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영혼

일본 프로야구 로고 및 마스코트 (日本 プロ野球 L&M ) +657

 

 

 

 

 

HIROSHIMA TOYO CARP EMBLEM 2002 2008 ORIGINAL Logo Vector.ai
0.12MB
HIROSHIMA TOYO CARP EMBLEM 2009 2022 ORIGINAL APPLICATION BACKGROUND Logo Vector.ai
0.14MB
HIROSHIMA TOYO CARP EMBLEM 2023 ORIGINAL APPLICATION BACKGROUND Logo Vector.ai
0.15MB
HIROSHIMA TOYO CARP SYMBOL 2023 Logo Vector.ai
0.07MB
HIROSHIMA TOYO CARP WORDMARK 2023 Logo Vector.ai
0.07MB

 

 

 

 

 

 

1월은 히로시마 도요 카프로 마무리짓습니다.

 

 

히로시마 도요 카프의 엠블럼이 디자인의 유사성으로 인해서 변경됐다는 걸 느끼지 못하고 있다가 이달 초에 히로시마 도요 카프의 자료를 찾다가 엠블럼이 2023년을 맞아 변경됐다는 걸 확인했습니다. 그래서 치바 롯데 마린즈에 이어서 히로시마 도요 카프를 게시물의 주제로 선정한 이유이기도 합니다. 2002년부터 사용된 엠블럼을 보유하고 있기 때문에 히로시마 도요 카프의 역대 엠블럼들을 시간별로 정리하도록 하겠습니다.

 

 

첫 번째 사진이 2002년부터 2008년까지 사용된 히로시마 도요 카프의 엠블럼이고요. 두 번째 사진이 2009년부터 2022년까지 사용된 히로시마 도요 카프의 엠블럼입니다. 세 번째 사진이 2023년에 디자인되어 현재까지 사용되고 있는 히로시마 도요 카프의 엠블럼이고요. 네 번째 사진이 2023년에 디자인되어 현재까지 사용되고 있는 히로시마 도요 카프의 심볼입니다. 마지막 다섯 번째 사진이 2023년에 디자인되어 현재까지 사용되고 있는 히로시마 도요 카프의 워드마크가 되겠습니다.

 

 

첫 번째 사진에 있는 엠블럼을 사용된 시기를 정확히 몰랐던 적이 있었는데요. 히로시마 도요 카프의 엠블럼은 유니폼과 모자 등을 따라간다는 특성을 이해하지 못한 점에서 비롯됐습니다. 히로시마 도요 카프의 역대 유니폼을 찾아보면서 2002년부터 2008년까지 사용된 자료라는 걸 확인했고요. 두 번째 사진에 있는 엠블럼은 2009년에 디자인되어 2022년까지 무려 13년 동안 사용됐습니다. 그만큼 친숙한 자료이지요. 세 번째 사진, 네 번째 사진, 마지막 다섯 번째 사진은 2023년에 새롭게 디자인됐으며 색상을 중심으로 디자인이 부분적으로 변경된 형태입니다.

 

 

히로시마 도요 카프는 현재까지 유일하게 야구 소년을 모티브로 하여 디자인에 활용하고 있는 구단입니다. 엠블럼에 있는 야구 배트를 들고 있는 소년이 바로 카프 보야인데요. 실제로 등장하지 않고 디자인으로만 등장하고 있기 때문에 명목상 마스코트로 분류하고 있습니다. 실질적인 마스코트는 슬라이리이지요. 카프 보야는 무려 1975년에 등장하여 현재까지 이르고 있는 마스코트면서 히로시마 도요 카프의 엠블럼에 적극적으로 활용되고 있습니다. 또한, 각종 협업은 물론 야구 관련 상품에 적극적으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2023년 히로시마 도요 카프의 마스코트인 카프 보야와 슬라이리의 자료들을 정리할 때 한꺼번에 올렸어야 했는데 자료의 확인이 많이 늦었습니다. 관련된 자료들은 나무위키를 비롯한 백과프로그램에 정리해 주셨으면 하는 마음이고요. 2023년에 변경되어 현재까지 사용되고 있는 디자인이기 때문에 관련 항목들이 현재에 맞게 변경되어야 합니다.

 

 

1월은 히로시마 도요 카프로 마무리짓고요. 제가 설날 연휴와 2월 초순까지 시간이 부족합니다. 그래서 대략 2월 5일에서 6일 전후에 블로그를 정리할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하는데요. 열흘 정도는 시간의 부족으로 블로그의 정리가 불가능할 것으로 판단하고요. 다음달 무렵에 한신 타이거스의 울트라 유니폼을 필두로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의 자료들을 순차적으로 정리해서 올려놓을 생각입니다. 앞서 말씀드린 2월 초순에 새로운 자료들과 함께 정리해서 올려놓도록 하겠습니다.

 

 

편안한 설연휴가 되시기를 희원하고요.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CHIBA LOTTE MARINES 2010 2013 AWAY UNIFORM NUMBER 7 Logo Vector.ai
0.27MB
CHIBA LOTTE MARINES 2010 2013 HOME UNIFORM NUMBER NUMBER 2 Logo Vector.ai
0.22MB
CHIBA LOTTE MARINES 2010 2013 THIRD UNIFORM Logo Vector.ai
0.22MB

 

 

 

 

 

 

정말 오래간만에 치바 롯데 마린즈의 자료를 올려놓습니다.

 

 

치바 롯데 마린즈의 과거와 관련된 자료를 확보하면서 이번 게시물을 통해서 올려놓게 되었고요. 2010년부터 2013년까지 사용된 치바 롯데 마린즈의 유니폼들을 이번 게시물을 통해서 정리할 생각입니다. 2010년부터 2013년까지 사용된 유니폼을 착용한 감독들이 바로 니시무라 노리후미와 이토 츠토무였습니다. 2010년에 치바 롯데 마린즈가 2024년의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즈보다 먼저 하극상이라는 퍼포먼스를 보여 주었습니다. 이때 치바 롯데 마린즈의 하극상과 日本一을 이끌었던 감독이 롯데 오리온즈-치바 롯데 마린즈 시절 달리는 쇼군으로 불렸던 니시무라 노리후미였고요. 같은 시기에 한화 이글스의 레전드였던 김태균이 치바 롯데 마린즈에서 활약하면서 日本一까지 경험하기도 했습니다. 치바 롯데 마린즈의 우승 유니폼과 관련이 깊은 자료라서 한 번쯤 정리하고 싶었습니다.

 

 

첫 번째 사진이 2010년부터 2013년까지 사용된 치바 롯데 마린즈의 비지타 유니폼이고요. 두 번째 사진이 2010년부터 사용된 치바 롯데 마린즈의 홈 유니폼입니다. 마지막 세 번째 사진이 2010년부터 2013년까지 사용된 치바 롯데 마린즈의 서드 유니폼이 되겠습니다.

 

 

먼저, 치바 롯데 마린즈의 홈 유니폼은 바로 핀스트라이프 유니폼으로 1995년에 디자인되어 현재까지 사용되고 있는데요. 기본적인 디자인은 동일하지만, 등번호와 광고, 엠블럼 패치 등이 해마다 변경되어 왔습니다. 본 게시물을 작성하고 보니까 치바 롯데 마리즈의 핀스트라이프 유니폼도 어느덧 30주년이라는 긴 시간 동안 사용되고 있다는 걸 느끼고 있습니다. 마지막 세 번째 사진에 있는 서드 유니폼은 같은 시기에 사용된 홈 유니폼과 비지타 유니폼을 혼합한 형태입니다. 기본적인 틀은 홈 유니폼인 핀스트라이프의 형태를 적용했으며 양쪽 팔 부분의 디자인을 비지타와 동일한 검은색을 사용했고요. 폰트도 비지타 유니폼과 동일한 디자인을 사용한 형태입니다. 마지막 세 번째 사진이 서드 유니폼은 처음 정리해서 올리는 자료이며 동시에 이번 게시물의 하이라이트가 되겠습니다.

 

 

어제 말씀드렸던 치바 롯데 마린즈의 2010년부터 2013년까지 사용된 유니폼을 정리했고요. 치바 롯데 마린즈의 과거도 함께 추억했습니다.

 

 

내일은 히로시마 도요 카프의 엠블럼들을 중점적으로 정리할 생각이고요. 히로시마 도요 카프의 최근 엠블럼을 수정할 필요가 있고, 동시에 시간별로 정리할 필요가 있어서 올려놓게 되는 게시물입니다. 히로시마 도요 카프의 엠블럼이 이번 달의 마지막 게시물이 될 예정입니다. 앞서 말씀드린 바와 같이 내일 히로시마 도요 카프의 과거와 현재 엠블럼들을 정리해서 올려놓도록 하겠습니다.

 

 

 

 

 

TOKYO YAKULT SWALLOWS CREW UNIFORM 2015 Logo Vector.ai
0.92MB
TOKYO YAKULT SWALLOWS CREW UNIFORM 2016 Logo Vector.ai
0.93MB
TOKYO YAKULT SWALLOWS CREW UNIFORM 2017 Logo Vector.ai
0.94MB
TOKYO YAKULT SWALLOWS CREW UNIFORM 2017 ORIGINAL Logo Vector.ai
0.99MB
TOKYO YAKULT SWALLOWS CREW UNIFORM 2021 Logo Vector.ai
0.11MB
TOKYO YAKULT SWALLOWS CREW UNIFORM 2023 Logo Vector.ai
0.13MB
TOKYO YAKULT SWALLOWS CREW UNIFORM 2024 Logo Vector.ai
0.13MB
TOKYO YAKULT SWALLOWS CREW UNIFORM 2025 Logo Vector.ai
0.13MB

 

 

 

 

 

 

어제 말씀드렸던 바와 같이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의 자료들을 이어서 정리합니다.

 

 

이번 게시물의 주제는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의 대표적인 이벤트이자 유니폼으로 대표되는 CREW입니다. 제가 이번 달 초에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의 CREW 2025 시즌 유니폼을 확보하는 데 성공했는데요. 다른 게시물들을 먼저 정리하면서 순서가 다소 밀렸습니다.

 

 

첫 번째 사진과 두 번째 사진이 각각 2015년 시즌과 2016년 시즌에 사용된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의 CREW 유니폼이고요. 세 번째 사진과 네 번째 사진이 모두 2017년 시즌에 사용된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의 CREW 유니폼이며 디자인이 다른 형태입니다. 다섯 번째 사진이 2021년 시즌에 사용된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의 CREW 유니폼이고요. 여섯 번째 사진이 2023년 시즌에 사용된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의 CREW 유니폼입니다. 일곱 번째 사진이 2024년 시즌에 사용된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의 CREW 유니폼이고요. 마지막 여덟 번째 사진이 2025년 시즌에 사용될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의 CREW 유니폼이 되겠습니다. 당연히 마지막 여덟 번째 사진이 이번 게시물의 하이라이트가 되겠습니다. 기존 시즌에 사용된 자료들은 정리하는 차원에서 함께 올려놓았습니다.

 

 

2024년 시즌의 유니폼은 1978년부터 1979년까지 사용된 비지타 유니폼을 모티브로 디자인한 게 느껴질 만큼 레트로의 느낌이 강하다면 2025년 시즌의 유니폼은 시원하면서 차가운 느낌입니다. 개인적으로는 2024년 시즌 유니폼이 가장 마음에 들었습니다. CERW 유니폼은 2018년, 2019년, 2020년, 2022년을 아직 확보하지 못했는데요. 확보하지 못한 연도의 자료들은 추후에 확보되는 대로 별도의 게시물을 통해서 정리하고 넘어갈 생각입니다. 확보하지 못한 연도의 자료도 이른 시일 내에 확보할 수 있도록 각별히 신경쓰겠습니다.

 

 

지난번에 말씀드렸던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의 2025년 시즌 CREW 유니폼을 마무리짓고요. 순서가 많이 밀렸던 두산 베어스의 철웅이도 내일 이어서 정리할 예정입니다. 2010년부터 2024년까지 사용된 원정 유니폼을 착용하고 있는 철웅이의 활용 버젼을 올려놓을 것이고요. KBO의 대표적인 마스코트로 선풍적인 인기를 끌고 있는 철웅이의 자료를 이어서 올려놓도록 하겠습니다.

 

 

 

 

 

HAWKS BASEBALL PARK CHIKUGO EMBLEM Logo Vector.ai
0.10MB
TAMA HOME STADIUM CHIKUGO APPLICATION VERTICAL BACKGROUND Logo Vector.ai
0.07MB
TAMA HOME STADIUM CHIKUGO APPLICATION VERTICAL Logo Vector.ai
0.07MB
FUKUOKA SOFTBANK HAWKS MASCOT HINAMARU APPLICATION INDICATION Logo Vector.ai
0.10MB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의 2군과 관련된 자료들을 정리합니다.

 

 

제가 며칠 전에 나무위키를 비롯한 백과프로그램을 둘러보다가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의 2군 홈구장인 HAWKS 베이스볼 파크 치쿠고를 확인했습니다. 확인한 결과 관련된 자료들이 벡터로 반영되지 않아서 이번 게시물을 통해서 올려놓게 되었고요. HAWKS 베이스볼 파크 치쿠고를 확인하면서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의 2군과 관련한 내용들이 있다는 것도 함께 살펴보게 됐습니다. 그래서 이번 게시물을 통해서 HAWKS 베이스볼 파크 치쿠고를 포함한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의 2군과 관련된 전반적인 내용들을 모두 정리했다고 보시면 될 듯 싶습니다. 관련된 자료들은 일찌감치 확보하면서 수월하게 정리할 수 있었습니다.

 

 

첫 번째 사진이 HAWKS 베이스볼 파크 치쿠고이고요. 두 번째 사진과 세 번째 사진이 타마홈 스타디움 치쿠고입니다. 각각의 차이는 두 번째 사진이 배경의 색상이 적용됐으며 세 번째 사진이 배경의 색상이 적용되지 않은 기본형입니다. 마지막 네 번째 사진이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의 2군 마스코트인 히나마루가 되겠습니다.

 

 

HAWKS 베이스볼 파크 치쿠고는 2016년에 완공된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의 2군과 3군의 홈구장입니다. 2군과 3군을 총칭한다고 보시면 되고요. 여기서 메인 스타디움의 명칭은 타마홈 스타디움 치쿠고로 정해졌습니다. 타마홈은 후쿠오카현을 기반으로 성장한 단독 주택 건설 업체고요. 건설로 시작하여 현재는 부동산, 광고, 호텔, 레저, 농업, 금융, 의류로 사업을 확장하여 그룹으로 성장한 업체입니다. 타마홈이 HAWKS 베이스볼 파크 치쿠고의 메인 스타디움에 대한 명명권을 10억 엔을 투입하여 20년 동안 취득하여 현재에 이르고 있습니다. HAWKS 베이스볼 파크 치쿠고는 비교적 최근에 건설되기도 했고, 최고의 시설을 갖추고 있어서 프로에 갓 입단하는 신인 선수들이 선망하는 시설입니다.

 

 

HAWKS 베이스볼 파크 치쿠고가 건립된 계기는 과거 후쿠오카 다이에 호크스 시절부터 사용되고 있던 2군 홈구장인 후쿠오카시 간노스 레크레이션 센터 야구장이 노후화된 데다 구단이 개보수해서 사용하기엔 절차가 워낙 복잡했으며 매점을 비롯한 편의시설을 운영하기도 어려웠기 때문입니다. 뿐만 아니라 실내 훈련장은 연습 야구장과 7㎞나 떨어져 있어서 이동에 불편함을 초래했으며 경기장이 주택가와 밀접한 위치에 있던 터라 야간 경기가 진행될 시에 주민들의 민원으로 어려움을 겪었습니다. 또한, 3군을 운영하면서 3군의 전용 구장도 필요하던 터라 후쿠오카현에 위치한 지자체들에게 신구장과 관련한 내용을 공고했고요. 심사 결과를 통해서 치쿠고시가 선정됐습니다.

 

 

구장의 건설은 앞서 말씀드린 타마홈이 10억 엔을 투자한 것과 모그룹인 소프트뱅크그룹이 4억 5천만 엔을 투자해 토지를 조성하고, 총 공사비 60억 엔으로 경기장을 건설했습니다. 2016년에 완공되어 본격적으로 가동되었고요. 참고로, 미즈호 PayPay돔 후쿠오카와 동일한 필드 규격과 펜스 높이를 비롯하여 동일한 크기로 건설됐습니다. 잔디 또한 인조잔디를 사용한 것이 특징입니다.

 

 

마지막 네 번째 사진에 있는 히나마루는 HAWKS 베이스볼 파크 치쿠고의 완공으로 2군 시설 이전과 맞물려 새롭게 디자인한 마스코트입니다. 그래서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가 일본프로야구의 열두 구단들 중에서 가장 많은 마스코트를 보유하고 있지요.

 

 

관련된 자료들을 나무위키를 비롯한 백과프로그램에 활용하시면 될 듯 싶습니다. 제가 내일은 시간의 부족으로 쉬고, 24일에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의 2025년 CREW 유니폼을 정리해서 올려놓도록 하겠습니다.

 

 

 

 

 

HANSHIN TIGERS 65TH ANNIVERSARY EMBLEM GET TOGETHER 2000 Logo Vector.ai
0.22MB
HANSHIN TIGERS 70TH ANNIVERSARY Logo Vector.ai
0.14MB
HANSHIN TIGERS 75TH ANNIVERSARY Logo Vector.ai
0.15MB
HANSHIN TIGERS 80TH ANNIVERSARY Logo Vector.ai
0.16MB
HANSHIN TIGERS 85TH ANNIVERSARY Logo Vector.ai
0.16MB
HANSHIN TIGERS 90TH ANNIVERSARY EMBLEM APPLICATION BACKGROUND Logo Vector.ai
0.09MB

 

 

 

 

 

 

한신 타이거스의 65주년과 90주년 기념 엠블럼을 올려놓습니다.

 

 

제가 원래는 내일부터 글을 집중적으로 정리할 예정이었습니다만, 개인적인 일정이 변경된 부분이 있어서 블로그의 정리 일정도 함께 변경됐습니다. 오늘과 내일 동안 양일간 한신 타이거스와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의 관련된 내용을 정리하고요. 23일을 쉬고, 24일부터 27일까지 마저 정리할 구상입니다. 쉬는 동안 한신 타이거스의 65주년과 90주년 기념 엠블럼을 확보하는 데 성공했습니다.

 

 

첫 번째 사진이 한신 타이거스의 65주년 기념 엠블럼이고요. 두 번째 사진, 세 번째 사진, 네 번째 사진, 다섯 번째 사진이 각각 한신 타이거스의 70주년, 75주년, 80주년, 85주년 기념 엠블럼입니다. 마지막 여섯 번째 사진이 한신 타이거스의 90주년 기념 엠블럼이 되겠습니다.

 

 

보시는 것처럼 한신 타이거스는 세는 햇수가 아닌 창단 연도인 1935년을 기준으로 만으로 단위를 셉니다. 그래서 첫 번째 사진이 2000년에 맞이했던 65주년 기념 엠블럼이고요. 마지막 여섯 번째 사진이 2025년에 맞이하게 되는 90주년 기념 엠블럼이 됩니다. 첫 번째 사진과 마지막 여섯 번째 사진이 각각 이번 게시물의 하이라이트가 되겠습니다. 70주년, 75주년, 80주년, 85주년 기념 엠블럼들은 정리하는 차원에서 올렸습니다. 쿄진군 요미우리 자이언츠에 이어 한신 타이거스도 어느덧 90주년이라는 장구한 역사를 보유하게 되었습니다. 확보하고 싶었던 자료였는데 1월 안으로 정리해서 올려놓을 수 있게 돼 다행으로 생각합니다.

 

 

한신 타이거스가 2025년이 90주년을 맞아 유니폼도 새롭게 디자인하고, 코럭키라고 불리는 새로운 마스코트도 추가했습니다. 토라키, 럭키, 키타에다 코럭키가 추가된 형태입니다. 현재 한신 타이거스의 메인 마스코트인 토라키는 확보했는데요. 아직 여성 마스코트인 럭키, 키타, 코럭키는 확보하지 못한 상태라 확보하는 대로 한신 타이거스의 마스코트와 관련된 내용들을 대대적으로 정리할 생각입니다. 또한, 각 구단별 슬로건도 확보되는 대로 정리해서 올려놓을 계획입니다.

 

 

한신 타이거스의 65주년과 90주년 기념 엠블럼은 이쯤에서 마무리짓고요. 관련된 자료들은 나무위키를 비롯한 백과프로그램에 활용하시면 될 듯 싶습니다.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의 후쿠오카 다이에 호크스 인수 기념 20주년 엠블럼도 확보하는 대로 정리해서 올려놓도록 하겠습니다. 내일은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와 관련된 내용을 올릴 예정인데요. 바로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의 2군 구장인 HAWKS 베이스볼 파크 치쿠고와 타마홈 스타디움 치쿠고, 2군 마스코트인 히나마루까지 정리해서 올려놓도록 하겠습니다.

 

 

 

 

 

KITA-KOBE DENEN SPORTS PARK ORIGINAL Logo Vector.ai
0.07MB
AJISAI STADIUM KITAKOBE Logo Vector.ai
0.06MB
BUSICOM YANAI STADIUM Logo Vector.ai
0.09MB

 

 

 

 

 

 

어제 말씀드렸던 북코베전원스포츠공원, 아지사이 스타디움 키타코베와 비지컴 야나이 스타디움의 자료를 올려놓습니다.

 

 

아지사이 스타디움 키타코베와 비지컴 야나이 스타디움 중에 아지사이 스타디움 키타코베는 일본프로야구의 2군 홈구장으로 사용됐던 곳이고요. 비지컴 야나이 스타디움은 코시엔과 밀접한 관련이 있어서 이번 게시물을 통해 정리하게 되었습니다.

 

 

첫 번째 사진이 북코베전원스포츠공원이고요. 두 번째 사진이 아지사이 스타디움 키타코베입니다. 마지막 세 번째 사진이 비지컴 야나이 스타디움이 되겠습니다. 북코베전원스포츠공원과 아지사이 스타디움 키타코베는 북코베전원스포츠공원 안에 야구장인 아지사이 스타디움 키타코베가 있는 것입니다.

 

 

먼저, 아지사이 스타디움 키타코베는 북코베 전원 스포츠 공원 야구장이 정식 명칭입니다. 이름에서처럼 일본 칸사이 지역인 효고현 코베시에 위치한 구장이며 2000년에 개장한 야구장입니다. 구장의 애칭은 시민들의 공모전을 통해 시화인 수국을 딴 아지사이 스타디움 키타코베로 결정됐습니다. 시설은 코베시가 소유하며 코베전철이 지정관리자로 설정되어 구장을 관리하고 있습니다. 구장의 규모는 중앙 122m, 좌우 99m의 크기를 가지고 있고, 4기의 조명탑이 설치되어 있으며 3,000명의 관중들을 수용할 수 있습니다.

 

 

아지사이 스타디움 키타코베는 2000년 완공 당시부터 오릭스 블루웨이브(당시는 2군 네이밍은 서패스 코베로 운영)의 2군 홈구장으로 사용되기 시작했고요. 서패스 코베, 서패스의 2군 네이밍이 끝나고, 오사카 킨테츠 버팔로즈와의 합병으로 거듭난 오릭스 버팔로즈로 역사가 이어져 2016년까지 2군 홈구장으로 사용됐습니다. 오릭스 버팔로즈는 2군인 팜의 웨스턴리그에 속해 있기 때문에 웨스턴리그의 홈구장 중에 한 곳이었습니다. 오릭스 버팔로즈가 2016년을 끝으로 2군의 본거지를 마이시마 베이스볼 스타디움이 있는 오사카시로 이전하면서 아지사이 스타디움 키타코베는 프로야구와 인연을 종료하게 되었습니다. 오릭스 버팔로즈가 2군 본거지를 이전한 이유는 아지사이 스타디움 키타코베의 구장 시설이 노후화됐기 때문입니다. 대신 2017년부터 현재까지 일본의 대표적인 독립리그 중에 한 곳인 사와카미 칸사이 베이스볼 리그에 참여하고 있는 효고 브레이버스의 홈구장으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비지컴 야나이 스타디움은 야마구치현 야나이시에 위치한 야구장이고요. 본래는 야나이시민구장이 정식 명칭입니다. 구장의 규모는 중앙 122m, 좌우 98m의 크기를 가지고 있고, 조명 시설은 보유하고 있지 않으며 내야 5,000명과 외야 3,000을 포함 도합 8,000명의 관중을 수용할 수 있습니다. 야나이시가 행정 개혁을 추진하면서 이른바 야나이 뉴딜의 일환으로 야나이시민구장의 명명권을 도입하기 위해 정책을 추진하게 되었고요. 그래서 편의점과 요식업 등에서 볼 수 있는 포스기(POS)와 키오스크를 전문적으로 제조하는 비지컴이 2009년 11월 1일에 구장의 명명권을 취득하면서 비지컴 야나이 스타디움으로 구장의 명칭이 확정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습니다. 참고로, 비지컴은 1988년 10월에 설립된 법인으로서 포스기와 키오스크 분야에서 규모가 있는 기업입니다.

 

 

비지컴 야나이 스타디움은 일본 고교야구 전국대회인 코시엔의 야마구치현 예선이 펼쳐지는 구장입니다. 그래서 코시엔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말씀드렸던 이유이기도 합니다.

 

 

아지사이 스타디움 키타코베는 추후에 오릭스 버팔로즈의 2군 홈구장인 마이시마 베이스볼 스타디움과 관련된 내용을 확보하게 되면 정리하는 차원에서 올려놓을 계획입니다. 일본프로야구의 지방경기장과 2군 홈구장들도 틈틈이 찾고 있고요. 확보되는 대로 별도의 게시물로 정리하도록 하겠습니다. 

 

 

관련 자료들은 나무위키를 비롯한 백과프로그램에 활용하시면 될 듯 싶습니다. 제가 1월과 2월 초순까지 바쁜 일이 많아서 시간의 부족을 실감할 걸로 보입니다. 1월 넷째주에 그나마 시간이 되어 이때를 활용하여 자료들을 중점적으로 정리할 예정입니다. 히로시마 도요 카프의 자료와 두산 베어스의 메인 마스코트인 철웅이와 관련된 자료들도 순차적으로 올려놓을 구상이고요. 한화 이글스의 엠블럼도 정리해야 하고, 한신 타이거스의 90주년 기념 엠블럼과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의 구단 인수 20주년 기념 엠블럼도 확보하는 대로 정리할 생각입니다.

 

 

제가 16일에 시간이 될 듯 하고요. 16일에 새로운 자료를 가지고 찾아뵙도록 하겠습니다.

 

 

 

 

 

YOKOHAMA DeNA BAYSTARS 2024 SLOGAN Logo Vector.ai
0.09MB
YOKOHAMA DeNA BAYSTARS 2023 HOME UNIFORM Logo Vector.ai
0.43MB
YOKOHAMA DeNA BAYSTARS 2023 HOME UNIFORM NUMBER 0 Logo Vector.ai
0.43MB

 

 

 

 

 

 

며칠 전에 확보한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즈의 2023 요코하마 스트라이프 홈 유니폼을 올려놓습니다.

 

 

올해가 지나가기 전에 이른바 우승니폼인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즈의 2023 요코하마 스트라이프 홈 유니폼을 확보했고요. 앞서 말씀드린 바와 같이 며칠 전에 확보했습니다.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즈의 2024년 일본시리즈 우승 기념 엠블럼까지 함께 확보하면 좋았을텐데 여러 모로 아쉬움이 남는 건 어쩔 수가 없습니다. 그래도 1998년 이후로 무려 26년 만에 日本一을 달성한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즈의 우승니폼을 확보했다는 것에 안도합니다.

 

 

첫 번째 사진이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즈의 2024년 공식 슬로건이고요. 두 번째 사진이 등번호가 적용되지 않은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즈의 2023 요코하마 스트라이프 홈 유니폼입니다. 마지막 세 번째 사진이 등번호가 적용된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즈의 2023 요토하마 스트라이프 홈 유니폼입니다. 등번호는 0번이고요. 등번호의 주인공은 오오타 타이시입니다. 오오타 타이스는 쿄진군 요미우리 자이언츠,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즈를 거쳐 2024년을 끝으로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즈에서 현역 생활을 마무리했습니다. 왼쪽 팔 부분에 있는 광고 패치는 중국의 가전제품 회사인 하이센스를 뜻하고요. 오른쪽 가슴 상단에 있는 노지마는 일본의 요코하마를 기반으로 하는 가전제품 양판점이라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즈의 현재 사용된 홈 유니폼은 2023년에 새롭게 디자인했고요. 요코하마 스트라이프라는 이름으로 불립니다. 요코하마만의 특징을 담은 스트라이프인 셈이지요.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즈의 2023 요코하마 스트라이프 홈 유니폼은 2024년 일본시리즈에서 우승을 달성한 日本一 유니폼이라는 점에서 각별하다고 볼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또한, 기품이 넘치는 요코하마의 특성을 닮아서 그런지 모르지만, 디자인이 깔끔하고 시원한 느낌을 줍니다.

 

 

추후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즈의 2024 일본시리즈 우승 기념 엠블럼을 확보한다면 별도의 게시물로 마무리지을 생각이고요. 일본시리즈 우승 기념 엠블럼도 조속히 확보할 수 있도록 힘쓰겠습니다. 관련된 자료들은 나무위키를 비롯한 백과프로그램뿐만 아니라 다양한 분야로 활용하시면 될 듯 싶고요. 내일은 현재까지 확보된 일본 SV.리그의 변경된 디자인들을 모아서 올려놓도록 하겠습니다.

 

 

 

 

 

CHUNICHI DRAGONS 2022 SLOGAN Logo Vector.ai
0.47MB
CHUNICHI DRAGONS SLOGAN 2024 Logo Vector.ai
0.93MB
CHUNICHI DRAGONS MASCOT DOALA ORIGINAL Logo Vector.ai
0.12MB
CHUNICHI DRAGONS MASCOT DOALA 2023 HOME UNIFORM APPLICATION WELCOME CONGRATULATION Logo Vector.ai
0.21MB

 

 

 

 

 

 

연말에 확보된 주니치 드래곤즈의 2024년 시즌 슬로건을 올려놓습니다.

 

 

주니치 드래곤즈의 자료를 간만에 블로그에 정리하여 올려놓는 것 같습니다. 며칠 전에 주니치 드래곤즈의 2024년 시즌 슬로건을 확보하면서 2024년이 가기 전에 정리할 필요성을 느꼈고요. 이번 게시물을 통해서 곧바로 관련 자료를 정리하게 되었습니다.

 

 

첫 번째 사진이 주니치 드래곤즈의 2022년 시즌 슬로건이고요. 두 번째 사진이 주니치 드래곤즈의 2024년 시즌 슬로건입니다. 세 번째 사진이 2018년부터 2022년까지 사용된 주니치 드래곤즈의 메인 마스코트인 도아라의 기본형이고요. 마지막 네 번째 사진이 2023년에 디자인되어 현재까지 사용 중인 주니치 드래곤즈의 메인 마스코트인 도아라의 인사 버젼입니다. 두 번째 사진이 이번 게시물의 하이라이트가 되겠습니다.

 

 

주니치 드래곤즈의 2024년 슬로건은 주니치 드래곤즈와 관련된 자료를 찾다가 뜻하지도 않게 확보된 경우입니다. 뜻하지 않게 확보된 자료라 놀라면서도 기뻤고요. 주니치 드래곤즈의 2022년 슬로건의 뜻은 모든 것은 승리를 위한다는 뜻입니다. 주니치 드래곤즈의 2024년 슬로건의 뜻은 용룡돌진이라는 단어이며 용감하게 나아간다는 뜻을 담고 있고요. 부제로 있는 영문은 항상 도전자가 되어 적을 이기자는 뜻을 담고 있습니다.

 

 

제가 이번 게시물을 통해서 올려놓은 2022년 슬로건과 2024년 슬로건이 가진 의미는 주니치 드래곤즈의 전임 감독이 된 타츠나미 카즈요시의 시대를 상징하는 슬로건이라는 점입니다. 타츠나미 카즈요시 감독의 시대를 알리는 슬로건이자 동시에 시대를 마무리짓는 슬로건이지요. 타츠나미 카즈요시는 호기 있게 주니치 드래곤즈의 감독이 되었지만 구시대적인 마음가짐과 여러 구설수에 휩싸이며 명선수는 명지도자가 될 수 없다는 격언을 상기시키면서 실패만을 남긴 채 처참하게 물러나게 되었습니다.

 

 

한 시대의 시작과 끝을 알리는 자료를 정리할 수 있어서 다행이라고 생각하고요. 관련된 자료들은 나무위키를 비롯한 백과프로그램에 정리해 주셨으면 하는 마음입니다. 아직 확보하지 못한 2024년의 슬로건은 확보되는 대로 별도의 게시물로 정리할 생각이고요. 다가오는 2025년의 슬로건들도 확보하는 대로 별도의 게시물로 정리할 구상입니다. 제가 19일과 20일은 시간의 부족으로 블로그를 쉬고요. 21일에는 2000년대 초중반의 향수를 자극하는 벅스 뮤직의 예전 CI를 정리해서 올려놓도록 하겠습니다. 21일에 벅스 뮤직과 함께 찾아오겠습니다.

 

 

 

 

 

롯데 자이언츠 2003 2008 엠블럼 기본형 로고.ai
0.13MB
롯데 자이언츠 2003 누리 엠블럼 로고.ai
0.27MB
롯데 자이언츠 마스코트 누리 2003 투구 버젼 로고.ai
1.28MB
CHIBA LOTTE MARINES 1995 2019 EMBLEM Logo Vector.ai
0.18MB
CHIBA LOTTE MARINES ORIGINAL EMBLEM MAR-KUN Logo Vector.ai
0.82MB
CHIBA LOTTE MARINES MASCOT MAR-KUN 2002 2019 APPLICATION PITCHING Logo Vector.ai
0.31MB

 

 

 

 

 

 

롯데 자이언츠와 치바 롯데 마린즈의 2000년대 초중반에 활용된 자료들을 올립니다.

 

 

며칠 전에 롯데 자이언츠의 메인 마스코트인 누리의 예전 자료들 중에서 투구 활용 버젼을 확보했습니다. 그래서 과거에 치바 롯데 마린즈의 메인 마스코트인 마군의 예전 자료들 중에서 투구 활용 버젼을 찾아보게 되었고요. 찾아본 결과 누리와 마군이 동시대에 같은 활용 버젼이 있다는 걸 최종적으로 확인하면서 이번 게시물을 통해서 엠블럼들과 함께 정리하게 되었습니다.

 

 

첫 번째 사진이 롯데 자이언츠의 2003년부터 2008년까지 사용된 엠블럼이고요. 두 번째 사진이 롯데 자이언츠의 2003년부터 2008년까지 사용된 메인 마스코트 누리 엠블럼입니다. 세 번째 사진이 롯데 자이언츠의 2003년부터 2008년까지 사용된 메인 마스코트인 누리의 투구 활용 버젼입니다. 네 번째 사진이 치바 롯데 마린즈의 1995년부터 2019년까지 사용된 프라이머리 엠블럼이고요. 다섯 번째 사진이 치바 롯데 마린즈의 2002년부터 2019년까지 사용된 메인 마스코트 마군 엠블럼입니다. 마지막 여섯 번째 사진이 치바 롯데 마린즈의 2002년부터 2019년까지 사용된 메인 마스코트인 마군의 투구 활용 버젼이 되겠습니다.

 

 

보시는 것처럼 이번 게시물은 2003년을 기점으로 메인 마스코트들인 누리와 마군을 활용한 디자인을 대칭적으로 정리했다는 걸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누리의 투구 활용 버젼을 확보하면서 본캐와 부캐로 불리는 치바 롯데 마린즈와 롯데 자이언츠의 예전 자료들을 추억에 젖을 겸해서 정리하였습니다. 누리와 마군이 사촌이라는 설정이 있다는 점도 감안했습니다. 롯데 자이언츠의 누리, 아라, 피니는 물론 윈지까지 시간이 되는 대로 찾고 있고요. 확보하는 대로 별도의 게시물로 정리할 생각입니다.

 

 

간만에 롯데 자이언츠와 치바 롯데 마린즈의 자료들을 정리했고요. 내일은 며칠 전에 간만에 확보한 일본프로야구와 관련된 자료를 정리할 예정입니다. 바로 주니치 드래곤즈의 2024년 슬로건을 확보하는 데 성공했고요. 내일은 주니치 드래곤즈의 2024년 슬로건을 정리해서 올려놓도록 하겠습니다.

 

 

 

 

 

YOKOHAMA DeNA BAYSTARS FANCLUB BLUE MATES APPLICATION VERTICAL TYPE Logo Vector.ai
0.07MB
YOKOHAMA DeNA BAYSTARS FANCLUB BLUE MATES ORIGINAL Logo Vector.ai
0.09MB
YOKOHAMA DeNA BAYSTARS FANCLUB BLUE MATES UNIFORM Logo Vector.ai
0.52MB
YOKOHAMA DeNA BAYSTARS KANAGAWA RELOCATION 70TH YEAR EMBLEM APPLICATION BACKGROUND Logo Vector.ai
0.11MB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즈의 자료 중에서 일본시리즈와 무관한 자료를 정리합니다.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즈의 2024년 일본시리즈 우승 기념 엠블럼이면 더욱 좋았겠습니다만, 자료가 쉽사리 확보되지 않았습니다. 아쉽지만,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즈의 2024년 일본시리즈 우승 기념 엠블럼은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고요. 과거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의 2015년 센트럴리그 우승 기념 엠블럼과 오릭스 버팔로즈의 2022년 일본시리즈 우승 기념 엠블럼도 늦게나마 확보했기 때문에 시간을 갖고 찾아볼 계획입니다. 꿩 대신 닭으로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즈의 팬클럽과 관련된 자료와 기념적인 자료를 동시에 확보했기 때문에 이번 게시물을 통해서 정리하려고 합니다.

 

 

첫 번째 사진과 두 번째 사진이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즈의 팬클럽인 블루메이츠고요. 각각의 차이는 가로형과 세로형입니다. 세 번째 사진이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즈의 팬크럽인 블루메이츠 유니폼입니다. 마지막 네 번째 사진이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즈의 카나가와현 연고지 이전 70주년 기념 엠블럼이 되겠습니다.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즈의 팬클럽과 관련된 명칭이 2023년을 맞아 변경됐는데요. 바로 블루메이츠라는 이름으로 변경됐습니다. 첫 번째 사진과 두 번째 사진을 통해서 블루메이츠의 엠블럼들을 정리했고요. 동시에 블루메이츠의 유니폼도 확보했기 때문에 동시에 정리했습니다.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즈의 카나가와현 연고지 이전 70주년 기념 엠블럼은 역사를 살펴봐야 합니다.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즈의 전신은 바로 타이요 훼일즈였고, 1950년에 야마구치현 시모노세키시에서 창단하였습니다. 시모노세키면 역사적으로 공부하게 되는 청일전쟁의 종전을 체결하게 되는 시모노세키 조약의 시모노세키입니다. 1953년 타이요 훼일즈와 쇼치쿠 로빈스와 합병하여 타이요쇼치쿠 로빈스로 구단명을 변경하면서 동시에 쇼치쿠 로빈스의 연고지인 쿄토시로 연고지를 이전합니다. 1954년 요쇼 로빈스 구단의 명칭을 변경하기도 했으나 1955년 쇼치쿠 로빈스의 모기업이었던 쇼치쿠 영화사가 구단의 운영을 포기하면서 구단의 명칭은 본래대로 타이요 훼일즈로 돌아갔고요. 이때 연고지를 카나가와현 카와사키시로 이전합니다. 당연히 홈구장은 카와사키 구장이었습니다. 1955년을 기준으로 세는 햇수로 70주년이 되는 해라서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즈가 카나가와현 연고지 이전 70주년 기념 행사를 펼친 것이지요. 1978년 요코하마 스타디움의 완공에 발맞춰 같은 카나가와현에 있는 요코하마시로 연고지를 이전하게 되고, 현재는 완전하게 요코하마시에 정착하게 됩니다.

 

 

꿩 대신 닭으로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즈의 자료들을 정리했고요.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즈의 2024년 일본시리즈 우승 기념 엠블럼을 확보하는 대로 KIA 타이거즈의 2024년 한국시리즈 우승 기념 엠블럼과 함께 별도의 게시물로 바로 정리할 생각입니다.

 

 

제가 3일, 4일, 5일은 시간상 블로그에 자료들을 정리할 시간이 되지 않습니다. 사흘 동안 블로그를 쉬고요. 6일에 자료들을 정리할 계획이고요. 6일에 올려놓을 자료는 몇 달 전에 확보한 격렬하고 무서운 어트랙션을 굴리는 경주월드의 국문 CI가 되겠습니다. 6일에 경주월드의 자료를 올려놓도록 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