태로 디자인된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의 20주년 기념 유니폼입니다. 마지막 세 번째 사진이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의 2025년 시즌 슬로건이 되겠습니다. 20주년 자료들과 슬로건을 함께 올린 이유는 2025년과 밀접하게 연관된 자료들이기 때문입니다. 물론, 정리하는 차원도 있습니다. 두 번째 사진과 마지막 세 번째 사진이 이번 게시물의 하이라이트라고 볼 수 있겠습니다.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의 2025년 시즌 슬로건은 'PS(피스)'입니다. 'Professional Spirit'의 약자로 피스로 읽고요.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에 속한 선수들 모두가 철저한 프로 정신으로 무장하여 경기에 임할 것을 강조하고 있다고 보시면 될 듯 싶습니다. 또한, 줄임말로 피스를 영문으로 piece로 읽음으로서 선수들 한 명 한 명이 조각처럼 하나로 모여 강한 구단으로 이룬다는 뜻도 함께 가지고 있다고 합니다.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의 2025년 시즌 슬로건을 보면 메세지가 간단명료하면서도 강렬한 인상을 줍니다. 디자인도 깔끔하면서도 강렬하고요.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가 디자인한 슬로건들 중에서 가장 멋있게 느껴집니다.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의 2025년과 관련한 자료들을 이쯤에서 마무리짓고요. 2일과 3일은 일정이 바빠서 블로그를 건너뛰겠습니다. 4일에 특별한 사정이 없다면 호주와 뉴질랜드의 구장들과 관련한 자료들을 올려놓도록 할 생각이고요. 중간에 일본프로야구의 슬로건이나 고전 자료를 새롭게 확보한다면 순서를 조정할 방침입니다. 4일에 호주와 뉴질랜드의 구장들과 관련한 자료들을 올려놓도록 하겠습니다.

 

 

 

 

 

울산 현대 호랑이 마스코트 1997-1998 로고.ai
0.09MB
울산 현대 호랑이 마스코트 아기호랑이 로고.ai
0.11MB

 

 

 

 

 

 

어제 말씀드렸던 K리그의 고전 자료를 올려놓습니다.

 

 

어제 말씀드렸던 K리그와 관련한 자료는 바로 울산 HD FC의 이전 명칭인 울산 현대 호랑이입니다. 호랑이 담배 피던 시절인 울산 현대 호랑이의 자료들을 지난달 월말에 확보했고요. 1997년부터 1998년까지 사용된 마스코트와 1999년에 새롭게 디자인되어 2004년 2005년 무렵까지 사용된 마스코트인 아기호랑이의 자료들이 바로 확보한 자료들입니다. 고전 자료의 주제에 걸맞게 K리그와 관련한 자료들을 간만에 올려놓게 됐습니다.

 

 

첫 번째 사진이 1997년부터 1998년까지 사용된 울산 현대 호랑이의 마스코트이고요. 두 번째 사진이 1999년에 디자인되어 2004년에서 2005년 무렵까지 사용된 울산 현대 호랑이의 마스코트인 아기호랑이가 되겠습니다.

 

 

제가 K리그나 축구에 대해서 배경 지식이 거의 없어서 첫 번째 사진에 있는 마스코트의 이름은 정확히 모르겠습니다. K리그에 진심이신 분들께서 알려 주셨으면 하고요. 두 번째 사진에 있는 아기호랑이는 웨이백머신의 힘을 빌렸습니다. 울산 현대 호랑이의 홈페이지에 접속해서 마스코트 항목을 검색했는데 이름이 아기호랑이로 명명되어 있었습니다. 1999년에 디자인되어 2004년에서 2005년 무렵까지 사용된 것으로 확인됩니다. 해당 자료들은 1999년에서 2000년 사이에 발간한 문서 자료들을 통해 확보하였습니다.

 

 

참고로, 울산 현대와 현대가 더비로 유명한 전북 현대 모터스의 이전 명칭인 전북 현대 모터스의 마스코트들은 사정이 복잡합니다. 제가 전북 현대 다이노스의 마스코트들과 관련한 문서 파일을 확보했습니다. 그런데, 일러스트레이터로 실행했을 때 해당하는 오브젝트들이 없는 것으로 나옵니다. 그래서 저작권 등의 문제로 의도적으로 실행되지 않게 조정했거나 프로그램 상의 문제로 보이는데요. 전북 현대 다이노스 시절을 비롯해 K리그와 관련한 고전 자료들은 확보할 수 있도록 각별히 신경쓸 생각입니다.

 

 

K리그와 관련한 고전 자료들을 정리해서 올려놓을 수 있어서 기쁘게 생각합니다. 전북 현대 다이노스의 마스코트들을 확보한다면 현대가 더비로 별도의 게시물로 정리해서 올려놓을 구상입니다. 울산 현대 호랑이를 통해서 올해 4월을 마무리짓도록 하고요. 29일과 30일은 일정이 바빠서 블로그에 자료들을 정리하기가 어렵습니다. 5월은 일정이 많이 바쁜 편이라 지금보다 블로그를 정리하는 빈도가 뜸할 겁니다. 5월의 경우 이번 달보다 자료들을 정리하는 빈도가 줄어들 것으로 생각하고요. 필수적인 자료들을 중심으로 정리할 계획입니다. 마침, 며칠 전에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의 2025년 시즌 슬로건을 확보했습니다. 일본프로야구와 고전 자료들을 5월에도 이어서 정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다가오는 5월의 첫 날인 1일에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의 2025년 시즌 슬로건을 올려놓도록 하겠습니다.

 

 

 

 

 

V-VAREN NAGASAKI EMBLEM 2025 Logo Vector.ai
0.09MB
V-VAREN NAGASAKI MASCOT VIVI-KUN 2025 Logo Vector.ai
0.15MB

 

 

 

 

 

 

2025년을 맞아 리뉴얼된 V-파렌 나가사키의 자료들을 올려놓습니다.

 

 

J리그와 관련하여 며칠 전에 말씀드렸던 내용이 바로 V-파렌 나가사키였습니다. V-파렌 나가사키가 2025년을 맞아 디자인을 리뉴얼하면서 마스코트도 디자인이 변경됐을 걸로 예상했는데요. 예상했던 대로 새롭게 디자인한 엠블럼을 교체하는 정도로 마스코트를 리뉴얼했고요. 엠블럼만 교체하는 수준으로 소폭으로 디자인을 교체했습니다. 2025년을 맞아 J리그의 구단들이 디자인을 변경했는데요. 변경한 디자인들을 확보하는 대로 별도의 게시물로 정리해서 올려놓을 생각입니다.

 

 

첫 번째 사진이 V-파렌 나가사키의 엠블럼입니다. 두 번째 사진이 V-파렌 나가사키의 마스코트인 비비쿤입니다. 엠블럼과 마스코트 모두 2025년을 맞아 새롭게 리뉴얼한 디자인들이라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V-파렌 나가사키의 디자인을 보면 화려한 색상과 무늬를 자랑했던 이전의 모습과 달리 심플하면서도 날렵하게 변경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2005년에 디자인되어 2024년까지 사용된 디자인들은 친근감이 있었다면 2025년에 새롭게 디자인된 자료들은 강인함이 느껴집니다.

 

 

V-파렌 나가사키와 RB 오미야 아르디쟈가 J2에서 디자인을 교체한 구단들이고요. V-파렌 나가사키에 이어서 RB 오미야 아르디쟈도 리뉴얼한 자료들을 찾고 있는 중에 있습니다. RB 오미야 아르디쟈도 확보하는 대로 별도의 게시물로 정리해서 올려놓을 생각입니다.

 

 

2025년을 맞아 새롭게 리뉴얼한 V-파렌 나가사키의 자료들은 이쯤에서 마무리짓고요. 내일은 특별한 사정이 없다면 K리그의 고전 자료들을 정리해서 올려놓도록 하겠습니다.

 

 

 

 

 

YOMIURI LAND Logo Vector.ai
0.85MB
YOMIURI LAND MASCOT GOOD Logo Vector.ai
0.12MB
YOMIURI LAND MASCOT LUCKY Logo Vector.ai
0.13MB
YOMIURI LAND MASCOT GOOD LUCKY Logo Vector.ai
0.18MB
YOMIURI SHIMBUN Logo Vector.ai
0.06MB
YOMIURI SHIMBUN ORIGINAL EMBLEM Logo Vector.ai
0.08MB
YOMIURI GIANTS NEW EMBLEM Logo Vector.ai
0.09MB
YOMIURI GIANTS MASCOT GIABBIT FAMILY ORIGINAL 2024 Logo Vector.ai
0.32MB

 

 

 

 

 

 

쿄진군 요미우리 자이언츠와 밀접하게 관련이 있는 요미우리랜드를 올려놓습니다.

 

 

제가 며칠 전에 말씀드렸던 쿄진군 요미우리 자이언츠와 관련한 자료는 바로 요미우리랜드였습니다. 쿄진군 요미우리 자이언츠의 모기업인 요미우리신문인데요. 요미우리신문그룹이 요미우리신문과 닛폰테레비를 비롯한 언론 분야를 넘어서 관광, 테마파크, 골프장, 야구단을 망라해서 레저 분야에도 적극적으로 진출해서 활약하고 있습니다. 이번 게시물의 주제인 요미우리랜드가 바로 요미우리신문그룹에서 운영하는 테마마크입니다. 그래서 쿄진군 요미우리 자이언츠와 같은 요미우리신문의 자회사이지요.

 

 

첫 번째 사진이 요미우리랜드의 엠블럼이고요. 두 번째 사진이 요미우리랜드의 남성 마스코트인 굿입니다. 세 번째 사진이 요미우리랜드의 여성 마스코트인 럭키입니다. 네 번째 사진이 요미우리랜드의 마스코트들인 굿과 럭키가 함께 있는 자료가 되겠습니다. 다섯 번째 사진과 여섯 번째 사진이 모기업인 요미우리신문의 CI들이고요. 일곱 번째 사진과 마지막 여덟 번째 사진이 각각 쿄진군 요미우리 자이언츠의 엠블럼과 마스코트들인 쟈빗 패밀리가 되겠습니다. 기존에 확보한 요미우리신문과 쿄진군 요미우리 자이언츠의 자료들을 정리하는 차원에서 함께 올렸습니다.

 

 

요미우리랜드는 도쿄도 이나기시와 카나가와현 카와사키시 타마구에 걸쳐 있는 테마파크이고요. 1964년 9월 24일에 개장하였습니다. 요미우리신문의 자회사인 주식회사 요미우리랜드가 운영하고 있고요. 본사는 도쿄도 이나기시로 표기되어 있지만, 부지의 대부분은 카나가와현 카와사키시 타마구에 위치해 있습니다. 타마 구릉 남부에 있는 교외형 유원지로서 롤러코스터, 관람차와 같은 놀이기구들뿐만 아니라 야외 극장, 스파, 목욕탕과 노인들을 위한 간호 서비스 시설, 의료기관 등이 개설되어 있습니다. 무제한 피자 뷔페인 쉐키즈도 있으며 스타벅스도 있습니다.

 

 

요미우리랜드를 쿄진군 요미우리 자이언츠와 함께 정리했고요. 제가 25일과 26일은 일정이 바빠서 블로그를 쉴 예정입니다. 27일과 28일 동안 특별한 사정이 없다면 J리그와 K리그의 자료들을 정리해서 올려놓을 생각입니다. 다가오는 27일에 J리그와 관련한 자료를 정리해서 올려놓도록 하겠습니다.

 

 

 

 

 

TOCHIGI UVA FOOTBALL CLUB EMBLEM Logo Vector.ai
0.10MB
TOCHIGI CITY FOOTBALL CLUB Logo Vector.ai
0.06MB
TOCHIGI CITY FOOTBALL CLUB VERTICAL TYPE EMBLEM Logo Vector.ai
0.08MB
TOCHIGI CITY FOOTBALL CLUB MASCOT TOCHIMO APPLICATION DRIBBLE Logo Vector.ai
0.13MB
TOCHIGI CITY FOOTBALL CLUB MASCOT TOCHIMO APPLICATION SHOOT Logo Vector.ai
0.11MB
TOCHIGI CITY FOOTBALL CLUB MASCOT TOCHIMO ORIGINAL Logo Vector.ai
0.11MB
TOCHIGI CITY FOOTBALL CLUB MASCOT TOCHIMO ASSORTMENT Logo Vector.ai
0.20MB

 

 

 

 

 

 

정말 간만에 J리그와 관련한 자료들을 정리합니다.

 

 

J리그와 관련한 자료들은 작년 연말 이후로 몇 달 동안 올려놓지 않았는데요. 며칠 전에 J리그와 관련한 자료들을 여럿 확보했고요. 이 중에서 하나가 바로 토치기 시티 풋볼 클럽과 관련한 자료들입니다. 제목에서처럼 토치기 시티 풋볼 클럽의 엠블럼들과 마스코트인 토치모를 비롯해 전신인 토치기 우바 풋볼 클럽의 엠블럼까지 확보하는 데 성공했습니다. 그래서 이들 자료들을 이번 게시물을 통해 정리할 생각입니다.

 

 

첫 번째 사진이 토치기 우바 풋볼 클럽의 엠블럼이고요. 두 번째 사진과 세 번째 사진이 토치기 시티 풋볼 클럽의 엠블럼들입니다. 각각의 차이는 두 번째 사진이 기본형이며 세 번째 사진이 세로형입니다. 네 번째 사진, 다섯 번째 사진, 여섯 번째 사진이 각각 토치기 시티 풋볼 클럽의 메인 마스코트인 토치모입니다. 각각의 차이는 드리블형, 슈팅형, 기본형이 되겠습니다. 마지막 일곱 번째 사진이 토치기 시티 풋볼 클럽의 메인 마스코트인 토치모의 다양한 동작들을 모아서 정리한 것입니다.

 

 

토치기 시티 풋볼 클럽은 1947년 히타치 제작소의 토치기 사업소 실업 축구단으로 창단한 히타치 토치기 사커 클럽에 기원합니다. 2006년에 히타치 토치기 우바 사커 클럽으로 팀의 명칭을 변경했고요. 팀명에 들어간 우바의 의미는 이탈리아어, 포르투갈어, 스페인어로 과일 포도를 뜻합니다. 토치기현의 특산품 중에 하나가 바로 포도이기 때문에 구단의 명칭에 포도를 넣은 것이지요. 2009년 전국 지역 축구 챔피언스 리그에 진출해 준우승을 차지합니다. 이듬해인 2010년에 일본 풋볼 리그로 승격한 것을 계기로 토치기 우바 풋볼 클럽으로 구단의 명칭을 변경하였습니다.

 

 

2017년에 열여섯 구단들 중에서 최하위를 기록해 칸토 지역 리그로 강등됩니다. 2018년을 끝으로 현재 명칭인 토치기 시티 풋볼 클럽으로 변경하였고요. 2023년에 전국 지역 축구 챔피언스 리그에서 우승하면서 다시 일본 풋볼 리그로 승격하였고, 기세를 몰아 일본 풋볼 리그에서 우승을 차지하면서 2024년부터 J3까지 승격하여 현재에 이르고 있습니다.

 

 

제가 토치기 우바 풋볼 클럽의 엠블럼을 올린 자료가 바로 2010년부터 2018년까지 사용된 자료라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토치기 시티 풋볼 클럽의 메인 마스코트인 토치모는 토치기시의 시조인 오리를 모티브로 디자인했습니다. 오리가 축구하는 모습이 인상적입니다.

 

 

관련 자료들은 나무위키를 비롯한 백과프로그램에 활용하시면 될 듯 싶고요. 내일은 센트럴리그와 관련한 자료를 4월에 처음으로 올려놓게 될 예정입니다. 이번 주의 마지막 자료가 되는 쿄진군 요미우리 자이언츠와 관련한 자료를 이어서 올려놓도록 하겠습니다.

 

 

 

 

 

현대 유니콘스 워드마크 로고.ai
0.08MB
현대 유니콘스 엠블럼 로고.ai
0.12MB
현대 유니콘스 1998 한국시리즈 우승 기념 엠블럼 로고.ai
0.17MB
현대 유니콘스 2000 한국시리즈 우승 기념 엠블럼 로고.ai
0.19MB
현대 유니콘스 2003 한국시리즈 우승 기념 엠블럼 로고.ai
0.16MB
현대 유니콘스 2004 한국시리즈 우승 기념 엠블럼 로고.ai
0.19MB
현대 유니콘스 마스코트 유니 로고.ai
0.10MB
현대 유니콘스 마스코트 유니 엠블럼 로고.ai
0.15MB

 

 

 

 

 

 

지난번에 말씀드렸던 KBO의 고전이 된 현대 유니콘스의 자료들입니다.

 

 

치바 롯데 마린즈,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의 자료들이 많이 밀려 있던 터라 이들 자료들을 먼저 정리하는 데 중점을 뒀고요. 지난주에 정리가 완료됐기 때문에 현대 유니콘스의 자료들을 이어서 정리할 수 있게 됐습니다. 현대 유니콘스가 2006년에 발간한 팬북에서 워드마크, 엠블럼, 한국시리즈 우승 기념 엠블럼을 확보했으며 메인 마스코트인 유니와 유니의 엠블럼은 2001년에 발간한 문서를 통해 확보했습니다. 심볼과 또 다른 마스코트인 코니를 확보하지 못해 아쉽지만, 메인 마스코트인 유니를 활용한 엠블럼을 확보할 수 있어서 다행스럽게 생각합니다.

 

 

첫 번째 사진과 두 번째 사진이 각각 현대 유니콘스의 워드마크와 엠블럼이고요. 세 번째 사진, 네 번째 사진, 다섯 번째 사진, 여섯 번째 사진이 각각 현대 유니콘스의 1998년, 2000년, 2003년, 2004년 한국시리즈 우승 기념 엠블럼입니다. 일곱 번째 사진이 현대 유니콘스의 메인 마스코트인 유니고요. 마지막 여덟 번째 사진이 현대 유니콘스의 메인 마스코트인 유니의 엠블럼이 되겠습니다. 일곱 번째 사진과 여덟 번째 사진이 이번 게시물의 하이라이트라고 보시면 될 듯 싶습니다. 현재 시점에서 현대 유니콘스의 디자인을 봐도 전혀 촌스럽거나 시대에 뒤떨이지지 않고, 깔끔하고 세련됩니다. 마스코트도 일각수를 모티브로 디자인한 것도 참신하게 느껴집니다.

 

 

현대 유니콘스는 1995년 현대그룹이 태평양 돌핀스를 인수하여 탄생한 구단입니다. 삼미 슈퍼스타즈, 청보 핀토스, 태평양 돌핀스, 현대 유니콘스의 줄임말로 삼청태현이라고 하지요. 삼청태현이기에 인천광역시의 연고지를 이어받았지만, 1999년을 끝으로 현대그룹이 서울로 연고지의 이전을 추진했으며 이 과정에서 쌍방울 레이더스를 대신하여 여덟 번째 구단으로 새롭게 창단하여 인천에 둥지를 틀게 되는 SK 와이번스에게 연고지 권리금 54억 원을 받았습니다. 그러나, 모기업인 현대전자(현재 SK 하이닉스)의 경영난으로 인하여 서울특별시는 명목상 연고지가 되고, 무연고 구단이 됩니다. 2000년부터 2007년까지 실질적으로 수원에 눌러앉는 형태로 운영됐습니다. 연고지를 이전하는 과정에서 일방적으로 강행하면서 인천광역시에 어떠한 설명도 없었으며 추진하는 과정 속에서 양해를 구하지도 않아 많은 비판을 받았습니다. 저 역시도 현대그룹이 인천광역시에 양해를 구하지 않고 연고지의 이전을 추진했던 점은 잘못됐다고 생각합니다. 인천광역시에 진정성이 있게 양해를 구했어야 했습니다. 현대그룹의 무모한 행태로 인해서 인천야구의 계보가 끊기는 아픔도 있었으며 KBO의 구단별 족보가 복잡하게 되는 불편함도 초래됐습니다. 제가 인천과 아무런 인연이 없고, 현대 유니콘스의 팬도 아니지만 이 부분은 비판하고 싶습니다.

 

 

여러 논란이 있고, 과도 많지만, 현대 유니콘스가 우리나라 프로야구에 보여 준 긍정적인 면도 많다고 판단합니다. 현대 유니콘스는 프런트가 김용휘 사장을 중심으로 뛰어난 역량을 갖추고 있었기에 어려웠던 시기에도 좋은 성적을 낼 수 있었다고 봅니다. 김용휘 사장이 언론과 몇 차례 인터뷰하면서 프런트가 가져야 할 자세와 추진해야 하는 방향에 대해서 지금도 최적화된 모범 답안이라고 생각합니다. 선수단의 처우와 연봉 협상 등 다양한 경영 기법을 제시한 점도 높이 평가합니다. 투수 왕국이라는 말처럼 KBO에서 주름잡던 투수들을 많이 배출한 구단 역시 현대 유니콘스였습니다. 선수단의 지원도 일본 미즈노와 일찌감치 야구용품의 계약을 체결하면서 유니폼을 비롯해 장비들이 품질이 상당히 우수한 것으로 손꼽힙니다. 지금도 현대 유니콘스의 용품들을 거래하려면 가격대가 높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1996년부터 2007년까지 존속했던 현대 유니콘스가 1998년, 2000년, 2003년, 2004년까지 무려 네 차례의 한국시리즈 우승을 달성할 정도로 KBO에 큰 족적을 남겼다고 생각합니다.

 

 

현대 유니콘스가 2000년까지 현대그룹에서 많은 지원을 받아서 운영되다가 2001년부터 현대전자가 하이닉스로 사명을 변경하고, 계열분리로 채권단의 관리를 받게 되면서 2006년까지 범 현대가로부터 지원을 받아 운영됩니다. 2001년은 정민태의 쿄진군 요미우리 자이언츠 이적료와 주요 선수들을 현금 트레이드로 내보내며 받은 트레이드 머니로 운영됐고요. 광고비 형식으로 2002년부터 2005년까지 현대그룹의 지원, 2002년부터 2006년까지 현대자동차그룹과 현대해상의 지원으로 구단이 운영됐습니다. 마지막 시즌인 2007년은 현대해상의 헬멧 광고료와 KBO의 야구기금으로 간산히 운영됐습니다.

 

 

현대 유니콘스와 관련한 자료는 이쯤에서 마무리짓고요. 메인 마스코트인 유니와 유니의 엠블럼은 나무위키를 비롯한 백과프로그램에 활용하시면 될 듯 싶습니다. 심볼과 또 다른 마스코트인 코니는 추후 확보하는 대로 별도의 게시물로 정리해서 올려놓도록 하겠습니다.

 

 

내일은 일본의 J리그와 관련한 자료를 정리해서 올려놓을 생각이고요. 24일에 쿄진군 요미우리 자이언츠와 관련한 자료들을 이어서 정리할 방침입니다. 내일은 간만에 일본의 J리그와 관련한 자료들을 정리해서 올려놓도록 하겠습니다.

 

 

 

 

 

FUKUOKA SOFTBANK HAWKS 20TH ANNIVERSARY EMBLEM Logo Vector.ai
0.90MB
FUKUOKA SOFTBANK HAWKS 20TH ANNIVERSARY UNIFORM Logo Vector.ai
0.30MB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의 20주년 기념 유니폼도 확보했습니다.

 

 

지난달 월말에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의 20주년 기념 유니폼을 확보하는 데 성공했고요. 지난달에 올렸던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의 20주년 기념 엠블럼과 이번 게시물을 통해 함께 올려놓게 됐습니다.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가 탄생한지 어느덧 20주년이 됐습니다. 후쿠오카 다이에 호크스가 2004년을 끝으로 모기업인 다이에의 경영난으로 인해서 소프트뱅크로 야구단이 넘어가게 되었지요. 2005년부터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로 새롭게 거듭났으며 2025년을 기준으로 어느덧 20년이라는 시간이 흘렀습니다. 다이에 시절을 넘어 소프트뱅크로 넘어오면서 2010년 황금기를 구가하고, 일본프로야구의 최강자라는 타이틀을 얻었습니다. 2020년을 끝으로 리툴링을 거치는 과정이라서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가 2010년대와 달리 주춤하고 있는 형국입니다.

 

 

첫 번째 사진이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의 20주년 기념 엠블럼이고요. 두 번째 사진이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의 20주년 기념 유니폼이 되겠습니다.

 

 

앞서 말씀드린 바와 같이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의 20주년 기념 엠블럼과 유니폼을 함께 올린 이유는 정리하는 차원에서 올려놓았습니다. 유니폼의 디자인은 비지타 유니폼을 활용해서 안타까운 마음입니다. 사견으로 후쿠오카 다이에 호크스를 인수한지 어느덧 20주년이 흘렀기 때문에 다이에 시절의 복각 유니폼을 활용하는 방향이 어땠을까 싶습니다. 20주년 기념 엠블럼을 부착한 비지타 유니폼을 활용한 형태라 아쉬움이 많이 남습니다. 유니폼을 보시면 등번호가 7번이라는 걸 확인하실 수 있는데요. 등번호의 주인공은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의 외야수인 나카무라 아키라가 되겠습니다. 나카무라 아키라는 2007년에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의 지명을 받은 이래로 현재까지 팀의 주축으로 활약하고 있는 원클럽맨이기도 합니다.

 

 

비교적 이른 시일 내에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의 20주년과 관련한 자료들을 정리해서 다행스럽게 생각하고요. 아직 확보되지 않고 있는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즈의 75주년 기념 엠블럼과 히로시마 도요 카프의 카프 보야 50주년 기념 엠블럼도 확보하는 대로 별도의 게시물로 정리할 생각입니다.

 

 

제가 내일과 주말에 일정이 바빠서 블로그를 쉴 예정이며 22일, 23일, 24일에 중점적으로 자료들을 정리할 방침입니다. 22일에 지난번에 말씀드린 대로 현대 유니콘스의 마스코트인 유니의 엠블럼을 정리해서 올려놓을 생각입니다. 이후에 J리그와 쿄진군 요미우리 자이언츠와 관련한 자료들을 순차적으로 올려놓을 예정입니다. 다가오는 22일에 현대 유니콘스와 관련한 자료를 정리해서 올려놓도록 하겠습니다.

 

 

 

 

 

TOHOKU RAKUTEN GOLDEN EAGLES MASCOT CLUTCH 2024 ORIGINAL Logo Vector.ai
0.19MB
TOHOKU RAKUTEN GOLDEN EAGLES MASCOT CLUTCHENA 2024 ORIGINAL Logo Vector.ai
0.23MB
TOHOKU RAKUTEN GOLDEN EAGLES MASCOT SWITCH 2024 APPLICATION BEST THUMS-UP Logo Vector.ai
0.21MB
TOHOKU RAKUTEN GOLDEN EAGLES MASCOT CLUTCH CLUTCHENA SWITCH 2024 Logo Vector.ai
0.48MB
TOHOKU RAKUTEN GOLDEN EAGLES 2025 SLOGAN Logo Vector.ai
0.11MB

 

 

 

 

 

 

치바 롯데 마린즈를 거쳐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로 이어집니다.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가 2024년을 맞아 마스코트들인 클러치, 클러치나, 스위치를 새롭게 리뉴얼했는데요. 디자인을 새롭게 리뉴얼한 자료이기 때문에 이른 시일 내에 확보하고 싶었던 마음이 컸습니다만, 1년이라는 시간이 지난 지난달 월말에 확보하는 데 성공했습니다. 또한,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의 2025년 시즌 슬로건도 함께 확보했습니다. 확보하고 싶었던 자료들을 확보해서 다행스럽게 생각합니다.

 

 

첫 번째 사진이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의 메인 마스코트인 클러치고요. 두 번째 사진이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의 여성 마스코트인 클러치나입니다. 세 번째 사진이 2016년에 새롭게 등장했던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의 서드 마스코트인 스위치입니다. 네 번째 사진이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의 3인조 마스코트들인 클러치, 클러치나, 스위치가 함께 있는 모습입니다. 마지막 다섯 번째 사진이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의 2025년 시즌 슬로건이 되겠습니다.

 

 

여러 차례 말씀드린 것처럼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가 2024년을 맞아 디자인을 새롭게 리뉴얼했는데요. 마스코트도 이에 해당됐습니다. 또한, 홈 유니폼도 새롭게 디자인했기 때문에 홈 유니폼에 맞춰 마스코트들의 디자인을 적용했고요. 기존의 자료들과 비교해 볼 때 어린 아이들의 관점에서 친숙한 느낌입니다. 제가 볼 때 2023년까지 사용한 디자인이 오히려 더 낫다는 느낌입니다. 전반적인 깔끔하고 어린 아이들의 관점을 맞췄다고 생각하는데 성인들의 관점에서 아닐 수 있겠다는 감상입니다. 그래도 리뉴얼한 디자인이 적용된 마스코트들을 확보해서 정리할 수 있어서 다행스럽습니다.

 

 

메인 마스코트인 클러치와 여성 마스코트인 클러치나는 기본형인 데 반해 서드 마스코트인 스위치는 기본형이 아닙니다. 그래서 서드 마스코트인 스위치의 기본형이 확보되는 대로 별도의 게시물로 다시 한 번 정리하는 기회를 갖을 생각입니다.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의 슬로건도 처음으로 올리는 것 같습니다. 슬로건을 확보하기 어려운 구단 중에 하나였는데요. 마스코트들인 클러치, 클러치나, 스위치와 함께 확보할 수 있었습니다.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의 2025년 시즌 슬로건은 ' キ! '입니다. 슬로건의 방향은 기본, 기합, 환희라는 단어에 들어가는 키를 핵심으로 잡은 것이고요. 의미는 슬로건의 문구에 들어간 것처럼 기본을 중요시하고, 기합을 넣어, 토호쿠 지방에 환희를 안기자는 뜻입니다. 제가 이번 게시물에 올린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의 2025년 시즌 슬로건이 갖는 또 다른 의미가 있는데요. 바로 미키 하지메 감독의 시대를 알리는 첫 번째 슬로건이라는 점에 있습니다. 그래서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의 감독인 미키 하지메 시대의 첫 번째 슬로건인 셈이지요. 각별한 의미를 갖는 슬로건을 올려놓을 수 있어서 기쁘게 생각합니다.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의 새롭게 리뉴얼된 마스코트들인 클러치, 클러치나, 스위치의 자료들과 2025년 시즌 슬로건은 이쯤에서 마무리짓고요. 관련한 자료들은 나무위키를 비롯한 백과프로그램에 유용하게 활용하시면 될 듯 싶습니다. 내일은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의 20주년 기념 유니폼을 확보했기 때문에 이와 관련하여 자료들을 정리해서 올려놓을 계획입니다. 다음주에 현대 유니콘스의 메인 마스코트인 유니를 활용한 엠블럼과 쿄진군 요미우리 자이언츠와 관련한 자료들을 올려놓을 예정이고요. 내일은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의 20주년 기념 엠블럼과 유니폼을 정리해서 올려놓도록 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