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궁화호 시절의 11289 새마을호 격하형 객차
찍었던 사진이 좋은 효력을 발생시킬 줄은 몰랐다.
2019년 5월 무렵 8000호대 전기기관차를 잡으러 철암역으로 가기 위해 담았던 무궁화호 11289 객차이다. 이 날은 철암역에 정작 8000호대가 아닌 8500호대 전기기관차가 있어서 이렇다 할 소득 없이 돌아와야만 했다.
철암역에 8000호대가 있을 거란 막연한 기대를 갖고, 기분 좋게 11289 객차를 담았는데 이 객차가 이번 게시물의 소재를 쓰일 줄은 2019년 5월 당시에는 전혀 몰랐다. 얼마 전에 알게 된 사실이지만, 11289 객차가 에코레일로 편성됐다는 소식을 접했다.
에코레일은 1999년 대우중공업에서 제작한 새마을호 객차 중 3량이 새마을호 도색을 한 채 운영되고 있었다. 참고로, 11174 11175 11186 이 객차들이 그야말로 최후의 새마을호 객차로 남게 됐다. 남아 있는 세 량의 새마을호 객차들이 에코레일뿐만 아니라 임시열차 내지 관광열차로도 종종 활약했다고 한다. 그러다가 얼마 전에 무궁화호 특실을 거쳐 일반실로 활약하고 있던 11289 객차가 기존에 있던 11174 11175 11186 객차들과 함께 에코레일 도색이 칠해져 편성됐다고 한다.
11289 객차는 새마을호 일반식, 무궁화호 특실, 무궁화호 일반실, 에코레일로 편성되면서 다사다난한 운명이라고 하겠다. 에코레일로 편성됐던 1999년 대우중공업에서 제작한 새마을호 객차를 12량이 아닌 50량에서 60량 정도까지 제조를 했으면 어땠을까 싶다. 그랬다면 무궁화호 리미트 객차를 새마을호로 개량하지도 않았을 거고, 장항선과 호남선, 전라선과 경부선 등지에서 각각 정규열차와 임시열차로 새마을호가 현역으로 활약하면서 객차 부족도 크게 문제시 되지 않았을 거란 생각에서다.
코로나로 인해서 철도와 가까워지기 힘든 시간이지만, 기존에 찍었던 사진이 좋은 소재가 될 수 있다는 점에서 답답함이 풀려가는 것 같다.
'철도(鐵道) > 열차(列車)'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6년과 2018년 장항선에서 마주한 7300호대 견인 여객열차들 (0) | 2020.07.05 |
---|---|
2018년 경부선 서울 동대구 무궁화호 1309 열차와 행선판 (2018. 10. 12) (0) | 2020.06.30 |
2020년을 맞아 새롭게 탄생한 무궁화호 행선판 (0) | 2020.06.10 |
CDC 디젤동차 베리에이션 - 통근열차, 평화열차, 바다열차, 무궁화호 (0) | 2020.06.09 |
각기 다른 세 종류의 1682 무궁화호 열차 (0) | 2020.05.30 |
2016년과 2018년 장항선에서 마주한 7300호대 견인 여객열차들
그간 장항선에서 찍었던 여객열차들을 처음부터 살펴봤다.
장항선에서 찍었던 열차들을 다시 한 번 살펴보면서 얻었던 공통점은 바로 7300호대가 견인했던 열차들이 주가 됐다는 점이다. 7400호대도 있긴 하다. 의도했던 건 아니었지만, 7300호대가 대부분이라 이번 게시물의 주제도 7300호대가 되겠다.
지나간 시간을 다시 되돌려 보면서 각각의 사진들이 하나의 추억 내지 하나의 기록으로 남았단 사실이다. 첫 번째 사진의 7333호 디젤기관차가 견인하는 서대전 ↔ 용산 1556 무궁화호의 경우 2016년 12월 9일 여객열차 시간표가 개정되면서 장항선을 경유하여 운행하는 서대전역 착발 여객열차가 역사로 남게 됐다는 걸 의미한다. 네 번째 사진의 7368호 디젤기관차가 견인하는 용산 ↔ 익산 1153 새마을호는 PP 부수객차가 내구연한 초과로 퇴역하게 되면서 우리가 알던 새마을호 열차가 아닌 리미트 객차를 개조한 새마을호로 운행되고 있다. 우리가 알던 새마을호도 그야말로 역사로 남게 됐다.
철도의 역사로 갖는 의미뿐만 아니라 계절적인 의미로도 많이 변했다고 할 수 있다. 판교역에서 촬영한 첫 번째 사진은 7333호 디젤기관차가 견인하는 서대전 ↔ 용산 1556 무궁화호, 각각 청소역에서 촬영한 두 번째 사진의 7316호 디젤기관차가 견인하는 용산 ↔ 익산 1151 새마을호와 세 번째 사진의 7379호 디젤기관차가 견인하는 용산 ↔ 익산 4891 서해금빛열차, 웅천역에서 촬영한 네 번째 사진은 7368호 디젤기관차가 견인하는 용산 ↔ 익산 1153 새마을호는 모두 2016년에 촬영한 사진들이다. 사진들을 보면 뿌옇다는 것을 어렵지 않게 찾아볼 수 있다. 바로 미세먼지의 공습이다. 2010년대 초중반부터 미세먼지라는 단어가 언론 매체에 등장하게 되는데 2016년에 들어서 미세먼지가 우리의 일상이 됐다는 점이다. 마지막 다섯 번째 사진은 대천역에서 촬영한 7318호 디젤기관차가 견인하는 용산 ↔ 익산 1553 무궁화호이다. 대천역에서 2018년에 촬영했다. 2018년에는 장마가 엄청 일찍 끝나면서 상상을 초월하는 무더위를 겪었던 시절이다. 두 달 가까이 무더위로 연일 기록 갱신이 뉴스에 보도가 됐던 시절이기도 하다. 두 번 다시는 겪어 보고 싶지 않다고 단언할 수 있는 여름이라고 보면 되겠다.
작게는 2년, 크게는 4년이라는 시간 동안 많은 것이 변했음을 다시 한 번 실감하게 된다. 시간의 흐름이 갖는 무상함이랄까.
시간 날 때마다 했던 기차여행은 코로나로 인해 하지 못하고 있지만, 지난 날 찍었던 사진들이 시간이 지나 역사적 의미를 갖게 된다는 점이 사진이 주는 또 하나의 힘이라고 생각한다.
'철도(鐵道) > 열차(列車)'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무궁화호 시절의 11289 새마을호 격하형 객차 (2) | 2020.11.25 |
---|---|
2018년 경부선 서울 동대구 무궁화호 1309 열차와 행선판 (2018. 10. 12) (0) | 2020.06.30 |
2020년을 맞아 새롭게 탄생한 무궁화호 행선판 (0) | 2020.06.10 |
CDC 디젤동차 베리에이션 - 통근열차, 평화열차, 바다열차, 무궁화호 (0) | 2020.06.09 |
각기 다른 세 종류의 1682 무궁화호 열차 (0) | 2020.05.30 |
2018년 경부선 서울 동대구 무궁화호 1309 열차와 행선판 (2018. 10. 12)
사진을 찍어 두고 잊어버리고 있었다.
폰으로 촬영한 사진인데 얼마 전에야 새롭게 발견했다. 사진을 촬영한 날짜를 보면서 예전 희방사, 탑리, 화본, 반곡을 목표로 다녀왔던 걸 기억에서 끄집어낼 수 있었다. 사진뿐만 아니라 기존에 올렸던 서울 동대구 1309 무궁화호 열차 승차권도 다시 꺼내 본다. 승차권까지 꺼내 보면서 기억이 더욱 또렷하게 난다.
서울을 떠날 때 펼쳐진 야경을 시작으로 동대구역에 도착했을 무렵 시원함과 서늘한 기운까지도 생생하게 느껴진다. 중앙선을 처음으로 탑승하면서 탑리, 화본, 희방사 등 특색 있고 아름다움을 지닌 절경을 지닌 기차역을 거칠 때 느꼈던 성취감과 풍경에 빠져들던 황홀함마저 떠올리게 된다. 한 가지 흠이었다면 아침 저녁으로는 가을의 일교차가 있어서 낮에 덥다는 걸 미처 생각하지 못한 옷차림으로 갔던 기억이다. 반곡까지 이어오면서 체감했던 더위를 제외하곤 만족할 만한 답사였다.
2018년이 덥기는 정말 더웠던 해였다. 불과 2년 전이었지만, 장마마저 반짝으로 끝나면서 6월 말부터 기승을 부리기 시작한 무더위는 8월 말이 되어서야 진정될 기미가 보였다. 무더위의 여진이 10월 중순에도 느껴질 정도였으니 2018년의 무더위는 기네스북에 남기에 충분했다. 지금 생각해 보면 어떻게 견뎠는지 상상조차 되지 않을 정도다.
동대구까지 운행한 무궁화호 1309 열차도 2018년 12월 격변의 시기를 맡게 되는데, 내가 다녀오고 난 뒤 두 달이 지나 무궁화호 1317로 개편이 됐고, 동대구에서 대전으로 구간이 단축되었다. 그래서 뜻하지 않게 이 날 발권한 승차권이 나름 의미를 가진 승차권이 되었다는 점도 내겐 특별했다. 또한, 찍어놓은 사진도 시간이 지났을 때 힘을 발휘한다는 것도 새삼스레 깨달았다.
'철도(鐵道) > 열차(列車)'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무궁화호 시절의 11289 새마을호 격하형 객차 (2) | 2020.11.25 |
---|---|
2016년과 2018년 장항선에서 마주한 7300호대 견인 여객열차들 (0) | 2020.07.05 |
2020년을 맞아 새롭게 탄생한 무궁화호 행선판 (0) | 2020.06.10 |
CDC 디젤동차 베리에이션 - 통근열차, 평화열차, 바다열차, 무궁화호 (0) | 2020.06.09 |
각기 다른 세 종류의 1682 무궁화호 열차 (0) | 2020.05.30 |
2020년을 맞아 새롭게 탄생한 무궁화호 행선판
2020년을 맞아 동해역을 기점으로 하는 무궁화호 행선판들이 새롭게 탄생했다.
첫 번째 사진의 강릉 ↔ 동해 구간의 무궁화호 RDC의 행선판을 제외하곤 두 번째 사진과 세 번째 사진의 동대구, 부전 방향의 열차들은 동해역이 아닌 강릉역까지 운행하던 열차들이었다. 마치 열차의 주인이 바뀐 셈이다.
올해 3월 초에 여객열차의 개편이 단행되면서 동해역이 시종착역의 타이틀을 갖게 되었다. 여객열차의 개편과 바뀐 행선판을 보면서 무궁화호의 역할도 점차 축소되는 걸 느낀다. 왕년의 무궁화호가 갖는 역할이 작아진다고 해야 할까.
예전 같으면 강릉역까지 가는 열차가 동해역에서 멈추면서 이러한 현실을 더욱 실감하게 된다. 무궁화호의 구간이 축소되는 것과 예전처럼 객차형 열차를 접하는 빈도도 줄어드는 느낌이다. 시간이 흐르면 흐를수록 동차형 여객열차의 모습을 더 자주보게 되지 않을까 생각한다.
두 번째 사진과 세 번째 사진의 행선판은 같은 열차다. 부전 ↔ 동해 구간을 운행하는 1682 무궁화호 열차가 운행을 마치고, 동해 ↔ 동대구 구간을 운행하는 1673 무궁화호 열차로 새롭게 운행을 준비하는 모습이다. 동해역에 도착하자 역직원들이 행선판을 바꿔 놓은 것이다. 1682 열차가 운행을 마치고 1673으로 운행하는 것도 처음 봤다. 무궁화호 RDC와 신기역을 목표로 다녀왔던 답사가 즐거웠던 게 바로 여기에 있었다.
'철도(鐵道) > 열차(列車)'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6년과 2018년 장항선에서 마주한 7300호대 견인 여객열차들 (0) | 2020.07.05 |
---|---|
2018년 경부선 서울 동대구 무궁화호 1309 열차와 행선판 (2018. 10. 12) (0) | 2020.06.30 |
CDC 디젤동차 베리에이션 - 통근열차, 평화열차, 바다열차, 무궁화호 (0) | 2020.06.09 |
각기 다른 세 종류의 1682 무궁화호 열차 (0) | 2020.05.30 |
동해역과 신기역에서 마주한 누리로 1640 누리로 1633 (2020. 5. 23) (0) | 2020.05.29 |
CDC 디젤동차 베리에이션 - 통근열차, 평화열차, 바다열차, 무궁화호
그간 수집한 CDC 디젤동차의 베리에이션들이다.
CDC 디젤동차를 처음 접했던 건 개조형이었던 무궁화호 RDC였고, 카메라에 처음으로 담았던 건 평화열차 DMZ-Train이었다. 평화열차 DMZ-Train에 이어 CDC 디젤동차, 바다열차, RDC 무궁화호의 순서로 카메라에 담았다. 하나 빼곤 다 담은 셈이다. 아직 담지 못한 한 가지가 과거 경북관광순환테마열차였던 경북나드리열차다. 한 종류씩 찍었던 게 어느덧 한 종류만 남게 되었다.
지금 찍은 사진들을 다시 보면서 역시 시간이 빨리 흐른다는 사실이다. 당시 보통 등급 여객 완행 열차인 통근열차가 없어진다는 소식을 듣고, 평화열차와 경원선, 초성리역과 전곡역까지 아울러서 다녀왔던 게 벌써 일 년이 훌쩍 지났다. 목표했던 8000호대 전기기관차를 놓치고, 정동진역에서 바다열차를 담았던 시절도 일 년 가까운 시간이 흘렀다. 영동선을 운행하는 무궁화호 RDC를 담았던 것도 어느덧 한 달이 다 되어 간다.
이렇게 찍어 둔 사진을 보고 추억을 회상할 수 있는 것도 재미지다는 생각이 든다. 초성리역에서 스텝이 꼬였던 것과 보기 좋게 8000호대 전기기관차를 놓치고, 바다열차라도 담자는 생각에 한여름의 무더위가 기승을 부리는 정동진역에서 대기타던 시간까지 기억의 한 편으로 자리잡았다.
이렇게 보면 시간이 아니라 사진이 약이라는 생각이다. 코로나가 진정되고 경북나드리열차를 담아서 2019년의 시간도 다시 한 번 회상하고 싶다.
'철도(鐵道) > 열차(列車)'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8년 경부선 서울 동대구 무궁화호 1309 열차와 행선판 (2018. 10. 12) (0) | 2020.06.30 |
---|---|
2020년을 맞아 새롭게 탄생한 무궁화호 행선판 (0) | 2020.06.10 |
각기 다른 세 종류의 1682 무궁화호 열차 (0) | 2020.05.30 |
동해역과 신기역에서 마주한 누리로 1640 누리로 1633 (2020. 5. 23) (0) | 2020.05.29 |
처음으로 카메라에 담았던 영동선 무궁화호 RDC 1829 열차 (2020. 5. 23) (0) | 2020.05.27 |
각기 다른 세 종류의 1682 무궁화호 열차
1682 무궁화호 열차의 역사를 설명하는 사진이라 하겠다.
전에도 올렸던 사진이라 중복의 의미가 강하지만 시간적 흐름을 설명하기 위해서 같이 첨부했다고 볼 수 있다.
첫 번째 사진이 2017년 1월 1일 동백산역에서 촬영한 부전 ↔ 정동진 구간의 1682 무궁화호 열차이고, 두 번째 사진이 2019년 5월 29일 석포역에서 촬영한 부전 ↔ 강릉 구간의 1682 무궁화호 열차이다. 이 두 사진이 예전에 촬영한 사진을 다시 올리는 것이다. 마지막 세 번째 사진이 2020년 5월 23일 신기역에서 촬영한 부전 ↔ 동해 구간의 1682 무궁화호 열차이다.
같은 1682 무궁화호 열차지만, 이들 열차는 각기 다른 특성을 지니고 있다. 강릉역 지하화가 되기 전까지는 디젤기관차가 견인했다. 강릉역 지하화가 완료되고 정동진역에서 강릉역으로 시종착역이 변경되면서 영주역에서 기관차 교체가 이뤄지기 시작한다. 영주역까지는 디젤기관차가 견인하고, 영주역에서 기관차가 교체되어 강릉역까지 전기기관차가 운행하는 형태를 띄기 시작한 것이다.
올해를 맞아 또 다시 시종착역이 강릉역에서 동해역으로 조정되면서 부전 ↔ 동해 구간으로 새롭게 바뀐 것이다. 즉, 운용되는 기관차의 형태가 바뀌었다는 것과 시종착역이 역사 신축, 열차 운용 등의 이유로 여러 차례 변경됐음을 의미한다. 같은 열번의 열차지만, 상기한 이유 등으로 인해 각기 다른 특성을 가진 것도 흥미로운 부분이 아닐까 싶다.
'철도(鐵道) > 열차(列車)'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0년을 맞아 새롭게 탄생한 무궁화호 행선판 (0) | 2020.06.10 |
---|---|
CDC 디젤동차 베리에이션 - 통근열차, 평화열차, 바다열차, 무궁화호 (0) | 2020.06.09 |
동해역과 신기역에서 마주한 누리로 1640 누리로 1633 (2020. 5. 23) (0) | 2020.05.29 |
처음으로 카메라에 담았던 영동선 무궁화호 RDC 1829 열차 (2020. 5. 23) (0) | 2020.05.27 |
2019년 황금돼지해의 철도 결산 - 경원선 통근열차의 마지막 (0) | 2019.12.31 |
동해역과 신기역에서 마주한 누리로 1640 누리로 1633 (2020. 5. 23)
태백선에서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자리잡은 동력분산식 전기동차 누리로이다.
과거 강릉역이 시종착역일 당시에는 전기기관차와 객차로 구성된 객차형 열차가 주류였으나 동해역으로 시종착역이 조정되면서 동력분산식 누리로가 주류가 되었다.
간선 전기동차인 EMU-150의 추가 발주분이 도입되고 나면 일반열차들 상당수가 객차형 열차가 아닌 동차형 열차로 바뀔 것이다. 코레일이 전동차로 패러다임을 바꾸게 된 주된 이유가 바로 누리로였다. 누리로가 패러다임의 변화를 가져온 셈이다. 누리로 인해 노후된 새마을호와 무궁화호가 객차형 열차가 아닌 전동차로 바뀌게 된 것이다. 전동차라 유지비가 싸고, 열차 입환 및 조성에 드는 인건비가 줄어드는 장점이 컸기 때문이다. 즉, 비용 절감의 효과를 톡톡히 누렸다고 볼 수 있다.
태백선의 누리로가 등장하게 된 이유가 열차 운용의 효율화로 볼 수 있겠다. 무궁화호의 객차 부족과 맞물려 태백선에 운용되던 무궁화호 객차가 주요 간선 및 로컬선으로 이동하고, 주요 간선과 로컬선에 사용되던 누리로가 태백선으로 이동하게 된 것이다.
이번 답사는 그야말로 대세가 된 누리로를 확인하고 온 것으로 정리할 수 있지 않을까 싶다. 첫 번째 사진이 신기역에서 촬영한 1640 누리로 열차이고, 두 번째 사진과 세 번째 사진이 동해역에서 촬영한 1633 누리로 열차인데 이들 사진이 누리로가 대세가 됐음을 설명하는 결과물이라고 볼 수 있다.
'철도(鐵道) > 열차(列車)' 카테고리의 다른 글
CDC 디젤동차 베리에이션 - 통근열차, 평화열차, 바다열차, 무궁화호 (0) | 2020.06.09 |
---|---|
각기 다른 세 종류의 1682 무궁화호 열차 (0) | 2020.05.30 |
처음으로 카메라에 담았던 영동선 무궁화호 RDC 1829 열차 (2020. 5. 23) (0) | 2020.05.27 |
2019년 황금돼지해의 철도 결산 - 경원선 통근열차의 마지막 (0) | 2019.12.31 |
자석도색부터 고추장도색까지 이어져 오는 7500호대 디젤기관차들 (0) | 2019.11.30 |
처음으로 카메라에 담았던 영동선 무궁화호 RDC 1829 열차 (2020. 5. 23)
코로나로 인해서 전 지구적으로 난리다. 인체에 유해함을 넘어 경제까지 얼어붙게 만들고 있다. 치료제나 백신 개발도 상당한 시일이 걸릴 수 밖에 없다고 한다.
코로나의 위험성은 언론을 통해 익히 보도된 터라 많은 고민을 했다. 곧 있으면 날이 더워진다는 것과 치료제나 백신도 개발이 되려면 시일이 걸린다는 것을 고민하다가 날이 더워지기 전 이번에 한해 동해역과 신기역을 다녀오는 것으로 정했다. 동해역과 신기역을 오고갈 때 차내승차권을 발권하기 위해 누리로를 왕복으로 이용한 것을 제외하고 다녀오는 동안 자차를 이용했다. KF94 마스크는 당연히 착용했고, 다녀오는 동안 손소독제도 지참해서 사용했다는 점을 미리 밝힌다.
작년 8월 8000호대를 담기 위해 철암역에 다녀온 이후로 꽤 오랜만에 다녀오는 답사가 되겠다. 지난 3월 무렵 동해역에 KTX가 운행되기 시작하고, 태백선과 영동선의 일반열차들이 강릉역에서 동해역으로 시종착역이 조정되면서 강릉 ↔ 동해 구간의 환승 수요를 위해 무궁화호 RDC가 운행되기 시작했다. 그러다 6월부터 강릉 ↔ 동해 구간을 운행하는 무궁화호 RDC가 전량 누리로로 교체된다고 한다. RDC를 타본 적은 있지만 담아본 적은 없어서 동해역을 결정한 것이고, 신기역은 다녀오고 싶었던 역이라 묶어서 간 이유다. RDC의 경우 이번 기회를 놓치면 대구, 울산, 포항으로 가야만 하기 때문에 나름 불가피한 측면도 있었다.
동해역을 거쳐간 적은 많았지만, 가본 것도 처음이다. RDC와 함께 처음이라는 의미를 갖는 곳이다. 열차시간표를 확인하고 가지 않아 RDC가 있을지 내심 불안했는데 다행히도 플랫폼에 열차가 있어서 카메라에 담을 수 있었다. 곧 있으면 없어질 강릉 ↔ 동해 구간의 무궁화호 행선판과 함께 원하는 구도에서 열차를 담을 수 있었다. 무개화차만 아니었다면 더 좋은 구도가 나올 수도 있었는데, 이만하면 나쁘지 않다.
RDC도 기본 태생은 CDC에서 기초하는 차량이라 내구연한을 이미 초과한 열차이다. 1996년부터 1999년까지 생산된 열차라 진작에 퇴역했어야 할 열차인 셈이다. 2014년과 2018년에 RDC를 탑승한 적이 있어서 첫 만남은 아니다. 5년 간 내구연한을 연장했다고 해도 달릴 수 있는 시간이 그리 많이 남지 않았다. 있을 때 잘해란 말처럼 있을 때 담아둬야겠다. 남쪽에서만 만날 수 있는 열차를 푸른 동해 바다와 산을 둔 곳에서 만나 더없이 반갑기만 하다.
'철도(鐵道) > 열차(列車)'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각기 다른 세 종류의 1682 무궁화호 열차 (0) | 2020.05.30 |
---|---|
동해역과 신기역에서 마주한 누리로 1640 누리로 1633 (2020. 5. 23) (0) | 2020.05.29 |
2019년 황금돼지해의 철도 결산 - 경원선 통근열차의 마지막 (0) | 2019.12.31 |
자석도색부터 고추장도색까지 이어져 오는 7500호대 디젤기관차들 (0) | 2019.11.30 |
8000호대와 8500호대로 구성된 화물 전용 전기기관차들의 중련 모습들 (0) | 2019.10.20 |
2019년 황금돼지해의 철도 결산 - 경원선 통근열차의 마지막
2019년 기해년 한 해가 이렇게 저물어간다.
2019년 기해년 한 해가 저물어가면서 동시에 2010년대도 역사의 한 편으로 남게 된다.
2019년 황금돼지해의 철도 결산 중에 단연 손꼽힐 만한 건 경원선을 달리던 CDC 통근열차의 운행정지다. 운행정지라고 하지만 향후 경원선에서 통근열차를 볼 수 없는 게 맞다. 복선전철화가 될 즈음엔 수도권 전철이 통근열차를 대신하게 될 것이기 때문이다.
통근열차와 함께 경원선을 누비던 평화열차 DMZ-Train도 차량의 내구연한을 이유로 폐지될 가능성이 몹시 크다.
CDC 통근열차를 바탕으로 탄생해 강원도 동해안의 아름다운 풍경을 선사하는 바다열차 역시 누리로를 비롯한 대체 차량이 검토되고 있어서 CDC를 접할 수 있는 날이 그리 많지 않다.
통근열차를 타보자고 꼭 시간을 내서 가본 게 지금에서야 빛을 발휘하는 것 같다. 사진을 통해 차량과 행선판을 남겼고, 역사의 한 자락을 사진으로 남길 수 있어서다.
통근열차에 이어 무궁화호도 운영 시기가 얼마 남지 않았다고 한다. 무궁화호가 퇴역하게 되면 한국철도 역사상 객차형 여객열차가 사라지는 것을 의미하는데, 다가오는 2020년대에도 객차형 무궁화호의 마지막을 꼭 담으리라 다짐한다.
'철도(鐵道) > 열차(列車)'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동해역과 신기역에서 마주한 누리로 1640 누리로 1633 (2020. 5. 23) (0) | 2020.05.29 |
---|---|
처음으로 카메라에 담았던 영동선 무궁화호 RDC 1829 열차 (2020. 5. 23) (0) | 2020.05.27 |
자석도색부터 고추장도색까지 이어져 오는 7500호대 디젤기관차들 (0) | 2019.11.30 |
8000호대와 8500호대로 구성된 화물 전용 전기기관차들의 중련 모습들 (0) | 2019.10.20 |
철암역에서 마주한 또 다른 고추장도색 기관차 7538호 디젤기관차 (2019. 8. 27) (0) | 2019.09.24 |
자석도색부터 고추장도색까지 이어져 오는 7500호대 디젤기관차들
그간 담아왔던 7500호대 디젤기관차들이다.
과거 자석도색부터 현재 고추장도색에 이르기까지 나름대로 7500호대의 시대적 흐름을 정리하는 게시물이라 하겠다.
시기 역시 도색만큼 다양한데, 자석도색은 2016년에 촬영한 사진이고, 고추장도색은 2019년에 촬영한 사진으로 각각 다른 시기에 찍혔다. 차호도 7513호, 7527호, 7538호까지 다양하다고 말하고 싶다. 물론, 현재까지 담았던 7500호대는 사진에 나와 있는 기관차들이 전부다.
8000호대는 여러 번 게시물을 통해 정리를 했는데, 정작 카메라에 자주 담았던 7500호대가 없는 것 같아 정리하게 되었다. 8200호대와 8500호대는 각각 화물 견인, 여객 견인 모습을 담게 되면 정리해서 올릴 예정에 있다. 8200호대 화물 견인을, 8500호대는 여객 견인이 예정되어 있다고 보면 된다.
조만간 정선선을 경험해보고자 정선역에 다녀올 예정인데, 이때 8017호 전기기관차와 정선아리랑열차도 함께 담고 싶은 마음이 가득하다.
'철도(鐵道) > 열차(列車)'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처음으로 카메라에 담았던 영동선 무궁화호 RDC 1829 열차 (2020. 5. 23) (0) | 2020.05.27 |
---|---|
2019년 황금돼지해의 철도 결산 - 경원선 통근열차의 마지막 (0) | 2019.12.31 |
8000호대와 8500호대로 구성된 화물 전용 전기기관차들의 중련 모습들 (0) | 2019.10.20 |
철암역에서 마주한 또 다른 고추장도색 기관차 7538호 디젤기관차 (2019. 8. 27) (0) | 2019.09.24 |
3전 4기 끝에 담았던 8000호대 전기기관차 8093호와 8094호 (2019. 8. 27) (0) | 2019.09.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