롯데 자이언츠 치바 롯데 마린즈 라쿠텐 몽키스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 엠블럼 로고 Lotte Giants Chiba Lotte Marines Rakuten Monkeys Tohoku Rakuten Golden Eagles Emblem Logo Vector
롯데 자이언츠, 치바 롯데 마린즈, 라쿠텐 몽키스,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의 엠블럼입니다.
제가 롯데 자이언츠, 치바 롯데 마린즈, 라쿠텐 몽키스,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의 엠블럼을 올린 이유는 롯데그룹과 라쿠텐그룹이 일본을 중심으로 각각 우리나라와 대만에도 프로야구단을 운영하기 때문에 본 게시물을 통해 정리하는 차원에서 올렸습니다.
먼저, 롯데그룹이 프로야구에 발을 들여놓은 계기는 바로 1969년에 다이에이 영화사가 운영하는 도쿄 오리온즈의 스폰서로 참여하기 시작한 데에 기원합니다. 1969년부터 1970년까지 도쿄 오리온즈의 스폰서가 되면서 롯데 오리온즈로 해당 기간 동안 운영됐고요. 롯데그룹이 이듬해인 1971년 1월 25일 다이에이 영화사로부터 오리온즈 구단의 지분을 전량 인수하면서 롯데 오리온즈가 정식으로 롯데그룹에 편입됐습니다. 현재는 치바 롯데 마린즈로 역사가 이어 가고 있고요. 그리고 우리나라에는 1975년 롯데 자이언트라는 명칭으로 창단하여 실업야구에 참가하였고, 1982년부터 롯데 자이언츠로 명칭을 변경하여 지금에 이르고 있지요. 참고로, 1982년 원년부터 모그룹도 팀이름도 바뀌지 않은 구단이 롯데 자이언츠와 삼성 라이온즈이고, 모그룹이 바뀌지 않은 구단까지 영역을 넓히면 두산 베어스, 롯데 자이언츠, 삼성 라이온즈가 해당됩니다.
라쿠텐그룹이 프로야구에 발을 들여놓은 계기는 2004년 미야기현 센다이시를 연고로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를 창단한 데에 기원합니다. 라쿠텐그룹이 창단했던 2004년이 일본프로야구의 재편 문제로 인해 시끄러웠지요.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가 현재 일본프로야구의 12개 구단 중에서 역사가 가장 짧습니다. 새롭게 창단한 데다 기존의 구단을 인수한 형태가 아니기 때문입니다. 라쿠텐그룹이 2019년 대만프로야구의 라미고 몽키스를 인수하면서 모그룹의 명칭을 따서 라쿠텐 몽키스로 팀명을 변경합니다. 그래서 롯데그룹과 라쿠텐그룹이 각각 일본을 벗어나 우리나라에서는 롯데 자이언츠를, 대만에서는 라쿠텐 몽키스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치바 롯데 마린즈와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 롯데 자이언츠와 라쿠텐 몽키스의 법인들은 모두 다릅니다. 같은 모그룹에서 법인을 다르게 두는 이유는 일본프로야구의 규정에서 근거하고 있는데요. 신인드래프트나 외국인 선발에 있어서 편법이 생길 수가 있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법인을 별도로 두고 운영하고 있는 것이지요.
롯데그룹의 경우 일본에서 도쿄 오리온즈를 인수하여 롯데 오리온즈와 치바 롯데 마린즈의 순서로 출범시키고, 롯데 자이언트를 창단해서 롯데 자이언츠로 팀명을 변경했다면 라쿠텐그룹의 경우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를 창단한 뒤에 라미고 몽키스를 인수해서 라쿠텐 몽키스로 출범했다는 차이점이 존재합니다. 그러니까 롯데그룹은 일본 현지에서 인수, 우리나라에서 창단의 형태를 띠었다면 라쿠텐그룹은 일본 현지에서 창단, 대만에서 인수하는 형태를 띤 것이지요. 반대로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와 치바 롯데 마린즈가 같은 퍼시픽리그에 속해 있다는 공통점도 있습니다.
비슷하면서도 다른 롯데 자이언츠, 치바 롯데 마린즈, 라쿠텐 몽키스,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를 엠블럼을 통해 정리했고요. 라쿠텐 몽키스의 심볼, 워드마크, 마스코트도 제가 확보한 상태라 추후에 대만프로야구의 예전 자료들과 함께 순차적으로 정리할 계획입니다. 어제 말씀드렸던 것처럼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의 자료들을 이어서 정리해 두도록 하겠습니다.
'일본 프로야구 로고 및 마스코트 (日本 プロ野球 L&M ) > 퍼시픽리그 Pacific Leagu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치바 롯데 마린즈 2004 시즌 사무라이 유니폼 로고 Chiba Lotte Marines 2004 Season Samurai Uniform Logo Vector
치바 롯데 마린즈의 2004 시즌 사무라이 유니폼을 드디어 올립니다.
치바 롯데 마린즈가 사무라이 디자인을 적용한 유니폼을 2004년에 공개해서 착용하기 시작했습니다. 우승 기념 패치와 스폰서 패치인 하트포드생명의 적용 유무의 차이점을 빼면 해당 디자인은 2007년까지 사용됐습니다. 사무라이 디자인은 2005년부터 2007년까지 치바 롯데 마린즈의 홈 유니폼인 핀스트라이프 유니폼을 대신해 실질적인 홈 유니폼으로도 쓰였습니다.
첫 번째 사진과 두 번째 사진이 등번호가 적용되지 않은 사무라이 유니폼입니다. 세 번째 사진과 네 번째 사진이 등번호가 적용된 사무라이 유니폼인데요. 각각의 차이는 모기업인 롯데의 영문 CI가 과거와 현재에 따라 구별됩니다. 첫 번째 사진과 세 번째 사진이 과거에 사용됐던 롯데의 영문 CI라 2004년부터 2007년까지 사용됐음을 알 수가 있고요. 두 번째 사진과 네 번째 사진은 현재 사용 중인 롯데의 영문 CI라 복각 디자인임을 알 수가 있습니다.
다섯 번째 사진과 여섯 번째 사진, 일곱 번째 사진과 여덟 번째 사진은 제가 전에 올렸던 사무라이 디자인을 적용한 무늬와 심볼 등입니다. 이 곳을 참고하시면 되겠습니다. https://flytoazuresky.tistory.com/1332
치바 롯데 마린즈 사무라이 심볼 무늬 유니폼 로고 Chiba Lotte Marines Samurai Symbol Pattern Uniform Logo Vect
2004년부터 2007년까지 사용된 치바 롯데 마린즈의 사무라이 디자인들입니다. 제가 오래 전에 치바 롯데 마린즈의 사무라이 유니폼도 확보한 상태였는데 잊고 지내다 며칠 전에 확인하여 이번 게
flytoazuresky.tistory.com
사무라이 유니폼은 2005년 치바 롯데 마린즈가 퍼시픽리그 우승, 일본시리즈 우승, 아시아시리즈까지 모두 우승했던 그야말로 최고의 기억만을 선사했던 유니폼이기도 했습니다. 우승 유니폼으로서 가치가 충분하다고 판단합니다.
치바 롯데 마린즈에 이어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의 관련 자료들도 순차적으로 정리할 생각입니다. 대만 프로야구의 예전 자료들도 본 블로그에 올려놓을 계획에 있습니다.
'일본 프로야구 로고 및 마스코트 (日本 プロ野球 L&M ) > 퍼시픽리그 Pacific League'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 크루 유니폼 2021 로고 Tokyo Yakult Swallows Crew Uniform 2021 Logo Vector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의 크루 유니폼으로 이어집니다.
제가 몇 달 전에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의 크루 유니폼 2021을 확보했는데요. 확보한 걸 잊고 있다가 며칠 전에 생각나서 이번 게시물을 통해 올리게 됐습니다. 크루 유니폼은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의 팬클럽에 가입해야만 구단 측에서 제공하는 유니폼이라 직접적으로 손에 넣기에 쉬운 유니폼은 아닌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첫 번째 사진이 2015 시즌 유니폼, 두 번째 사진이 2016 시즌 유니폼, 세 번째 사진과 네 번째 사진이 모두 2017 시즌 유니폼입니다. 세 번째 사진과 네 번째 사진의 차이는 크기와 디자인의 바탕이 되는 틀이 각각 다른 형태입니다. 마지막 다섯 번째 사진이 이번 게시물인 2021 시즌 유니폼이 되겠습니다.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의 크루 유니폼을 정리하는 차원에서 기존에 확보한 자료들과 함께 올려놓게 되었고요.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도 이벤트와 관련된 유니폼을 확보하는 대로 본 게시물에 정리할 마음을 갖고 있습니다.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에 이어 2004년에 처음으로 등장한 치바 롯데 마린즈의 사무라이 유니폼을 이어서 올려 두도록 하겠습니다.
'일본 프로야구 로고 및 마스코트 (日本 プロ野球 L&M ) > 센트럴리그 Central League'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래상어와 함께 하는 주니치 드래곤즈의 마스코트 도아라 (2) | 2021.06.24 |
---|---|
한신 타이거스 마스코트 키타의 귀여운 뒷모습 (0) | 2021.06.23 |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즈 위 러브 홋카이도 2021 유니폼 로고 Hokkaido Nippon-Ham Fighters We Love Hokkaido 2021 Uniform Logo Vector (0) | 2021.06.08 |
꽃과 함께 한 주니치 드래곤즈 마스코트 도아라의 속삭임 (0) | 2021.06.07 |
요미우리 자이언츠 마스코트 쟈빗 익사이트 활용 버젼 로고 Yomiuri Giants Mascot Giabbit Application Excite Version Logo Vector (0) | 2021.05.18 |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즈 위 러브 홋카이도 2021 유니폼 로고 Hokkaido Nippon-Ham Fighters We Love Hokkaido 2021 Uniform Logo Vector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즈의 대표적인 행사인 위 러브 홋카이도로 이어집니다.
앞서 말씀드린 바와 같이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즈는 지역 밀착 마케팅의 일환으로 위 러브 홋카이도를 비롯해 다양한 연고지 관련 행사들을 진행하고 있는데요. 얼마 전에 We Love Hokkaido 2021의 유니폼을 확보하면서 이번 게시물을 통해 해당 유니폼을 올리게 됐습니다.
첫 번째 사진이 We Love Hokkaido 2014의 유니폼, 두 번째 사진이 We Love Hokkaido 2017의 유니폼, 마지막 세 번째 사진이 이번 게시물의 하이라이트인 We Love Hokkaido 2021의 유니폼이 되겠습니다. 2014년과 2017년의 자료들은 정리하는 차원에서 함께 올렸습니다.
세 번째 사진에 있는 We Love Hokkaido 2021의 아쉬운 면이 한 가지가 있는데요. 수려한 무늬를 래스터라이징을 해 두면서 이 부분이 유일한 흠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We Love Hokkaido의 유니폼들도 연도별로 확보하는 대로 추가적으로 정리할 생각입니다.
내일은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의 크루 2021 유니폼을 올려 두도록 하겠습니다.
'일본 프로야구 로고 및 마스코트 (日本 プロ野球 L&M ) > 센트럴리그 Central League'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신 타이거스 마스코트 키타의 귀여운 뒷모습 (0) | 2021.06.23 |
---|---|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 크루 유니폼 2021 로고 Tokyo Yakult Swallows Crew Uniform 2021 Logo Vector (0) | 2021.06.09 |
꽃과 함께 한 주니치 드래곤즈 마스코트 도아라의 속삭임 (0) | 2021.06.07 |
요미우리 자이언츠 마스코트 쟈빗 익사이트 활용 버젼 로고 Yomiuri Giants Mascot Giabbit Application Excite Version Logo Vector (0) | 2021.05.18 |
올해로 각각 10주년과 85주년을 맞는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즈와 주니치 드래곤즈 (0) | 2021.05.15 |
꽃과 함께 한 주니치 드래곤즈 마스코트 도아라의 속삭임
꽃과 함께 합니다.
일본프로야구의 깨방정으로 알려진 주니치 드래곤즈의 메인 마스코트인 도아라가 꽃과 함께 합니다. 이번 게시물은 꽃과 함께 하는 모습을 보여 주는 도아라의 모습을 보실 수가 있습니다.
첫 번째 사진은 하오리라고 불리는 일본 전통 복장을 착용하는 모습이고요. 두 번째 사진, 세 번째 사진, 마지막 네 번째 사진이 모두 꽃과 함께 하는 도아라입니다. 세 번째 사진의 동물이 바로 고래상어이지요. 고래상어는 상어과의 동물 중에서 상당히 온순하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동물과도 잘 지낼 정도로 도아라의 친화력은 가히 최고라 생각합니다.
꽃보다 남자라는 단어보다 꽃보다 도아라라는 단어가 더욱 생각납니다. 확보한 자료라 흥미 차원에서 올리게 됐습니다.
이어서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즈와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의 유니폼들을 올려놓도록 하겠습니다.
'일본 프로야구 로고 및 마스코트 (日本 プロ野球 L&M ) > 센트럴리그 Central Leagu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치바 롯데 마린즈 사무라이 심볼 무늬 유니폼 로고 Chiba Lotte Marines Samurai Symbol Pattern Uniform Logo Vector
2004년부터 2007년까지 사용된 치바 롯데 마린즈의 사무라이 디자인들입니다.
제가 오래 전에 치바 롯데 마린즈의 사무라이 유니폼도 확보한 상태였는데 잊고 지내다 며칠 전에 확인하여 이번 게시물을 통해 올리게 됐습니다. 이번 게시물을 통해 2004년부터 2007년까지 사용된 치바 롯데 마린즈의 사무라이 디자인들을 정리할 생각입니다.
첫 번째 사진이 사무라이 패턴 무늬, 두 번째 사진이 사무라이 곡선 무늬와 사무라이 심볼의 결합형, 세 번째 사진이 사무라이 무늬 깃발, 네 번째 사진이 사무라이 심볼, 마지막 다섯 번째 사진이 이번 게시물의 하이라이트인 등번호가 적용되지 않은 사무라이 유니폼입니다.
다섯 번째 사진뿐만 아니라 2004년부터 2005년까지 사용된 사무라이 유니폼과 2006년부터 2007년까지 사무라이 유니폼의 패치가 조금 다르고요. 이들 유니폼은 추후에 올릴 예정입니다. 사무라이 유니폼은 삼성 라이온즈의 프랜차이즈인 라이온킹 이승엽 선수가 치바 롯데 마린즈에서 뛰던 시절 착용한 유니폼이라 뜻깊은 유니폼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사무라이 유니폼을 착용하던 시절이 치바 롯데 마린즈의 전성기이기도 했고요.
앞서 말씀드린 바와 같이 2004년부터 2005년까지 사용된 사무라이 유니폼과 2006년부터 2007년까지 사용된 사무라이 유니폼을 추후에 별도의 게시물을 통해 올려놓을 생각이고요. 이어서 주니치 드래곤즈와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즈의 관련 게시물부터 올려 두도록 하겠습니다.
'일본 프로야구 로고 및 마스코트 (日本 プロ野球 L&M ) > 퍼시픽리그 Pacific League' 카테고리의 다른 글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2020 퍼시픽리그 퍼시픽리그 클라이맥스 시리즈 일본시리즈 우승 엠블럼 로고 Fukuoka SoftBank Hawks 2020 Pacific League Pacific League Climax Series Nippon Series Champions Emblem Logo Vec..
2020년을 호령했던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의 기념 엠블럼들입니다.
2020년은 코로나의 시대 속에서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는 퍼시픽리그 우승, 퍼시픽리그 클라이맥스 시리즈 우승, 일본시리즈까지 우승하고 日本一을 달성하며 최고의 한 해로 거듭났습니다.
첫 번째 사진이 퍼시픽리그 우승 기념 엠블럼, 두 번째 사진이 퍼시픽리그 클라이맥스 시리즈 우승 기념 엠블럼, 마지막 세 번째 사진이 일본시리즈 우승 기념 엠블럼들입니다. 두 번째 사진이 바로 이건 게시물의 하이라이트입니다.
2020년 일본프로야구는 코로나로 인해 120경기가 진행되고, 시즌 자체가 늦게 거행됐습니다. 코로나로 인해서 교류전이 한시적으로 폐지되었고요. 2020년 일본시리즈에서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의 상대팀인 쿄진군 요미우리 자이언츠는 홈구장인 도쿄 돔을 사용하지 못하고 쿄세라 돔 오사카로 홈경기를 치르게 됐습니다. 왜냐하면, 일본시리즈의 기간에 도쿄 돔에서 사회인야구 전국대회인 도시대항 야구대회가 원래대로 거행되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쿄진군 요미우리 자이언츠와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는 2019년에 이어 또 다시 2020년 일본시리즈에서 맞붙게 되었으며 이 기간 동안 양 구단의 합의 하에 지명타자 제도가 적용되며 선발투수 예고제도 그대로 시행됐습니다.
결과는 싱겁다는 표현이 적합할 정도로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의 일본시리즈 우승이 결정되었습니다. 쿄진군 요미우리 자이언츠의 타선이 심각할 정도로 빈공이었던 데다 경기력 자체도 실망감을 주기에 충분했습니다. 이번 일본시리즈를 통해서 센트럴리그가 갖는 고질적인 문제점이 그대로 나왔다는 생각입니다.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는 이번 일본시리즈까지 무려 네 차례 연속 일본시리즈에서 우승을 차지했고요, 상대팀이었던 쿄진군 요미우리 자이언츠와 동일한 기록을 갖게 됐습니다.
얼마 전에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의 퍼시픽리그 클라이맥스 시리즈의 우승 기념 엠블럼을 확보해서 정리하는 차원에서 퍼시픽리그 우승 기념 엠블럼과 일본시리즈 우승 기념 엠블럼도 함께 올렸고요. 과연 올해도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가 일본시리즈에 진출하여 다섯 차례 연속 일본시리즈에서 우승할 수 있을지 사뭇 기대됩니다.
'일본 프로야구 로고 및 마스코트 (日本 プロ野球 L&M ) > 퍼시픽리그 Pacific Leagu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치바 롯데 마린스 1995 1999 2000 2004 시즌 비지타 유니폼 로고 Chiba Lotte Marines 1995 1999 2000 2004 Season Visitor Uniform Logo Vector
치바 롯데 마린즈의 1995-1999 시즌과 2000-2004 시즌에 사용된 비지타 유니폼들입니다.
제가 치바 롯데 마린즈의 1995-1999 시즌과 2000-2004 시즌에 사용된 비지타 유니폼들을 오래 전에 확보한 상태였는데 잊고 지내다 며칠 전에 기억이 나서 올려놓게 되었습니다.
첫 번째 사진과 두 번째 사진이 각각 1995년부터 1999년까지 사용된 비지타 유니폼들이고요. 세 번째 사진과 네 번째 사진이 각각 2000년부터 2004년까지 사용된 비지타 유니폼들이 되겠습니다. 각각의 차이는 등번호의 유무에 따라 달라집니다. 첫 번째 사진과 세 번째 사진이 등번호가 없고, 두 번째 사진과 네 번째 사진이 등번호가 있습니다.
제가 올린 1995-1999 시즌과 2000-2004 시즌에 사용된 치바 롯데 마린즈의 유니폼들은 롯데 자이언츠의 유니폼들과 똑같은 디자인입니다. 다만, 폰트와 워드마크의 차이가 다르고 광고나 패치가 붙는 위치의 차이가 존재할 뿐이지요. 그래서 1995년과 1999년에 있었던 한일 슈퍼게임때 롯데 자이언츠와 치바 롯데 마린즈의 유니폼을 보는 것도 하나의 재미이기도 했습니다. 같은 기간 동안 롯데 자이언츠와 치바 롯데 마린즈는 유니폼 상의의 롯데그룹의 CI와 마린즈의 워드마크에 따라 나뉘는 형태였습니다. 2005년부터 롯데 자이언츠와 치바 롯데 마린즈의 유니폼이 갖는 디자인이 달라지기 시작합니다.
제가 확보하고 있는 치바 롯데 마린즈의 역대 유니폼들을 순차적으로 본 블로그를 통해 정리할 예정이고요. 이어서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의 2020년 우승 기념 엠블럼들을 올려놓도록 하겠습니다.
'일본 프로야구 로고 및 마스코트 (日本 プロ野球 L&M ) > 퍼시픽리그 Pacific Leagu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요미우리 자이언츠 마스코트 쟈빗 익사이트 활용 버젼 로고 Yomiuri Giants Mascot Giabbit Application Excite Version Logo Vector
쿄진군 요미우리 자이언츠의 메인 마스코트인 쟈빗을 간만에 올립니다.
첫 번째 사진이 바로 이번 게시물의 하이라이트인 익사이트 활용 버전이고요. 두 번째 사진과 세 번째 사진, 네 번째 사진과 다섯 번째 사진들은 기존에 올렸던 자료들을 정리하는 차원에서 함께 올렸습니다.
쿄진군 요미우리 자이언츠의 마스코트들을 모두 가리켜 쟈빗 패밀리로 부르는데요. 쟈빗 패밀리가 마지막 다섯 번째 사진에 해당합니다. 제가 2020년에 해당 자료를 올린 적이 있습니다. 센트럴리그를 기준으로 쿄진군 요미우리 자이언츠가 가장 많은 마스코트들을 보유하고 있는 구단입니다.
나무위키를 비롯한 백과 프로그램에 다섯 번째 사진의 쟈빗 패밀리로 정리해 주셨으면 하는 마음입니다. 마스코트들이 쟈빗만 있지 않고 할아버지 쟈빗부터해서 여섯 마스코트들이 활약하고 있거든요. 쟈빗 패밀리들이 도쿄 돔에서 여러 가지 활동들을 하고 있기도 합니다.
이번에는 간단하게 쿄진군 요미우리 자이언츠의 메인 마스코트인 쟈빗을 중심으로 정리했고요. 제가 보유하고 있는 치바 롯데 마린즈의 역대 유니폼들을 순차적으로 정리할까 합니다.
'일본 프로야구 로고 및 마스코트 (日本 プロ野球 L&M ) > 센트럴리그 Central Leagu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치바 롯데 마린즈 마스코트 마군 린짱 즈짱 쿨 수수께끼의 물고기 나조 노 사카나 마군 린짱 오토바이 마군 린짱 즈짱 자동차 활용 버젼 로고 Chiba Lotte Marines Mascot Mar-Kun Rine-Chan Zu-Chan Cool Nazo No..
치바 롯데 마린즈의 마스코트들을 총정리합니다.
기존에 확보해서 올렸던 자료들이 대부분이긴 하지만, 이번 게시물을 통해서 치바 롯데 마린즈의 마스코트들인 마군, 린짱, 즈짱, 쿨, 수수께끼의 물고기인 나조 노 사카나까지 총정리할 생각을 갖고 있습니다. 제목에서처럼 마군과 린짱이 오토바이를 타고 가고 마군, 린짱, 즈짱이 자동차를 타고 가는 활용 버젼도 예전에 확보한 자료에서 확인하여 추가했습니다.
첫 번째 사진이 메인 마스코트인 마군입니다. 1992년은 마군이 등장한 연도이면서 롯데 오리온즈를 지나 치바에 정착한 치바 롯데 마린즈의 등장을 알렸던 마스코트이기도 합니다. 마린즈의 기준으로 가장 오래된 마스코트가 되겠습니다. 두 번째 사진이 여성 마스코트인 린짱입니다. 린짱은 1993년에 등장해서 여성 마스코트로서 꾸준히 활약하고 있습니다. 세 번째 사진이 서드 마스코트인 즈짱입니다. 즈짱은 1998년에 등장했고요. 그래서 1998년에 마군, 린짱, 즈짱의 마스코트 체제가 갖춰집니다. 네 번째 사진이 롯데 오리온즈가 치바에 정착한 것을 알고 치바 롯데 마린즈의 상대 구단을 응원하는 설정을 지닌 쿨입니다. 쿨은 2005년에 등장했다가 2016년 시즌을 끝으로 2017년에 은퇴하게 됩니다. 그러다 2020년 치바 롯데 마린즈의 70주년 기념 행사때 모습을 드러내기도 했습니다. 다섯 번째 사진이 2014년에 등장한 수수께끼의 물고기인 나조 노사카나입니다. 수수께끼라는 말처럼 경기 중에 불시에 모습을 드러내지요. 마군, 린짱, 즈짱과 함께 마린즈를 이끄는 마스코트 중에 하나입니다.
여섯 번째 사진이 마군, 린짱, 즈짱, 쿨이 함께 있는 사진이고요. 네 번째 쿨의 사진과 함께 쿨의 최신 버젼을 함께 하고 있는 자료가 되겠습니다. 쿨이 2016년을 끝으로 은퇴할 때 착용한 유니폼을 반영하고 있기 때문에 그렇습니다. 일곱 번째 사진이 마군과 린짱이 오토바이를 타고 가는 모습을 활용한 자료이고요. 마지막 여덟 번째 사진이 마군, 린짱, 즈짱이 자동차를 타고 가는 모습을 활용한 자료입니다.
나무위키를 비롯한 백과 프로그램에 제가 이번 게시물에 올린 자료들로 정리해 주셨으면 하고요. 쿨의 경우 네 번째 사진으로 정리해 주시고요. 마군, 린짱, 즈짱, 쿨이 함께 있는 여섯 번째 사진도 활용해 주셨으면 합니다. 쿨이 은퇴하기 전에 착용한 비지타 유니폼을 반영한 자료들이라 의미도 깊다고 할 수 있겠습니다. 쿨의 경우에는 은퇴한 마스코트의 항목으로 정리하시면 될 듯 싶습니다.
이번 게시물을 통해서 치바 롯데 마린즈의 마스코트들을 정리했고요. 쿄진군 요미우리 자이언츠의 마스코트인 쟈빗과 치바 롯데 마린즈의 역대 유니폼들도 제가 확보하고 있는 자료들을 중심으로 정리해 두도록 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