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신 타이거스 2022 홈 유니폼 마스코트 토라키 럭키 키타 2023 일본시리즈 우승 기념 엠블럼 배경 활용 버젼 로고 Hanshin Tigers 2022 Home Uniform Mascot To-Lucky Lucky Kita 2023 Nippon Champions Emblem Application Bac..
38년의 설움과 원통함을 풀어낸 한신 타이거스의 2023 일본시리즈 우승 기념 자료들을 최종적으로 마무리짓습니다.
제가 지난달에 한신 타이거스의 2022 홈 유니폼과 2022 홈 유니폼이 적용된 마스코트들의 자료를 확보해서 올린 적이 있었고요. 2023 일본시리즈 우승 기념 엠블럼의 경우 흰색 테두리가 적용되지 않았던 형태를 올렸습니다. 그러다 며칠 전에 흰색 테두리가 적용된 2023 일본시리즈 우승 기념 엠블럼을 때마침 확보해서 이번 게시물을 통해 올려놓게 되었습니다.
첫 번째 사진이 이번 게시물의 하이라이트인 2022년에 디자인된 한신 타이거스의 홈 유니폼입니다. 동시에 일본시리즈의 우승한 이른바 우승니폼이자 38년의 설움과 원통함을 풀어낸 유니폼이라 한신 타이거스에게 있어서 각별한 의미를 주는 유니폼이기도 합니다. 등번호 5번의 주인공은 바로 2023년 일본시리즈의 MVP인 한신 타이거스의 외야수인 치카모토 코우지가 되겠습니다. 치카모토 코우지는 2023년 일본시리즈에서 오릭스 버팔로즈를 상대로 고감도의 타격감을 바탕으로 한신 타이거스의 공격에 첨병 역할을 충실히 수행했습니다.
개인적으로 치카모토 코우지도 좋았지만, 7차전에서 결승 홈런을 뽑아내고 일본시리즈 내내 중요할 때마다 일발장타와 타점을 보여 줬던 쉘든 노이지가 일본시리즈의 MVP로 적합하지 않았을까란 생각도 들었습니다. 쉘든 노이지는 MVP는 받지 못했지만, 우승 선수상을 수상했습니다.
두 번째 사진이 2022년 홈 유니폼이 적용된 한신 타이거스의 마스코트들인 토라키, 키타, 럭키입니다. 모두 2022년에 디자인된 홈 유니폼을 착용하고 있습니다. 토라키가 메인 마스코트, 키타가 서드 마스코트, 럭키가 여성 마스코트이며 토라키와 럭키는 신발에 킷 스폰서인 미즈노의 CI가 적용됐고요. 한신 타이거스의 마스코트들 한신 타이거스의 일원이기에 이번 게시물에 정리하는 차원에서 함께 올렸습니다.
세 번째 사진과 네 번째 사진이 흰색 테두리가 적용된 한신 타이거스의 2023년 일본시리즈 우승 기념 엠블럼입니다. 세 번째 사진과 네 번째 사진의 차이는 검은색의 배경이 적용된 유무에 따라 나뉩니다. 세 번째 사진에 검은색의 배경이 적용됐고요. 사진으로만 보면 잘 보이지 않아서 검은색 배경만 제가 별도로 추가한 형태입니다. 확실히 흰색 테두리가 적용된 형태가 왕관과 디자인의 품격과 빛을 더해주는 것 같아서 더욱 멋있습니다.
이 게시물을 통해서 38년의 설움과 원통함을 모두 날린 한신 타이거스의 2023년 일본시리즈 우승 기념 자료들을 최종적으로 정리했고요. 제가 한신 타이거스의 팬은 아닙니다만, 올해만큼은 각별히 한신 타이거스를 응원했던 이유가 한신 타이거스의 원과 한, 그리고 원통함을 모두 풀어내는 해원의 차원이었습니다. 한신 타이거스가 38년의 긴 기다림을 끝내고, 해원할 수 있어서 다행스럽습니다.
2021년 KBO의 플레이오프와 한국시리즈 공식 엠블럼이 요청이 들어와서 시간이 되는 대로 검색 중에 있고요. 찾게 된다면 별도의 게시물로 올려 둘 계획입니다. 이어서 치바 롯데 마린즈의 2023 시즌 홈 유니폼과 비지타 유니폼, CLM 유니폼을 우선적으로 올린 뒤에 두산 베어스, KIA 타이거즈, LG 트윈스의 한국시리즈 우승 기념 엠블럼을 올려놓도록 하겠습니다.
'일본 프로야구 로고 및 마스코트 (日本 プロ野球 L&M ) > 센트럴리그 Central League'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신 타이거스 마스코트 토라키 럭키 키타 2022 홈 유니폼 기본형 로고 Hanshin Tigers Mascot To-Lucky Lucky Kita 2022 Home Uniform Original Logo Vector
한신 타이거스의 마스코트들인 토라키, 럭키, 키타도 2022년 홈 유니폼이 적용됐습니다.
한신 타이거스가 2022년을 맞아 홈 유니폼의 디자인을 변경했는데요, 홈 유니폼이 변경된 만큼 구단의 마스코트들인 토라키, 럭키, 키타도 새롭게 디자인된 홈 유니폼을 착용하게 됐고요. 토라키, 럭키, 키타로 구성된 마스코트의 디자인도 새로운 홈 유니폼에 걸맞게 변경됐습니다.
한신 타이거스의 2022년 홈 유니폼이 적용된 마스코트들의 경우 토라키는 작년에 확보했고, 키타는 올해 초에 기본형을 확보할 수 있었습니다. 다만, 럭키만 기본형을 확보하지 못해서 한신 타이거스의 마스코트들과 관련된 자료들을 보류하고 있다가 얼마 전에 럭키도 확보하면서 이번 게시물을 통해 최종적으로 정리할 수 있게 됐습니다.
첫 번째 사진이 메인 마스코트인 토라키입니다. 두 번째 사진이 여성 마스코트인 럭키가 되겠습니다. 세 번째 사진이 서드 마스코트인 키타입니다. 네 번째 사진이 토라키, 럭키, 키타로 구성된 기본형의 디자인입니다. 다섯 번째 사진이 2021년까지 사용된 홈 유니폼을 착용하고 있는 토라키, 럭키, 키타로 구성된 기본형의 디자인들이고요. 킷 스폰서인 미즈노가 신발에 적용된 형태입니다. 2022년 홈 유니폼의 디자인과 비교하기 위해서 함께 올리게 됐습니다. 마지막 여섯 번째 사진이 2022년 홈 유니폼이 적용됐으며 킷 스폰서인 미즈노가 신발에 적용된 토라키, 럭키, 키타로 구성된 기본형의 디자인들이 되겠습니다. 2021년까지 사용된 홈 유니폼과 2022년에 새롭게 디자인된 홈 유니폼을 비교해 보면 양팔에 있는 색상이 소매 중간에서 소매 끝으로 이동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한신 타이거스의 경우 홈 유니폼의 디자인이 주니치 드래곤즈와 함께 짧은 시간 안에 변경되는 편이라 관련 디자인들을 제가 확보하는 대로 바로 본 블로그에 올릴 예정이고요. 제가 이번 게시물에 올린 2022 홈 유니폼이 적용된 한신 타이거스의 마스코트들을 나무위키를 비롯한 백과프로그램에 적용해 주셨으면 하는 마음입니다.
제가 2015년 2016년 2019년 한국시리즈에서 우승한 두산 베어스, 2017년 한국시리즈에서 우승한 KIA 타이거즈, 2023년 한국시리즈에서 우승한 LG 트윈스의 자료들을 내달 안으로 올릴 예정이고요. 게시물의 요청 등의 사유로 올리지 못했던 웨스턴리그와 이스턴리그의 공식 깃발, 호주야구리그의 참가 구단과 관련된 자료들을 올해 안으로 마무리지을 생각입니다.
참고로, 한신 타이거스의 우승 유니폼이 된 2022년 홈 유니폼도 이번 게시물의 마스코트들과 함께 확보했기 때문에 다음달 초순에 이어서 올려 두도록 하겠습니다.
'일본 프로야구 로고 및 마스코트 (日本 プロ野球 L&M ) > 센트럴리그 Central League'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신 타이거스 마스코트 토라키 럭키 과거 2005 버젼 로고 모음 Hanshin Tigers Mascot To-Lucky Lucky The Past 2005 Version Assortment Logo Vector
한신 타이거스의 메인 마스코트인 토라키와 여성 마스코트인 럭키의 예전 자료들입니다.
제가 한신 타이거스의 마스코트 자료들을 여럿 확보했다는 말씀을 전부터 지속적으로 드렸는데요. 2005년까지 사용된 디자인 자료들부터 먼저 올려놓은 다음에 2022년 홈 유니폼이 적용된 디자인 자료들을 이어서 올릴 생각입니다.
첫 번째 사진부터 일곱 번째 사진이 메인 마스코트인 토라키이고요. 여덟 번째 사진부터 열 두 번째 사진이 여성 마스코트인 럭키가 되겠습니다. 열 세 번째 사진이 메인 마스코트인 토라키와 여성 마스코트인 럭키가 함께 있는 사진이고요. 열 네 번째 사진이 메인 마스코트인 토라키의 기본형, 마지막 열 다섯 번째 사진이 여성 마스코트인 럭키가 응원 도구를 들고 있는 형태입니다.
제가 이번 게시물을 통해 올려놓은 자료들이 한신 타이거스의 마스코트들인 토라키와 럭키의 예전 자료들에 대한 모든 것이라고 보시면 되겠고요. 기본형뿐만 아니라 활용형들도 정리하는 차원에서 모두 함께 올렸습니다. 이번 게시물에 올라온 자료들이 2005년까지 사용된 디자인들입니다. 현재 우리가 접하는 토라키와 럭키는 바로 2006년에 새롭게 디자인되어 사용되고 있습니다.
나무위키를 비롯한 백과프로그램에 있는 한신 타이거스의 마스코트 항목들을 정리하실 때 열 네 번째 사진의 토라키와 열 번째 사진의 럭키를 중심으로 적용하셨으면 하는 마음입니다.
해당 자료들은 제가 지난 6월 무렵에 확보했고요. 한신 타이거스가 올해 38년 만에 일본시리즈에서 우승을 차지하고 日本一을 달성하면서 지금이 적기라고 생각해서 올려놓게 되었습니다. 한신 타이거스는 작년에 홈 유니폼의 디자인을 변경했는데요. 작년에 디자인된 홈 유니폼이 적용된 메인 마스코트인 토라키와 여성 마스코트인 럭키, 그리고 서드 마스코트인 키타의 자료는 이번 주 주말까지 본 블로그에 올려 두도록 하겠습니다. 작년에 디자인된 홈 유니폼도 순차적으로 올려놓을 생각입니다.
'일본 프로야구 로고 및 마스코트 (日本 プロ野球 L&M ) > 센트럴리그 Central League'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신 타이거스 2023 일본시리즈 우승 기념 엠블럼 로고 Hanshin Tigers 2023 Nippon Series Champions Anniversary Emblem Logo Vector
한신 타이거스가 38년 만의 긴 기다림을 드디어 끝냈습니다.
한신 타이거스는 1985년 일본시리즈에서 우승한 뒤에 무려 38년이란 시간 동안 日本一과는 인연을 맺지 못했는데요. 실제로 2003년과 2005년, 그리고 2014년에 일본시리즈에 한신 타이거스가 진출했습니다만, 그때마다 번번이 후쿠오카 다이에 호크스, 치바 롯데 마린즈,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에게 패배했습니다. 그래서 커널 샌더스의 저주로 인해서 한신 타이거스가 우승하지 못하는 것 아닌가란 이야기가 종종 회자되곤 했습니다.
커널 샌더스의 저주는 한신 타이거스가 1985년 일본시리즈에서 우승한 뒤에 한신 타이거스의 팬들이 랜디 바스와 닮았던 KFC 도톤보리점에 앞에 위치한 할랜드 샌더스의 인형을 헹가래를 한 뒤 도톤보리강에 던져 버리는데요. 할랜드 샌더스의 인형을 던져 버린 이듬해인 1986년부터 한신 타이거스는 디펜딩 챔피언이라는 칭호가 무색하게 새로운 선수들의 육성이 뒷받침되지 못하고, 외국인 선수들의 기량 미달로 인해서 하위권을 전전하게 됩니다.
2003년 18년 만에 리그 우승을 차지하며 와신상담해서 일본시리즈에 진출했지만, 7차전까지 가는 접전 끝에 후쿠오카 다이에 호크스에게 패배했고요. 2005년에도 리그 우승을 차지하며 일본시리즈에 진출했지만, 치바 롯데 마린즈를 상대로 33-4라는 처참한 스코어를 만들며 4전 전패로 무너지게 됩니다. 그리고, 2014년 9년 만에 일본시리즈에 진출하며 후쿠오카 다이에 호크스의 후신인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를 상대로 복수를 기획했지만 물타선으로 인해서 1차전에서 승리한 뒤에 내리 4연패를 당하며 커널 샌더스의 저주에서 벗어나지 못하게 됩니다.
2009년 3월 할랜드 샌더스의 모형을 도톤보리 강에서 끌어올린 뒤에 복구했지만, 2020년대를 지나서도 커널 샌더스의 저주를 끝내기에는 요원했습니다.
그러나, 저주라 해도 영원하지 못하다는 걸 증명하듯 한신 타이거스는 2010년대 중후반부터 드래프트에서 카네모토 감독부터 야노 감독까지 신들릴 정도로 지명하게 되고요. 육성에도 심혈을 기울이며 외국인 선수 선발에도 공들입니다.
팀이 전반적으로 힘이 붙기 시작하면서 2023년 리그 우승과 JERA 클라이맥스 시리즈의 우승을 달성했고요. 2014년 이후 9년 만에 일본시리즈에 진출하게 됩니다. 공교롭게도 일본시리즈의 상대가 진정한 오사카의 주인으로 불리는 오릭스 버팔로즈였지요. 그래서 한신 타이거스와 오릭스 버팔로즈의 칸사이 더비가 59년 만에 현실화됩니다. 한신 타이거스는 올해만큼은 반드시 커널 샌더스의 저주를 끊겠다는 투지를 불사르며 7차전까지 하는 혈투 끝에 38년 만에 일본시리즈에서 우승을 차지하며 칸사이의 자존심과 日本一을 동시에 달성합니다.
2005년 33-4라는 최악의 스코어를 만들었던 오카다 아키노부 감독은 2005년처럼 무기력한 경기 운영이 아닌 기민하고 한 박자 빠른 투수 운영, 경기 운영을 동시에 선보였고요. 더욱 노련하고 일취월장한 지도력을 보여 주며 한신 타이거스의 선수로 그리고 한신 타이거스의 감독으로 일본시리즈의 우승을 맛보게 됩니다. 오카다 아키노부 감독은 38년 만에 한신 타이거스의 일본시리즈 우승을 오랜 기다림에 지쳤던 한신 타이거스의 팬들에게 선물하게 됩니다. 동시에 커널 샌더스의 저주도 끝냅니다.
한신 타이거스의 팬들도 더 이상 커널 샌더스의 저주를 겪기 싫기에 올해는 할랜드 샌더스의 분장을 한 팬을 대신해서 도톤보리강에 던진 뒤에 다시 꺼내면서 커널 샌더스의 저주를 영원히 끝냈습니다.
첫 번째 사진이 한신 타이거스의 2023 JERA 센트럴리그 우승 기념 엠블럼이고요. 두 번째 사진이 이번 게시물의 하이라이트이자 38년 만에 한신 타이거스의 2023 일본시리즈 우승 기념 엠블럼입니다. 세 번째 사진이 한신 타이거스의 2023 시즌 공식 슬로건이고요. 네 번째 사진이 흰색 테두리가 적용된 한신 타이거스의 구단기가 되겠습니다.
치바 롯데 마린즈의 팬으로서 올해 일본시리즈에서 한신 타이거스를 응원했던 건 원과 한, 그리고 응어리를 모두 풀어버리는 해원의 차원이었습니다. 한신 타이거스의 2023년 일본시리즈 우승을 진심으로 축하합니다.
내일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즈와 치바 롯데 마린즈의 2023 시즌 공식 슬로건, 2005년까지 사용된 한신 타이거스의 마스코트들인 토라키와 럭키, 그리고 오릭스 버팔로즈의 2023년 PERSOL 퍼시픽리그 우승 기념 엠블럼도 이번 달 중으로 올려놓도록 하겠습니다.
'일본 프로야구 로고 및 마스코트 (日本 プロ野球 L&M ) > 센트럴리그 Central League'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신 타이거스 슬로건 2023 로고 Hanshin Tigers Slogan 2023 Logo Vector
한신 타이거스의 2023 시즌 슬로건을 확보했습니다.
한신 타이거스의 2023 시즌 슬로건은 간단명료하면서도 임팩트가 있는 문구를 준비했습니다. 바로 "A.R.E"인데요. Aim, Respect, Empower의 영어 단어를 축약해서 만들었는데 해당 단어들의 뜻을 살펴보면 조준하고 목표하고, 존중하고, 긍정적인 결과를 내기 위해 자신감을 갖고 권한을 준다는 뜻으로 보이는데요. 한신 타이거스의 내부적으로 꼭 필요한 의미를 부여하는 단어로 슬로건을 구성했다고 생각합니다.
첫 번째 사진이 2022년 시즌 슬로건이고요. 두 번째 사진이 이번 게시물의 하이라이트인 2023년 시즌 슬로건이 되겠습니다. 세 번째 사진은 한신 타이거스의 또 다른 워드마크인데요. 종종 쓰일 때가 있고 마침 생각나서 이번 게시물을 통해 정리하는 차원에서 자료들을 함께 올렸습니다.
한신 타이거스가 작년 시즌을 끝으로 야노 아키히로 감독과 결별한 뒤에 31대 감독을 지냈던 오카다 아키노부 감독을 36대 감독으로 재선임했는데요. 오카다 아키노부 감독은 2005년 한신 타이거스의 센트럴리그 우승을 이끌었던 지도자였는데 다시 부임한 이후의 어떤 결과를 낼 수 있을지 주목하고 있습니다.
2023년을 맞아 한신 타이거스의 슬로건을 확보한 터라 이번 게시물을 통해 올려놓게 되었고요. 그리고, 제가 2022년에 새롭게 디자인된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즈의 홈 유니폼을 확보했습니다. 관련 자료를 이달 중으로 올려 둘 예정입니다.
'일본 프로야구 로고 및 마스코트 (日本 プロ野球 L&M ) > 센트럴리그 Central League'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신 타이거스 마스코트 토라키 키타 2022 버젼 로고 Hanshin Tigers Mascot To-Lucky Kita 2022 Version Logo Vector
한신 타이거스도 2022년을 맞아 유니폼의 디자인이 변경됐습니다.
유니폼의 디자인이 변경되면서 마스코트들도 새로운 디자인이 적용됐는데요. 한신 타이거스의 마스코트는 메인 마스코트인 토라키, 여성 마스코트인 럭키, 서드 마스코트인 키타로 구성되어 있는데 현재까지 메인 마스코트인 토라키와 서드 마스코트인 키타를 확보했습니다. 그래서 이번 게시물을 통해서 토라키와 키타를 먼저 올려놓게 되었고요.
첫 번째 사진, 두 번째 사진, 세 번째 사진이 바로 메인 마스코트인 토라키입니다. 첫 번째 사진이 타격하는 활용형, 두 번째 사진이 기본형, 세 번째 사진이 킷 스폰서인 미즈노가 적용된 기본형입니다. 네 번째 사진과 다섯 번째 사진이 서드 마스코트인 키타입니다. 네 번째 사진이 풍선을 들고 있는 모습, 마지막 다섯 번째 사진이 기본형이 되겠습니다.
2021년까지 사용된 유니폼과 비교해 봤을 때 큰 차이점은 없습니다만, 양쪽 팔과 양쪽 다리에 있는 무늬와 디자인이 변경돼서 적용됐습니다.
제가 추후 여성 마스코트인 럭키의 기본형을 확보하는 대로 바로 한신 타이거스의 마스코트들을 정리할 예정이고요. 이어서 대만 프로야구의 라쿠텐 몽키스와 관련도니 자료들을 정리하도록 하겠습니다.
'일본 프로야구 로고 및 마스코트 (日本 プロ野球 L&M ) > 센트럴리그 Central League'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신 타이거스 주니치 드래곤즈 히로시마 도요 카프 2022 슬로건 로고 Hanshin Tigers Chunichi Dragons Hiroshima Toyo Carp 2022 Slogan Logo Vector
이번에는 처음으로 슬로건의 자료들을 올려 보려고 합니다.
센트럴리그에 속해 있는 한신 타이거스, 주니치 드래곤즈, 그리고 히로시마 도요 카프의 슬로건을 확보했고요. 슬로건에 대해서는 크게 신경쓰지 않았습니다만, 한번 올리는 것도 나쁘지 않을 것 같아서 이번 게시물을 통해 올려놓게 되었습니다.
첫 번째 사진이 한신 타이거스의 2022 시즌 슬로건, 두 번째 사진이 주니치 드래곤즈의 2022 시즌 슬로건, 마지막 세 번째 사진이 히로시마 도요 카프의 2022 시즌 슬로건이 되겠습니다.
한신 타이거스의 2022 시즌 슬로건이 갖는 의미는 일본어의 표현은 이치 니 카케루로서 목숨을 건다는 의미로 의역되지 않나 싶습니다. 주니치 드래곤즈의 2022 시즌 슬로건이 갖는 의미는 모든 것은 승리를 위해서라는 의미로 승리에 모든 것을 둔다는 의미인 듯 싶습니다. 마지막 히로시마 도요 카프의 2022 시즌 슬로건이 갖는 의미는 활력을 불어넣기 위해 이를 악물고 뚝뚝 소리가 나는 'Guts'를 사용한 듯 싶습니다.
슬로건도 확보하는 대로 앞으로 신경써서 본 블로그에 올려놓을 예정입니다. 간만에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와 관련된 자료들로 이어지겠습니다.
'일본 프로야구 로고 및 마스코트 (日本 プロ野球 L&M ) > 센트럴리그 Central League'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신 타이거스 마스코트 럭키 키타 마스크 활용 버젼 로고 Hanshin Tigers Mascot Lucky Kita Application Mask Version Logo Vector
마스크를 착용하고 있는 한신 타이거스의 마스코트들입니다.
한신 타이거스의 여성 마스코트인 럭키와 서드 마스코트인 키타가 각각 모두 마스크를 착용하고 있는 모습입니다. 첫 번째 사진이 여성 마스코트인 럭키고요. 두 번째 사진이 서드 마스코트인 키타입니다.
아직은 코로나가 횡행하는 시절이라 마스크를 착용하고 있는 럭키와 키타의 모습을 보면서 코로나 시대를 상징하고 있는 모습일 겁니다.
코로나가 언제 끝이 날지는 알 수 없습니다만, 백신의 접종이 보다 확산되고 면역력이 늘어나게 되면 풍토병을 거쳐 일종의 감기 수준으로 제어가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치료제들도 곧 나올 거고요. 내년은 힘들 거고, 내후년 정도쯤 되면 서서히 마스크를 벗는 시기가 찾아올 거라 생각합니다.
코로나의 시대가 끝나고 한신 타이거스도 일본시리즈에서 우승하여 日本一을 달성하는 날이 오기를 희원합니다.
'일본 프로야구 로고 및 마스코트 (日本 プロ野球 L&M ) > 센트럴리그 Central League'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신 타이거스 빅쿠리맨 로고 Hanshin Tigers Bikkuriman Logo Vector
한신 타이거스와 빅쿠리맨의 콜라보레이션입니다.
제가 오래 전에 한신 타이거스와 빅쿠리맨의 콜라보레이션의 자료를 확보하고 있다가 얼마 전에 기억이 나서 이번 게시물을 통해 올리게 됐습니다. 빅쿠리맨은 일본의 대표적인 만화이자 애니메이션 시리즈인데요. 빅쿠리맨을 바탕으로 해서 롯데그룹의 일본 제과 업체인 ㈜롯데가 스티커 및 카드로 발매하는 시리즈이기도 합니다.
㈜롯데에서 스티커 및 카드로 발매하는 빅쿠리맨 시리즈는 1977년부터 시작되어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고요. 그만큼 유서 깊은 시리즈라 지금도 스티커와 카드를 모으고 있는 매니아층이 존재합니다. 빅쿠리맨과 관련하여 한신 타이거스의 자료들을 확보한 터라 한신 타이거스를 주인공으로 한 빅쿠리맨을 공유하고자 합니다.
첫 번째 사진이 한신 타이거스 레귤러 로스터의 빅쿠리맨 시리즈입니다. 두 번째 사진은 한신 타이거스의 예전 유니폼 그러니까 1984년부터 1987년까지 사용된 유니폼입니다. 한신 타이거스의 日本一을 달성한 1985년 일본시리즈의 우승 유니폼이고요. 사진 속의 주인공이 바로 한신 타이거스의 日本一을 이끌었던 랜디 바스가 되겠습니다. 미국 국적의 외국인 선수였지요. 랜디 바스는 1985년 황금기를 구가하던 세이부 라이온즈(현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즈)를 상대로 한 일본시리즈 3차전까지 세 경기 연속 홈런포를 쏘아 올리며 한신 타이거스의 일본시리즈 우승을 이끌었습니다. 이때 한신 타이거스와 세이부 라이온즈 모두 철도회사를 모기업으로 두면서 철도뿐만 아니라 유통, 호텔, 레저, 부동산 등 비슷한 업종과 업태를 가진 모그룹들이라 이러한 모그룹의 특성 탓에 주목을 끌기도 했습니다. 세 번째 사진은 전에도 올린 적이 있었지만 한신 타이거스와 오다 에이치로의 만화 및 미디어 믹스인 원피스가 만들어 낸 콜라보레이션입니다. 정리하는 차원에서 함께 올렸습니다.
한신 타이거스와 빅쿠리맨의 콜라보레이션을 본 게시물을 통해서 마무리짓고요. 이어서 2020년에 부분적으로 디자인이 변경된 치바 롯데 마린즈의 홈 유니폼을 올려 두도록 하겠습니다.
'일본 프로야구 로고 및 마스코트 (日本 プロ野球 L&M ) > 센트럴리그 Central League'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신 타이거스의 서드 마스코트인 키타를 간만에 올리게 됩니다.
키타를 마스크를 착용한 버젼과 잠옷을 착용한 버젼, 그리고 뒷모습의 형태를 확보하면서 키타의 귀여운 모습을 부각하는 차원에서 이번 게시물을 올리게 됐습니다.
키타는 2011년에 처음으로 등장했고요. 토라키와 럭키에 이어 자연스럽게 서드 마스코트의 위치를 차지하게 됐습니다. 토라키와 럭키와는 달리 귀여운 매력이 넘치는 마스코트이기도 합니다. 개인적으로 치바 롯데 마린즈의 즈짱과 함께 가장 귀여운 매력을 지닌 마스코트라 생각합니다.
마스크를 착용한 버젼과 뒷모습의 형태를 몇 달 전에 확보한 걸 잊고 있다가 키타의 매력도 부각시킬 겸해서 올리게 됐습니다.
한신 타이거스의 토라키와 럭키의 후덕한 형태들과 관련된 활용 버젼들을 다수 확보했고요. 관련 자료들은 순차적으로 본 블로그에 올려놓을 생각입니다. 한신 타이거스에 이어 고래상어와 함께 하는 주니치 드래곤즈의 메인 마스코트인 도아라를 이어서 올리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