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영혼

 

 

 

 

 

히로시마 도요 카프의 홈구장 마쓰다 줌줌 스타디움 히로시마 로고들입니다.

 

 

제가 예전에 히로시마 도요 카프의 홈구장인 마쓰다 줌줌 스타디움 히로시마의 로고들을 올린 적이 있었습니다만, 며칠 전에 가로형 버젼의 로고를 확보해서 정리하는 차원에서 이번 게시물을 올리게 됐습니다.

 

 

마쓰다 줌줌 스타디움 히로시마에 대해 간략하게 말씀을 드리면, 공식 명칭은 히로시마 시민 구장입니다. 과거 히로시마 시민 구장을 완전히 대체하는 용도였기 때문입니다. 개장 시기는 2009년이고요, 2009년 시즌부터 새롭게 개장한 마쓰다 줌줌 스타디움 히로시마에서 경기를 펼치게 됩니다. 마쓰다 줌줌 스타디움 히로시마란 명칭처럼 히로시마 도요 카프의 실질적인 모기업인 마쓰다가 야구장의 명명권을 히로시마 시로부터 구입하게 됩니다. 2008년에 확정이 됐고요, 2009년부터 2014년까지 계약이 되었고, 2013년에 연장이 한 번 됐습니다. 계약 기간은 전과 동일하게 5년이고요, 계약 금액은 매년 2억 2천만 엔으로 총 11억 엔입니다. 그리고, 2018년 3월 1일에 같은 조건으로 5년 계약을 체결했습니다.

 

 

그라운드의 크기가 우측이 100M 좌측이 101M 중견이 122M로 좌우비대칭 구장입니다. 왼쪽의 낮은 담장은 구장 가운데 방향으로 직선으로 뻗어 있고요, 오른쪽 담장은 둥급니다. 철도 노선의 맞닿은 부지의 특성이 반영된 설계라서 그렇습니다. 구장에 대한 설명과 특성은 이 정도로 하겠습니다.

 

 

제가 오릭스 버팔로즈의 마스코트인 버팔로 불과 버팔로 벨의 특별 버젼 로고들을 했고요,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의 서드 마스코트인 스위치의 활용 버젼도 추가로 확보했습니다. 이들 자료도 순차적으로 올려 두도록 하겠습니다.

 

 

 

 

 

2020년을 맞아 동해역을 기점으로 하는 무궁화호 행선판들이 새롭게 탄생했다.

 

 

첫 번째 사진의 강릉 ↔ 동해 구간의 무궁화호 RDC의 행선판을 제외하곤 두 번째 사진과 세 번째 사진의 동대구, 부전 방향의 열차들은 동해역이 아닌 강릉역까지 운행하던 열차들이었다. 마치 열차의 주인이 바뀐 셈이다.

 

 

올해 3월 초에 여객열차의 개편이 단행되면서 동해역이 시종착역의 타이틀을 갖게 되었다. 여객열차의 개편과 바뀐 행선판을 보면서 무궁화호의 역할도 점차 축소되는 걸 느낀다. 왕년의 무궁화호가 갖는 역할이 작아진다고 해야 할까.

 

 

예전 같으면 강릉역까지 가는 열차가 동해역에서 멈추면서 이러한 현실을 더욱 실감하게 된다. 무궁화호의 구간이 축소되는 것과 예전처럼 객차형 열차를 접하는 빈도도 줄어드는 느낌이다. 시간이 흐르면 흐를수록 동차형 여객열차의 모습을 더 자주보게 되지 않을까 생각한다.

 

 

두 번째 사진과 세 번째 사진의 행선판은 같은 열차다. 부전 ↔ 동해 구간을 운행하는 1682 무궁화호 열차가 운행을 마치고, 동해 ↔ 동대구 구간을 운행하는 1673 무궁화호 열차로 새롭게 운행을 준비하는 모습이다. 동해역에 도착하자 역직원들이 행선판을 바꿔 놓은 것이다. 1682 열차가 운행을 마치고 1673으로 운행하는 것도 처음 봤다. 무궁화호 RDC와 신기역을 목표로 다녀왔던 답사가 즐거웠던 게 바로 여기에 있었다.

 

 

 

 

 

그간 수집한 CDC 디젤동차의 베리에이션들이다.

 

 

CDC 디젤동차를 처음 접했던 건 개조형이었던 무궁화호 RDC였고, 카메라에 처음으로 담았던 건 평화열차 DMZ-Train이었다. 평화열차 DMZ-Train에 이어 CDC 디젤동차, 바다열차, RDC 무궁화호의 순서로 카메라에 담았다. 하나 빼곤 다 담은 셈이다. 아직 담지 못한 한 가지가 과거 경북관광순환테마열차였던 경북나드리열차다. 한 종류씩 찍었던 게 어느덧 한 종류만 남게 되었다.

 

 

지금 찍은 사진들을 다시 보면서 역시 시간이 빨리 흐른다는 사실이다. 당시 보통 등급 여객 완행 열차인 통근열차가 없어진다는 소식을 듣고, 평화열차와 경원선, 초성리역과 전곡역까지 아울러서 다녀왔던 게 벌써 일 년이 훌쩍 지났다. 목표했던 8000호대 전기기관차를 놓치고, 정동진역에서 바다열차를 담았던 시절도 일 년 가까운 시간이 흘렀다. 영동선을 운행하는 무궁화호 RDC를 담았던 것도 어느덧 한 달이 다 되어 간다.

 

 

이렇게 찍어 둔 사진을 보고 추억을 회상할 수 있는 것도 재미지다는 생각이 든다. 초성리역에서 스텝이 꼬였던 것과 보기 좋게 8000호대 전기기관차를 놓치고, 바다열차라도 담자는 생각에 한여름의 무더위가 기승을 부리는 정동진역에서 대기타던 시간까지 기억의 한 편으로 자리잡았다.

 

 

이렇게 보면 시간이 아니라 사진이 약이라는 생각이다. 코로나가 진정되고 경북나드리열차를 담아서 2019년의 시간도 다시 한 번 회상하고 싶다.

 

 

 

 

 

수집할 생각에 발권한 입장권인데 뭔가 특이점이 존재한다.

 

 

입장권에 영문으로 적힌 열차번호를 보면 열차등급과 열차번호가 나오기 마련인데, 실제 운행하는 열차가 아닌 과거에 운행했던 열차가 찍혔다. 누리로가 찍혀야 했는데 무궁화호가 찍힌 것이다. 올해 3월 1일까지는 1640 열차의 경우 무궁화호 등급이었으나 열차시간표 개정으로 인해서 누리로 등급으로 변경됐다.

 

 

사소하다면 사소한 것이겠지만, 특이점이 존재하는 건 분명한 사실이니까. 입장권을 발권했을 때 그냥 누리로겠거니 생각하고 챙겨뒀다가 정리하는 과정에서 누리로가 아닌 무궁화호가 찍혀 있다는 것을 알게 됐다.

 

 

물론, 누리로와 무궁화호가 동위동급의 열차라 그게 그거일 수도 있겠지만, 엄연히 다른 열차등급이고 다른 유형의 열차다. 그래서 더욱 색다른 경험이기도 했다. 입장권에 나온 열차와 실제로 운행하는 열차가 다르니까.

 

 

처음에는 동해역에서 입장권을 발권할까 말까 고민했는데 지금 생각해 보면 특이점과 색다름을 갖춘 입장권이라 발권하기를 잘했다는 생각이 든다.

 

 

 

 

 

많은 의미를 갖는 승차권이다.

 

 

첫 번째로 처음으로 발권한 무궁화호 RDC의 승차권이라는 점이다. 열차의 탑승을 위해서 또는 단순히 수집을 위한 목적으로 발권한 승차권들 중에서 무궁화호 RDC 승차권이 없었다. 물론, 무궁화호 RDC를 예전에 탑승한 적은 있었지만, 승차권을 수집하기 전에 탑승했던 터라 수집한 승차권은 없었다.

 

 

두 번째로 역사 속으로 남게 된 승차권이라는 점이다. 강릉 ↔ 동해 구간을 운행하는 셔틀열차가 전부 6월 1일부로 누리로로 운행하게 되면서 역사적인 의미를 갖게 된 승차권이 되었다. 동시에 동해역에서 촬영한 무궁화호 RDC 열차와 행선판도 역사적인 의미를 확보하게 된 셈이다. 지금 와서 보면 단기간만 운행하고 종료된 열차의 승차권을 확보한 것도 처음이라는 생각이 든다.

 

 

이번 승차권도 수집하기 위한 목적에서 발권한 승차권이다. 이번 승차권과 관련되어 나름의 에피소드가 존재한다. 동해역에서 무심결에 동해 ↔ 강릉 구간의 승차권을 발권하려고 했으나 다행스럽게도 동해 ↔ 정동진 구간으로 발권할 수 있었다. 금전적인 차이가 존재했기 때문이었다. 만약 강릉까지 발권했다면 운임이 2,900원을 지불했겠으나 역직원의 보이지 않는 배려로 정동진까지 발권해서 기본운임인 2,600원에 발권할 수 있었다. 역직원의 친절함과 보이지 않는 배려에 더욱 기분이 좋아졌다.

 

 

무궁화호 RDC와 신기역을 목표로 철도와 함께 한 하루였는데, 정말로 기분 좋은 기억만 남아 있던 하루였다.

 

 

 

 

 

간만에 발권한 차내승차권이 되겠다.

 

 

차내승차권을 발권한지도 어느덧 2년이란 시간이 흘렀다. 처음으로 차내승차권을 발권한 시기가 2018년 청소 ↔ 대천 구간을 운행하는 무궁화호 1557 열차에서였다. 그래서 이번 신기 ↔ 동해 구간을 운행하는 무궁화호 1682 열차에서 발권한 승차권은 처음의 의미를 갖는 건 아닌 셈이다.

 

 

차내승차권은 우리가 일상적으로 접하는 승차권과는 다른 맛이 있다. 발행창구에 적혀진 숫자도 특별하게 느껴진다.

 

 

신기역에서 매표창구를 지금도 운영했다면 신기역에서 승차권과 입장권을 각각 발권했겠지만, 이미 2010년 5월 무렵에 매표창구의 운영이 중지되고, 승차권 차내취급역으로 지정되는 바람에 그야말로 옛날 일이 되어 버렸다. 마침 차내승차권을 발권하고 싶었던 터라 신기역의 승차권도 수집하고 싶은 생각에서 차내승차권을 발권하게 된 것이다. 다행히도 승차권 차내취급역으로 차내승차권 발권시 별도의 추가금이 붙지 않는다는 점이다.

 

 

이번 차내승차권은 보관하는 과정에서 귀퉁이가 살짝 찢어졌다. 이번 답사의 한 가지의 흠이라고 볼 수도 있겠다. 온전했으면 좋았겠지만, 그래도 심하게 훼손된 건 아니라는 점에서 위안을 삼는다.

 

 

이렇게 갖고 싶었던 차내승차권도 두 번째로 확보했다.

 

 

 

 

 

처음의 의미를 갖는 동해역 종착 승차권이 되겠다.

 

 

1682 열차는 여러 차례 탑승한 적이 있는 열차지만, 종착역이 강릉역 내지 정동진역이었다. 그러다가 지난 3월 태백선, 영동선 계통 일반열차의 시종착역이 강릉역에서 동해역으로 조정됨에 따라 승차권에 찍힌 종착역은 동해역이 되는 셈이다.

 

 

같은 열차번호를 갖고 있지만, 시간이 흘러감에 따라 다양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는 것을 새삼스레 떠올리게 된다. 일반열차 감축 및 무궁화호 자연 도태에 따라 향후에는 운행하는 열차등급도 변경되지 않을까란 생각도 든다.

 

 

신기역이 승차권 차내취급역이라 돌아올 때를 대비해 동해역에서 미리 승차권을 발권했다고 보면 된다. 그래도 차내승차권도 추가로 확보하고 싶어서 소장하기 위한 목적으로 열차에 탑승했을 때 신기 ↔ 동해 구간의 차내승차권도 여객전무로부터 별도로 발매를 했다. 신기역을 선택한 이유 중에 하나가 바로 승차권 차내취급역이라 별도의 추가금이 붙지 않아서다. 매표창구를 운영하는 역에서 차내승차권을 발매하면 기본 운임에다가 추가금이 별도로 붙는다.

 

 

추후에 그간 확보한 무궁화호 1682 열차의 승차권을 통해서 시대적인 정리를 해볼까 한다.

 

 

 

 

 

동해역에서 처음으로 발권한 승차권이 되겠다.

 

 

이번 승차권은 동해역에서 처음으로 발권했다는 점이 큰 의의가 있다. 또한, 2020년대 처음으로 발권한 승차권이라는 것이다. 발권한 승차권을 통해 동해역에서 처음으로 열차에 탑승했다는 것도 의의를 두고 싶다. 또한, 처음으로 탑승한 태백선의 누리로 열차라는 것이다. 1640 누리로 열차를 제외하고는 전부 무궁화호 열차만 탑승을 했다. 그러다가 지난 3월 열차가 조정되면서 태백선에서 처음으로 누리로를 탑승하게 된 것이다.

 

 

며칠 전에 누리로 열차들을 포스팅하면서 다하지 못한 이야기가 바로 동해역에서 처음으로 탑승한 열차라는 점과 태백선에서 처음으로 탑승한 누리로 열차라는 점이다. 며칠 전에 올린 누리로 열차들과 이번 누리로 승차권이 갖는 의미는 상당히 각별하다고 볼 수 있다.

 

 

열차에 탑승했을 때는 잘 몰랐는데, 촬영한 사진과 발권한 승차권들을 정리하면서 새롭게 접한 동해역과 열차들이 한결같이 내게 처음이라는 의미라는 걸 깨달을 수 있었다. 지금 생각해 보면 단순히 무궁화호 RDC 열차를 담기 위해 갔던 게 여러 의미를 부여했던 것이다.

 

 

이번 답사를 통해 생각지도 못한이라는 표현을 제대로 실감했다고 볼 수 있다.

 

 

 

 

 

1682 무궁화호 열차의 역사를 설명하는 사진이라 하겠다.

 

 

전에도 올렸던 사진이라 중복의 의미가 강하지만 시간적 흐름을 설명하기 위해서 같이 첨부했다고 볼 수 있다.

 

 

첫 번째 사진이 2017년 1월 1일 동백산역에서 촬영한 부전 ↔ 정동진 구간의 1682 무궁화호 열차이고, 두 번째 사진이 2019년 5월 29일 석포역에서 촬영한 부전 ↔ 강릉 구간의 1682 무궁화호 열차이다. 이 두 사진이 예전에 촬영한 사진을 다시 올리는 것이다. 마지막 세 번째 사진이 2020년 5월 23일 신기역에서 촬영한 부전 ↔ 동해 구간의 1682 무궁화호 열차이다.

 

 

같은 1682 무궁화호 열차지만, 이들 열차는 각기 다른 특성을 지니고 있다. 강릉역 지하화가 되기 전까지는 디젤기관차가 견인했다. 강릉역 지하화가 완료되고 정동진역에서 강릉역으로 시종착역이 변경되면서 영주역에서 기관차 교체가 이뤄지기 시작한다. 영주역까지는 디젤기관차가 견인하고, 영주역에서 기관차가 교체되어 강릉역까지 전기기관차가 운행하는 형태를 띄기 시작한 것이다.

 

 

올해를 맞아 또 다시 시종착역이 강릉역에서 동해역으로 조정되면서 부전 ↔ 동해 구간으로 새롭게 바뀐 것이다. 즉, 운용되는 기관차의 형태가 바뀌었다는 것과 시종착역이 역사 신축, 열차 운용 등의 이유로 여러 차례 변경됐음을 의미한다. 같은 열번의 열차지만, 상기한 이유 등으로 인해 각기 다른 특성을 가진 것도 흥미로운 부분이 아닐까 싶다.

 

 

 

 

 

태백선에서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자리잡은 동력분산식 전기동차 누리로이다.

 

 

과거 강릉역이 시종착역일 당시에는 전기기관차와 객차로 구성된 객차형 열차가 주류였으나 동해역으로 시종착역이 조정되면서 동력분산식 누리로가 주류가 되었다.

 

 

간선 전기동차인 EMU-150의 추가 발주분이 도입되고 나면 일반열차들 상당수가 객차형 열차가 아닌 동차형 열차로 바뀔 것이다. 코레일이 전동차로 패러다임을 바꾸게 된 주된 이유가 바로 누리로였다. 누리로가 패러다임의 변화를 가져온 셈이다. 누리로 인해 노후된 새마을호와 무궁화호가 객차형 열차가 아닌 전동차로 바뀌게 된 것이다. 전동차라 유지비가 싸고, 열차 입환 및 조성에 드는 인건비가 줄어드는 장점이 컸기 때문이다. 즉, 비용 절감의 효과를 톡톡히 누렸다고 볼 수 있다.

 

 

태백선의 누리로가 등장하게 된 이유가 열차 운용의 효율화로 볼 수 있겠다. 무궁화호의 객차 부족과 맞물려 태백선에 운용되던 무궁화호 객차가 주요 간선 및 로컬선으로 이동하고, 주요 간선과 로컬선에 사용되던 누리로가 태백선으로 이동하게 된 것이다.

 

 

이번 답사는 그야말로 대세가 된 누리로를 확인하고 온 것으로 정리할 수 있지 않을까 싶다. 첫 번째 사진이 신기역에서 촬영한 1640 누리로 열차이고, 두 번째 사진과 세 번째 사진이 동해역에서 촬영한 1633 누리로 열차인데 이들 사진이 누리로가 대세가 됐음을 설명하는 결과물이라고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