롯데 자이언츠 누리와 치바 롯데 마린즈 마군의 2000년대 초중반 투구 활용 버젼 로고
롯데 자이언츠와 치바 롯데 마린즈의 2000년대 초중반에 활용된 자료들을 올립니다.
며칠 전에 롯데 자이언츠의 메인 마스코트인 누리의 예전 자료들 중에서 투구 활용 버젼을 확보했습니다. 그래서 과거에 치바 롯데 마린즈의 메인 마스코트인 마군의 예전 자료들 중에서 투구 활용 버젼을 찾아보게 되었고요. 찾아본 결과 누리와 마군이 동시대에 같은 활용 버젼이 있다는 걸 최종적으로 확인하면서 이번 게시물을 통해서 엠블럼들과 함께 정리하게 되었습니다.
첫 번째 사진이 롯데 자이언츠의 2003년부터 2008년까지 사용된 엠블럼이고요. 두 번째 사진이 롯데 자이언츠의 2003년부터 2008년까지 사용된 메인 마스코트 누리 엠블럼입니다. 세 번째 사진이 롯데 자이언츠의 2003년부터 2008년까지 사용된 메인 마스코트인 누리의 투구 활용 버젼입니다. 네 번째 사진이 치바 롯데 마린즈의 1995년부터 2019년까지 사용된 프라이머리 엠블럼이고요. 다섯 번째 사진이 치바 롯데 마린즈의 2002년부터 2019년까지 사용된 메인 마스코트 마군 엠블럼입니다. 마지막 여섯 번째 사진이 치바 롯데 마린즈의 2002년부터 2019년까지 사용된 메인 마스코트인 마군의 투구 활용 버젼이 되겠습니다.
보시는 것처럼 이번 게시물은 2003년을 기점으로 메인 마스코트들인 누리와 마군을 활용한 디자인을 대칭적으로 정리했다는 걸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누리의 투구 활용 버젼을 확보하면서 본캐와 부캐로 불리는 치바 롯데 마린즈와 롯데 자이언츠의 예전 자료들을 추억에 젖을 겸해서 정리하였습니다. 누리와 마군이 사촌이라는 설정이 있다는 점도 감안했습니다. 롯데 자이언츠의 누리, 아라, 피니는 물론 윈지까지 시간이 되는 대로 찾고 있고요. 확보하는 대로 별도의 게시물로 정리할 생각입니다.
간만에 롯데 자이언츠와 치바 롯데 마린즈의 자료들을 정리했고요. 내일은 며칠 전에 간만에 확보한 일본프로야구와 관련된 자료를 정리할 예정입니다. 바로 주니치 드래곤즈의 2024년 슬로건을 확보하는 데 성공했고요. 내일은 주니치 드래곤즈의 2024년 슬로건을 정리해서 올려놓도록 하겠습니다.
'일본 프로야구 로고 및 마스코트 (日本 プロ野球 L&M ) > 퍼시픽리그 Pacific Leagu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즈 팬클럽 블루메이츠 유니폼 카나가와 연고지 이전 70주년 기념 엠블럼 로고 Yokohama DeNA Baystars Fanclub Blue Mates Uniform Kanagawa Relocation 70th Year Emblem Logo Vector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즈의 자료 중에서 일본시리즈와 무관한 자료를 정리합니다.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즈의 2024년 일본시리즈 우승 기념 엠블럼이면 더욱 좋았겠습니다만, 자료가 쉽사리 확보되지 않았습니다. 아쉽지만,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즈의 2024년 일본시리즈 우승 기념 엠블럼은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고요. 과거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의 2015년 센트럴리그 우승 기념 엠블럼과 오릭스 버팔로즈의 2022년 일본시리즈 우승 기념 엠블럼도 늦게나마 확보했기 때문에 시간을 갖고 찾아볼 계획입니다. 꿩 대신 닭으로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즈의 팬클럽과 관련된 자료와 기념적인 자료를 동시에 확보했기 때문에 이번 게시물을 통해서 정리하려고 합니다.
첫 번째 사진과 두 번째 사진이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즈의 팬클럽인 블루메이츠고요. 각각의 차이는 가로형과 세로형입니다. 세 번째 사진이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즈의 팬크럽인 블루메이츠 유니폼입니다. 마지막 네 번째 사진이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즈의 카나가와현 연고지 이전 70주년 기념 엠블럼이 되겠습니다.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즈의 팬클럽과 관련된 명칭이 2023년을 맞아 변경됐는데요. 바로 블루메이츠라는 이름으로 변경됐습니다. 첫 번째 사진과 두 번째 사진을 통해서 블루메이츠의 엠블럼들을 정리했고요. 동시에 블루메이츠의 유니폼도 확보했기 때문에 동시에 정리했습니다.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즈의 카나가와현 연고지 이전 70주년 기념 엠블럼은 역사를 살펴봐야 합니다.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즈의 전신은 바로 타이요 훼일즈였고, 1950년에 야마구치현 시모노세키시에서 창단하였습니다. 시모노세키면 역사적으로 공부하게 되는 청일전쟁의 종전을 체결하게 되는 시모노세키 조약의 시모노세키입니다. 1953년 타이요 훼일즈와 쇼치쿠 로빈스와 합병하여 타이요쇼치쿠 로빈스로 구단명을 변경하면서 동시에 쇼치쿠 로빈스의 연고지인 쿄토시로 연고지를 이전합니다. 1954년 요쇼 로빈스 구단의 명칭을 변경하기도 했으나 1955년 쇼치쿠 로빈스의 모기업이었던 쇼치쿠 영화사가 구단의 운영을 포기하면서 구단의 명칭은 본래대로 타이요 훼일즈로 돌아갔고요. 이때 연고지를 카나가와현 카와사키시로 이전합니다. 당연히 홈구장은 카와사키 구장이었습니다. 1955년을 기준으로 세는 햇수로 70주년이 되는 해라서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즈가 카나가와현 연고지 이전 70주년 기념 행사를 펼친 것이지요. 1978년 요코하마 스타디움의 완공에 발맞춰 같은 카나가와현에 있는 요코하마시로 연고지를 이전하게 되고, 현재는 완전하게 요코하마시에 정착하게 됩니다.
꿩 대신 닭으로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즈의 자료들을 정리했고요.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즈의 2024년 일본시리즈 우승 기념 엠블럼을 확보하는 대로 KIA 타이거즈의 2024년 한국시리즈 우승 기념 엠블럼과 함께 별도의 게시물로 바로 정리할 생각입니다.
제가 3일, 4일, 5일은 시간상 블로그에 자료들을 정리할 시간이 되지 않습니다. 사흘 동안 블로그를 쉬고요. 6일에 자료들을 정리할 계획이고요. 6일에 올려놓을 자료는 몇 달 전에 확보한 격렬하고 무서운 어트랙션을 굴리는 경주월드의 국문 CI가 되겠습니다. 6일에 경주월드의 자료를 올려놓도록 하겠습니다.
'일본 프로야구 로고 및 마스코트 (日本 プロ野球 L&M ) > 센트럴리그 Central League'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신 타이거스 2군 홈구장 한신나루오하마 구장 일철강판 한신 타이거스 2군 홈구장 닛테츠코한 SGL 스타디움 아마가사키 제로 카본 베이스볼 파크 로고 Hanshin Tigers Farm Home Stadium Hanshin Naruohama Stadium Nippon Steel Coated Sheet Corporation Hanshin Tigers Farm Home Stadium Nippon Steel SGL Stadium Amagasaki Zero C
2024년의 마지막 겨울은 한신 타이거스와 함께 합니다.
제가 한신 타이거스의 2군 홈구장인 한신나루오하마 구장의 자료는 2020년 무렵에 확보한 상태였는데요. 한신나루오하마 구장의 자료를 확보하고 잊고 지내다가 며칠 전에 한신 타이거스의 새로운 홈구장인 닛테츠코한 SGL 스타디움 아마가사키과 닛테츠코한 SGL 스타디움 아마가사키를 포괄하고 있는 제로 카본 베이스볼 파크의 자료를 확보하면서 깨닫게 된 경우입니다. 제로 카본 베이스볼 파크와 제로 카본 베이스볼 파크의 내부에 있는 닛테츠코한 SGL 스타디움 아마가사키의 자료도 확보하고 싶었던 자료였는데 앞서 말씀드린 바와 같이 다행스럽게도 며칠 전에 확보할 수 있었습니다.
첫 번째 사진이 한신 타이거스의 2군 홈구장인 한신나루오하마 구장이고요. 두 번째 사진이 한신 타이거스의 새로운 2군 홈구장의 명명권을 취득한 일본제철의 계열사인 일본강판의 CI입니다. 세 번째 사진과 네 번째 사진이 닛테츠코한 SGL 스타디움 아마가사키인데요. 각각의 차이는 세 번째 사진이 배경이 적용된 형태이며 네 번째 사진이 배경이 적용되지 않은 기본형입니다. 마지막 다섯 번째 사진이 제로 카본 베이스볼 파크가 되겠습니다.
먼저, 역사의 한 페이지가 될 한신 타이거스의 2군 홈구장인 한신나루오하마 구장은 1994년에 완공하여 이듬해인 1995년부터 올해인 2024년까지 사용됐습니다. 본래 한신 타이거스는 1975년 한신 본선의 하마다 차고 부지에 한신 하마다 구장을 건설하여 2군 홈구장으로 사용해 왔으나 시설의 노후화와 장소의 협소화로 인해서 새로운 2군 홈구장의 건설을 추진했습니다. 그래서 1994년 효고현 니시노미야시의 나루오하마에 새로운 구장을 건설하여 한신나루오하마 구장을 완공하게 됩니다. 시간이 많이 흐르면서 한신나루오하마 구장도 노후화하고, 부지의 확장성이 떨어지고, 구장의 접근성이 열악하여 교통 문제가 항상 대두되었으며 구장에서 수용할 수 있는 인원이 부족하여 새로운 2군 홈구장의 필요성을 절감하게 됩니다.
그리하여 2020년 무렵부터 한신 타이거스는 새로운 2군 홈구장을 물색하기 시작했고요. 아마가사키시 오다미나미 공원 부지에 닛테츠코한 SGL 스타디움 아마가사키를 착공하기에 이릅니다. 닛테츠코한 SGL 스타디움 아마가사키는 2023년 5월 18일에 본격적으로 착공하기 시작했고요. 2025년 3월에 완공될 예정에 있습니다. 이름에서처럼 일본제철의 계열사인 일철강판이 구장의 명명권을 취득하면서 닛테츠코한 SGL 스타디움 아마가사키로 명명됐습니다. 닛테츠코한 SGL 스타디움 아마가사키는 제로 카본 베이스볼 파크의 내부에 위치하는 구장인데요. 제로 카본 베이스볼 파크라는 명칭처럼 탄소 중립을 크게 신경써서 태양광 전지와 축전지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며 빗물 또한 재활용하도록 건설하였습니다. 코쿠요프리미엄시트는 맥주캔의 재생섬유를 쿠션재로서 소재를 재활용한 것이 특징입니다. 아마가사키시 오다미나미 공원이 재해 대비의 용도로 사용된 공원이었기 때문에 지대가 높습니다. 유사시에 현지 주민들이 대피가 가능한 시설들이 구축됐습니다. 교통 역시도 한신나루오하마 구장에 비해서도 훨씬 편리한 접근성을 자랑합니다.
한신 타이거스의 2군 홈구장은 한신 하마다 구장, 한신나루오하마 구장을 거쳐 닛테츠코한 SGL 스타디움 아마가시키로 이어지게 됐고요. 관련된 자료들을 모두 정리해서 올려놓을 수 있어서 다행이라고 생각합니다. 참고로, 코시엔 기간때 한신 코시엔 구장과 마찬가지로 한신나루오하마 구장도 코시엔 참가 학교들이 구장을 사용하기 때문에 한신 타이거스는 1군뿐만 아니라 2군인 팜도 죽음의 원정을 다녀야 합니다. 또한, 한신나루오하마 구장을 별칭으로 타이거스 덴이라고 부르는데요. 타이거스 덴의 의미는 호랑이굴이라는 뜻입니다. 시의적절하게 지은 별칭이라고 봅니다.
관련된 자료들은 나무위키를 비롯한 백과프로그램에 활용하시면 될 듯 싶고요. 내일도 같은 센트럴리그의 자료를 이어서 정리하도록 하겠습니다.
'일본 프로야구 로고 및 마스코트 (日本 プロ野球 L&M ) > 센트럴리그 Central Leagu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이타마 무사시 히트 베어스 키타큐슈 시모노세키 피닉스 치바 스카이 세일러즈 엠블럼 로고 Saitama Musashi Heat Bears Kitakyushu Shimonoseki Phoenix Chiba Sky Sailors Emblem Logo Vector
어제 말씀드렸던 독립리그와 관련된 자료들입니다.
나무위키를 비롯한 백과프로그램을 보면서 일본의 독립리그와 관련된 자료들이 정리되고 있다는 걸 확인했습니다. 그래서 이와 관련해서 제가 보유하고 있는 자료들을 올려놓게 되었고요. 여기서 일부 구단들은 변동되기 전에 자료가 올라가고 있어서 현재에 맞게 정리하는 차원에서 이번 게시물을 올려놓게 되었다고 이해하시면 될 듯 싶습니다.
첫 번째 사진이 루트인 베이스볼 챌린지 리그에 참가하고 있는 사이타마 무사시 히트 베어스의 엠블럼이고요. 두 번째 사진이 야마에그룹 큐슈 아시아 리그에 참여하고 있는 키타큐슈 시모노세키 피닉스의 엠블럼입니다. 마지막 세 번째 사진이 베이사이드 리그에 참여했던 치바 스카이 세일러즈의 엠블럼이 되겠습니다.
먼저, 사이타마 무사시 히트 베어스는 2023년을 맞아 엠블럼을 새롭게 리뉴얼했습니다. 나무위키를 비롯핸 백과프로그램에 올려놓으신 자료는 2022년까지 사용된 자료였고요. 첫 번째 사진의 엠블럼으로 수정되어야 합니다.
다음으로 키타큐슈 시모노세키 피닉스는 구단의 명칭이 변경된 경우입니다. 본래 명칭은 후쿠오카 키타큐슈 피닉스였습니다. 후쿠오카 키타큐슈 피닉스는 2022년부터 큐슈 아시아 리그에 참가하기 시작했는데요. 2023년을 맞아 키타큐슈 시모노세키 피닉스로 구단의 이름을 변경했습니다. 후쿠오카 키타큐슈 피닉스와 엠블럼의 형태는 동일하나 영문 부분이 후쿠오카 키타큐슈에서 키타큐슈 시모노세키로 변경된 형태입니다. 후쿠오카 키타큐슈 피닉스가 키타큐슈 시모노세키 피닉스로 구단의 명칭을 변경한 이유는 키타큐슈뿐만 아니라 경기와 구단의 주요 활동 지역이 시모노세키로 확대됐기 때문입니다. 한편, 키타큐슈 시모노세키 피닉스의 법인은 2021년 4월에 설립됐습니다.
마지막으로 치바 스카이 세일러즈는 일본해 오세안 리그에서 분리돼 새롭게 창설된 베이사이드 리그에 참여했던 구단이었습니다. 일본해 오세안 리그는 루트인 베이스볼 챌린지 리그의 서부 지구에 해당하는 구단들이 별도로 창설한 리그였는데요. 루트인 베이스볼 챌린지 리그 시절에 갈등이 빈번하게 생기면서 서부 지구에 해당하는 구단들이 별도로 리그를 만들게 됐습니다. 여기에 일본해 오세안 리그도 의견의 차이가 크게 벌어지면서 이시카와 밀리언 스타즈와 토야마 GRN 썬더버즈가 니혼카이 리그라는 별도의 리그를 다시 만들어서 현재까지 진행되고 있고요. 동시에 치바 스카이 세일러즈와 YKS 화이트 킹스가 일본해 오세안 리그를 베이사이드 리그로 리그의 명칭을 변경해서 2023년부터 운영했습니다. 그러다가 YKS 화이트 킹스가 구단의 재정과 선수들의 연이은 퇴단으로 인해서 한 시즌 만에 구단의 운영을 포기하게 됐고요. 치바 스카이 세일러즈도 2025년을 목표로 루트인 베이스볼 챌린지 리그의 참여를 추진하면서 베이사이드 리그도 유명무실하게 흐지부지된 상태입니다.
치바 스카이 세일러즈는 치바현의 처음으로 탄생한 독립리그 야구단이었고요. 법인은 2021년 11월 1일에 설립됐습니다. YKS 화이트 킹스와 베이사이드 리그의 자료도 틈틈히 찾고 있고요. 확보하는 대로 별도의 게시물로 정리할 생각입니다.
관련 자료들은 나무위키를 비롯한 백과프로그램에 활용하시면 될 듯 싶고요. 내일은 제가 블로그를 시간상 할 수 있을지 잘 모르겠습니다. 내일이나 늦어도 모레에 새로운 자료들을 정리해서 올려놓도록 하겠습니다.
'일본 프로야구 로고 및 마스코트 (日本 プロ野球 L&M ) > 일본독립리그 JAPAN Independent Baseball Leagu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와카미 칸사이 독립 리그 효고 브레이버즈 오사카 제로로쿠 불즈 사카이 슈라이크스 와카야마 웨이브스 히메지 이그레터즈 엠블럼 로고 Sawakami Kansai Independent Baseball League Hyogo Bravers Osaka Zeroroku Bulls Sakai Shrikes Wakayama Waves Himeji Egreters Emblem Logo Vector
어제 말씀드렸던 바와 같이 사와카미 칸사이 독립 리그의 자료들을 올려놓습니다.
사와카미 칸사이 독립 리그는 리그의 엠블럼과 참가 구단들 대부분의 엠블럼을 확보하면서 이번 게시물을 통해 올려놓게 되었는데요. 사와카미 칸사이 독립 리그는 한 구단만 아직 확보하지 못했습니다. 확보하지 못한 구단은 차차 말씀드리기로 하고요. 확보한 자료들을 중심으로 리그에 대해 대략적으로 말씀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첫 번째 사진이 사와카미 칸사이 독립 리그의 가로형 엠블럼입니다. 두 번째 사진이 효고 브레이버즈, 세 번째 사진이 오사카 제로로쿠 불즈, 네 번째 사진이 사카이 슈라이크스, 다섯 번째 사진이 와카야마 웨이브스, 마지막 여섯 번째 사진이 히메지 이그레터즈가 되겠습니다. 그래서 두 번째 사진부터 마지막 여섯 번째 사진까지 현재 참가하고 있는 구단들이고요. 제가 아직 확보하지 못한 구단은 아와지시마 워리어즈입니다. 아와지시마 워리어즈는 추후에 확보하는 대로 본 게시물에 추가할 방침입니다.
사와카미 칸사이 독립 리그의 공식 엠블럼부터 찾기가 난해했습니다. 와카야마 웨이브스를 찾을 때 함께 확보하게 된 경우였고요. 오사카 제로로쿠 불즈와 함께 사와카미 칸사이 독립리그는 전반적으로 자료를 찾는 데 시간이 많이 소요된 경우였습니다.
사와카미 칸사이 독립 리그는 2009년으로 거슬러 올라갑니다. 2009년부터 2013년까지를 1차 칸사이 독립 리그로 부르고요. 2014년에 칸사이 독립 리그는 베이스볼 퍼스트 리그로 리그의 명칭이 변경되어 2018년까지 운영됐습니다. 2019년부터 다시 칸사이 독립 리그로 돌아와 현재로 이어지고 있으며 2020년 사와카미재단이 리그의 명명권을 취득하면서 사와카미 칸사이 독립 리그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독립리그의 특성상 재정이나 외부적인 환경에 영향을 많이 받기 때문에 효고 브레이버즈와 오사카 제로로쿠 불즈를 제외하고 구단들의 없어지기도 하고 반대로 새로 생기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현재는 여섯 구단까지 창단하면서 리그의 규모가 전보다는 많이 커진 상태입니다.
앞서 말씀드린 바와 같이 아와지시마 워리어즈는 확보하는 대로 본 블로그에 추가할 방침이고요. 확보하게 되면 별도의 게시글에 말씀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루트인 베이스볼 챌린지 리그와 큐슈 아시아 리그를 중심으로 자료를 확보하고 정리하고 있고요. 이들 리그는 완성되는 대로 별도의 게시물로 정리할 생각입니다. 관련된 자료들은 나무위키를 비롯한 백과프로그램에 활용하시면 될 듯 싶습니다.
며칠 동안 블로그를 정리하려고 하면 갑작스러운 일들이 생겨서 공개가 생각했던 것보다 많이 늦어졌습니다. 그래서 불편을 드린 점에 대해서 깊이 송구스럽다는 말씀을 드리고요. 제가 내일은 블로그를 쉬고, 16일에 J3에 활동하는 기라반츠 키타큐슈의 마스코트인 기란과 홈구장인 미쿠니 월드 스타디움 키타큐슈의 자료를 정리해서 올려놓도록 하겠습니다.
'일본 프로야구 로고 및 마스코트 (日本 プロ野球 L&M ) > 일본독립리그 JAPAN Independent Baseball Leagu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치바 롯데 마린즈 2024 시즌 공식 슬로건 로고 Chiba Lotte Marines 2024 Slogan Logo Vector
치바 롯데 마린즈의 2024년 슬로건도 뒤늦게 확보했습니다.
치바 롯데 마린즈의 2024년 슬로건을 확보하면서 오래 전에 확보했던 자료들도 정리하는 차원에서 함께 올려놓았고요. 오래 전에 확보했던 자료는 2021년과 2022년의 슬로건입니다. 2021년과 2022년은 이구치 타다히토가 치바 롯데 마린즈의 감독으로서 팀을 이끌었던 시절이었지요.
첫 번째 사진과 두 번째 사진이 각각 치바 롯데 마린즈의 2021년 슬로건입니다. 각각의 차이는 첫 번째 사진이 배경이 적용된 형태이며 두 번째 사진이 배경이 적용되지 않는 기본형입니다. 세 번째 사진과 네 번째 사진이 각각 치바 롯데 마린즈의 2022년 슬로건입니다. 각각의 차이는 역시 세 번째 사진이 배경이 적용된 형태이며 네 번째 사진이 배경이 적용되지 않는 기본형입니다. 마지막 다섯 번째 사진이 치바 롯데 마린즈이 2024년 슬로건입니다. 2021년 슬로건의 의미는 1점의 소중함을 강조하는 것으로 해석되고요. 2022년의 슬로건은 정점을 잡는다는 뜻으로 우승이라는 목표를 조준하고 있다는 것으로 해석됩니다. 2024년 슬로건의 의미는 우리는 우리 자신을 뛰어넘는다는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마지막 다섯 번째 사진이 이번 게시물의 하이라이트가 되겠습니다.
2022년 슬로건이 이구치 타다히토의 시대를 마지막에 해당하는 자료라 의미가 크다고 생각합니다. 2023년 슬로건도 확보했으면 하는 마음이었는데 유감스럽게도 2023년 슬로건은 아직 확보하지 못한 상황입니다. 2023년 슬로건을 확보하게 된다면 추후에 본 게시물에 추가하도록 하겠습니다.
관련된 자료들은 나무위키를 비롯한 백과프로그램에 활용하시면 될 듯 싶고요. 내일은 제가 기존에 올렸던 두산 베어스와 롯데 자이언츠의 예전 엠블럼들을 조정할 필요가 있어서 조정해서 새로운 게시물로 정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내일은 KBO와 관련된 자료를 정리해서 올려놓도록 하겠습니다.
'일본 프로야구 로고 및 마스코트 (日本 プロ野球 L&M ) > 퍼시픽리그 Pacific Leagu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본의 사회인야구 일본아마추어야구협회 엠블럼 깃발 로고 Japan Amateur Baseball Association Emblem Official Flag Logo Vector
일본의 사회인야구와 관련된 자료를 올려놓습니다.
나무위키를 비롯한 백과프로그램에 일본의 사회인야구와 관련된 항목들을 둘러봤는데요. 관련된 항목에 자료들이 벡터로 적용되지 않고 이미지로만 되어 있어서 해당하는 자료들을 정리해서 올려놓게 되었습니다. 제가 관련된 자료들을 보유하고 있어서 정리됐으면 하는 마음에서 이번 게시물을 통해 해당하는 자료들을 올려놓았다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첫 번째 사진이 일본아마추어야구협회의 공식 엠블럼이고요. 두 번째 사진이 일본아마추어야구협회의 공식 깃발입니다. 엠블럼뿐만 아니라 공식 깃발도 확보했기 때문에 이번 게시물을 통해 총정리하는 걸로 이해하시면 되겠습니다.
우리가 생각하는 사회인야구의 사전적 의미는 사회인들이 참여하는 야구 경기일텐데요. 우리나라와 대만에서는 선수가 아닌 일반인들이 참여하는 야구 경기를 의미하는 반면, 일본에서는 고교와 대학의 야구부 출신의 선수들로서 사회인야구를 운영하는 기업에 소속된 선수들이 펼치는 야구 경기를 뜻한다고 보시면 됩니다. 그러니까, 일본의 경우에는 사회인야구의 구단을 운영하는 기업에서 뛰게 되면 해당 기업의 정직원이 되어서 소속된 기업의 업무를 하면서 동시에 선수로서 활약하는 형태입니다. 그래서 프로에서 밀려나 사회인야구로 오는 선수들이 있는 반면, 반대로 사회인야구에서 기량을 갈고 닦아서 프로로 지명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전자의 경우는 아무래도 연차가 있는 선수들이 오고, 후자의 경우에는 젊고 연차가 얼마 되지 않는 선수들이 가는 형태입니다. 사회인야구에 뛰다가 프로에 지명을 받게 되면 안정적인 직장을 포기해야 하는 상황에 직면하기 때문에 심사숙고해서 진로를 결정하는 편입니다.
사회인야구의 분류는 크게 네 가지로 볼 수 있습니다. 기업 구단 또는 회사 등록 구단, 광역 복합 기업팀, 클럽팀, 풀뿌리 야구단으로 나뉘고요. 사회인야구는 도시대항야구대회, 사회인야구일본선수권대회 등 굵직한 대회들도 여럿 존재할 정도로 일본의 경우 야구의 인프라나 구조가 우리나라와 다르게 많이 활성화된 편입니다.
사회인야구와 관련된 설명과 자료는 이쯤에서 마무리짓도록 하고요. 관련된 자료들은 나무위키를 비롯한 백과프로그램에 정리해 주셨으면 합니다. 내일은 치바 롯데 마린즈의 2024년 슬로건을 확보했기 때문에 관련된 자료를 정리해서 올려놓도록 하겠습니다.
'일본 프로야구 로고 및 마스코트 (日本 プロ野球 L&M ) > 일본야구기구 Nippon Professional Baseball'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간만에 일본의 독립리그와 관련된 자료를 올려놓는 것 같습니다.
이번 게시물에 해당하는 일본의 독립리그는 시코쿠 아일랜드 리그 플러스, 루트인 베이스볼 챌린지 리그와 함께 순조롭게 정착하고 있는 칸사이 독립리그입니다. 칸사이 독립리그는 2009년 세 구단이 중심으로 발족한 독립리그고요. 2009년부터 2013년까지 칸사이 독립리그라는 이름으로 운영되다가 2014년부터 2018년에는 베이스볼 퍼스트 리그라는 이름으로 변경하여 운영됐습니다. 2019년부터 다시 칸사이 독립 리그라는 이름으로 돌아왔고, 2020년 5월 사와카미 재단이 공식 스폰서가 되면서 사와카미 칸사이 독립 리그라는 명칭을 얻기에 이릅니다. 사와카미 칸사이 독립 리그가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습니다.
우여곡절이 많았던 독립리그였으며 현재는 여섯 구단까지 늘어났을 정도로 앞서 말씀드렸던 시코쿠 아일랜드 리그 플러스, 루트인 베이스볼 챌린지 리그와 함께 순조롭게 정착하고 있는 독립리그라고 보시면 될 듯 싶습니다. 사와카미 칸사이 독립 리그는 선수들에게 급여가 지급되지 않습니다. 그러니까 무급으로 운영되는 리그고요. 또 다른 독립리그인 홋카이도 베이스볼 리그도 무급으로서 선수단에게 급여가 지급되지 않습니다.
첫 번째 사진과 두 번째 사진이 각각 코베 산다 브레이버즈와 효고 브레이버즈입니다. 디자인이 흡사하다는 걸 알 수 있으실텐데요. 효고 브레이버즈는 2011년부터 2020년까지 효고 블루산다즈였습니다. 그러다가 2020년을 끝으로 2020년 12월 16일 코베 산다 브레이버즈로 팀명을 변경하고, 이듬해인 2021년 1월 4일 현재의 사용되고 있는 디자인들을 공개했습니다. 2021년 12월 1일 효고현의 지원이 확대되면서 코베 산다 브레이버즈에서 효고 브레이버즈로 팀명을 다시 변경하여 현재에 이르고 있습니다. 디자인도 코베 산다를 제거하고 브레이버즈 위에 효고를 추가하였습니다. 초창기 칸사이 독립 리그부터 현재까지 활동하고 있는 유서 깊은 팀이라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세 번째 사진과 마지막 네 번째 사진이 각각 06 불즈와 오사카 제로로쿠 불즈입니다. 본래는 06 불즈가 2012년부터 2022년까지 활동했고요. 2022년 10월 1일 06 불즈가 오사카 제로로쿠 불즈로 팀명을 변경하여 현재에 이르고 있습니다. 오사카 제로로쿠 불즈도 코베 브레이버즈처럼 칸사이 독립 리그의 초창기때부터 현재까지 활동하고 있는 유서 깊은 팀입니다. 특히, 오사카 제로로쿠 불즈의 엠블럼을 보면 과거 2004년까지 오사카 돔의 주인이었던 오사카 킨테츠 버팔로즈와 디자인이 몹시 흡사하다는 걸 확인할 수 있습니다. 실제로 오사카 제로로쿠 불즈의 유니폼을 보면 오사카 킨테츠 버팔로즈의 홈 유니폼과 똑같다고 느껴질 정도의 디자인을 채용하고 있습니다.
오사카 제로로쿠 불즈의 디자인을 확보하면서 간만에 독립리그와 관련된 자료들을 정리했고요. 사와카미 칸사이 독립 리그의 경우에는 제가 두 구단만 아직 확보하지 못한 상황입니다. 사와카미 칸사이 독립 리그의 공식 엠블럼을 비롯해 효고 브레이버즈, 오사카 제로로쿠 불즈, 와카야마 웨이브즈, 사카이 슈라이크스까지 확보했고요. 나머지 이와지시마 워리어즈, 히메지 이그레터즈를 확보하는 대로 사와카미 칸사이 독립 리그의 자료들을 모두 정리할 생각입니다.
추후 상황을 봐서 제가 보유하고 있는 사와카미 칸사이 독립 리그의 자료들이라고 먼저 정리할 생각이고요. 내일은 AC 나가노 파르세이루의 마스코트들을 정리해서 올려놓도록 하겠습니다.
'일본 프로야구 로고 및 마스코트 (日本 プロ野球 L&M ) > 일본독립리그 JAPAN Independent Baseball Leagu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이식스 니가타 알비렉스 베이스볼 클럽 마스코트 알파군 기본형 니가타 알비렉스 BB 마스코트 알드 기본형 로고 Oisix Niigata Albirex Baseball Club Mascot Alpha-Kun Original Logo Vector
확보하고 싶었던 오이식스 니가타 알비렉스 베이스볼 클럽의 메인 마스코트인 알파군의 자료를 찾았습니다.
어제 마음을 비우고 오이식스 니가타 알비렉스 베이스볼 클럽의 메인 마스코트인 알파군의 자료를 찾기 시작했는데요. 얼마 지나지 않아 자료를 확보하는 데 성공했습니다. 자료를 찾을 때 마음을 비운 다음에 검색하기 시작했을 때가 심혈을 기울일 때보다 빠른 시간 안에 확보되는 경우가 제법 있었습니다. 알파군의 경우도 방금 말씀드린 내용에 해당합니다.
첫 번째 사진이 오이식스 니가타 알비렉스 베이스볼 클럽의 심볼이고요. 두 번째 사진이 오이식스 니가타 알비렉스 베이스볼 클럽의 엠블럼입니다. 세 번째 사진이 이번 게시물이 하이라이트인 오이식스 니가타 알비렉스 베이스볼 클럽의 메인 마스코트인 알파군의 기본형입니다. 네 번째 사진이 같은 NSG그룹을 모그룹으로 두고 있는 니가타 알비렉스 바스켓볼 클럽의 메인 마스코트인 알드가 되겠습니다. 마지막 다섯 번째 사진이 알비렉스 니가타의 마스코트 패밀리인 알비군, 스완짱, 아군, 비군, 루짱입니다. 첫 번째 사진, 두 번째 사진, 마지막 다섯 번째 사진은 전에 올린 적이 있었으며 네 번째 사진의 알드군도 NSG그룹의 구단과 관련된 자료라 정리하는 차원에서 함께 올려놓게 되었습니다.
오이식스 니가타 알비렉스 베이스볼 클럽은 2024년부터 일본프로야구의 2군인 팜 한정으로 참가하고 있는 구단이고요. 이스턴리그에서 활동하고 있습니다. 이스턴리그에 참여하고 있는 구단들이 쿄진군 요미우리 자이언츠,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즈,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즈,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즈,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 치바 롯데 마린즈가 되겠습니다.
관련된 자료들은 나무위키를 비롯한 백과프로그램에 활용하시면 될 듯 싶고요. 내일은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J3와 관련된 자료를 정리해서 올려놓도록 하겠습니다.
'일본 프로야구 로고 및 마스코트 (日本 プロ野球 L&M ) > 일본야구기구 Nippon Professional Baseball'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 2024 현재 홈 유니폼 비지타 유니폼 로고 Tokyo Yakult Swallows 2024 Present Home Uniform Visitor Uniform Logo Vector
10월은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로 시작합니다.
일본프로야구의 자료도 간만에 올려놓는 것 같습니다. 제가 지난달에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의 유니폼과 관련된 자료들을 모두 확보했는데요. J리그와 요청 자료들로 인해서 순서가 밀리다가 10월의 시작에 맞춰서 정리해서 올려놓을 수 있게 됐습니다.
첫 번째 사진이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의 55주년 기념 엠블럼이고요. 두 번째 사진과 세 번째 사진이 각각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의 2024년 시즌 홈 유니폼들입니다. 각각의 차이는 두 번째 사진이 뒷면이며 세 번째 사진이 앞면이 되겠습니다. 네 번째 사진과 다섯 번째 사진이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의 2024년 시즌 비지타 유니폼들입니다. 각각의 차이는 역시 네 번째 사진이 뒷면이며 다섯 번째 사진이 앞면이 되겠습니다. 마지막 여섯 번째 사진이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의 모기업인 야쿠르트혼샤의 대표적인 제품인 터프맨입니다. 등번호 55번의 주인공은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의 슬러거인 무라카미 무네타카가 되겠습니다.
제가 이번 게시물에 올린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의 유니폼은 2016년에 디자인됐습니다. 그러니까 어느덧 10년에 가까운 시간 동안 사용하고 있는 유니폼이지요. 개인적으로 디자인이 시대에 뒤처지지도 않고 전반적으로 깔끔해서 보기에도 좋다고 생각합니다. 2016년에 디자인된 유니폼부터 킷스폰서가 마제스틱으로 변경됐습니다. 동시에 2021년 일본시리즈에서 우승을 달성한 유니폼이라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에게는 각별한 유니폼이지 않을까 합니다.
야쿠르트혼샤의 대표적인 제품인 터프맨은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의 메인 마스코트인 츠바쿠로가 연봉을 협상할 때 무제한으로 제공할 것으로 요청하는 제품 중에 하나입니다. 터프맨은 야쿠르트혼샤에서 제조하는 자양강장제입니다.
야쿠르트 레빈즈 토다에 이어서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의 유니폼들도 정리했고요. 야쿠르트 레빈즈 토다의 마스코트를 확보하면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의 마스코트들인 츠바쿠로, 츠바미와 함께 별도의 게시물로 정리할 구상이고요. 내일은 특별한 사정이 없다면 J3와 관련된 자료들을 정리해서 올려놓도록 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