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바 롯데 마린즈 2020 마린 페스타 엠블럼 유니폼 로고 Chiba Lotte Marines 2020 Marine Festa Emblem Uniform Logo Vector
치바 롯데 마린즈의 대표적인 이벤트인 마린 페스타의 자료들입니다.
치바 롯데 마린즈의 대표적인 이벤트로 앞서 말씀드린 마린 페스타 외에도 지역 밀착 마케팅의 일환인 올 포 치바 등이 있습니다. 작년에 진행됐던 마린 페스타 2020의 자료들을 이번 게시물에 올리려고 합니다.
첫 번째 사진이 마린 페스타 2019의 공식 엠블럼, 두 번째 사진이 마린 페스타 2020의 공식 엠블럼이 되겠습니다. 마린 페스타 2020의 공식 엠블럼은 치바 롯데 마린즈의 홈구장인 ZOZO 마린 스타디움을 모티브로 제작한 형태라 지역색 강화와 홈구장의 각인이 주제가 된 것으로 보입니다. 세 번째 사진과 네 번째 사진이 마린 페스타 2020의 이벤트 유니폼이 되겠습니다. 세 번째 사진의 유니폼에는 등번호가 없고, 네 번째 사진의 유니폼에는 등번호가 있는데요. 등번호 17번은 바로 치바 롯데 마린즈의 투수인 사사키 로키가 주인공입니다.
디자인의 색상도 아쿠아 색상을 적용해서 편안하고 산뜻한 기분을 느끼게 합니다.
어제 쿄진군 요미우리 자이언츠의 2013년 센트럴리그 우승 기념 엠블럼에 이어 치바 롯데 마린즈의 대표적인 이벤트인 마린 페스타 2020 관련 자료들을 올리게 되었고요. 치바 롯데 마린즈의 메인 마스코트인 마군도 이어서 올려놓도록 하겠습니다.
'일본 프로야구 로고 및 마스코트 (日本 プロ野球 L&M ) > 퍼시픽리그 Pacific Leagu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쿄진군 요미우리 자이언츠 2013 센트릴리그 우승 기념 엠블럼 로고 KyojinKun Yomiuri Giants 2013 Central League Champions Anniversary Emblem Logo Vector
쿄진군 요미우리 자이언츠의 센트럴리그 우승 기념 엠블럼을 추가합니다.
제가 오래 전에 확보한 자료를 며칠 전에 다시 살펴보다가 쿄진군 요미우리 자이언츠의 2013 센트럴리그 우승 기념 엠블럼을 확인했습니다. 그래서 관련 자료를 정리한 뒤에 이번 게시물을 통해 올리게 됐고요. 오브젝트의 크기가 워낙 작아서 놓치다가 발견된 경우였습니다.
첫 번째 사진이 크기가 작아 고생을 시켰던 쿄진군 요미우리 자이언츠의 2013년 센트럴리그 우승 기념 엠블럼이 되겠습니다. 동시에 이번 게시물의 하이라이트이기도 하고요. 두 번째 사진은 쿄진군 요미우리 자이언츠의 2019년 센트럴리그 우승 기념 엠블럼입니다. 정리하는 차원에서 본 게시물에 함께 올렸습니다.
쿄진군 요미우리 자이언츠의 센트럴리그 우승 기념 엠블럼이 늘어나게 됐고요. 이어서 치바 롯데 마린즈의 대표적인 이벤트인 마린 페스타 2020의 엠블럼과 유니폼을 올리고요. 동시에 메인 마스코트인 마군의 추가적인 자료도 순차적으로 올려 두도록 하겠습니다.
'일본 프로야구 로고 및 마스코트 (日本 プロ野球 L&M ) > 센트럴리그 Central League' 카테고리의 다른 글
히로시마 도요 카프 2017 센트럴리그 우승 깃발 로고 Hiroshima Toyo Carp 2017 Central League Champions Flag Logo Vector (0) | 2021.07.15 |
---|---|
한신 타이거스 빅쿠리맨 로고 Hanshin Tigers Bikkuriman Logo Vector (0) | 2021.07.09 |
고래상어와 함께 하는 주니치 드래곤즈의 마스코트 도아라 (2) | 2021.06.24 |
한신 타이거스 마스코트 키타의 귀여운 뒷모습 (0) | 2021.06.23 |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 크루 유니폼 2021 로고 Tokyo Yakult Swallows Crew Uniform 2021 Logo Vector (0) | 2021.06.09 |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게이밍 엠블럼 로고 Fukuoka SoftBank Hawks Gaming Emblem Logo Vector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와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게이밍의 엠블럼입니다.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가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게이밍의 모체로서 섀도우버스 게임단을 운영하던 팀이었습니다. 현재는 롤이라고 부르는 리그 오브 레전드에서 활약하고 있는 게임단이고요.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와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게이밍은 한국프로야구의 두산 베어스와 유사한 측면이 있습니다. 바로 두산 베어스가 두산그룹 산하의 핸드볼팀인 두산 핸드볼단을 운영하고 있고요. 두산 핸드볼단이 이전에 잠시 동안 같은 모그룹 산하의 야구단의 명칭을 따서 두산 베어스라는 명칭을 쓴 적이 있습니다. 같은 두산그룹의 스포츠단이어서 장부상으로도 그렇고 실제 관리도 두산 베어스가 하고 있는 형태이지요.
첫 번째 사진이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의 공식 엠블럼이고요. 두 번째 사진이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게이밍의 공식 엠블럼이 되겠습니다. 사진에서 보듯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의 워드마크 부분을 그대로 활용하고 게이밍의 폰트와 엠블럼을 갖추게 되는 배경 색상을 추가한 형태입니다.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의 같은 모그룹인 소프트뱅크에서 운영하는 게임단이기도 하고,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와 깊은 관련이 있어서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게이밍의 엠블럼을 본 게시물을 통해 올려놓게 되었습니다.
이번 달의 마지막 자료는 밀리터리의 엠블럼으로서 한화디펜스에서 개발한 보병전투차인 AS-21 Redback의 엠블럼을 올려 두도록 하겠습니다.
'일본 프로야구 로고 및 마스코트 (日本 プロ野球 L&M ) > 퍼시픽리그 Pacific League' 카테고리의 다른 글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홈구장 후쿠오카 PayPay 돔 기본형 로고 Fukuoka SoftBank Hawks Home Stadium Fukuoka PayPay Dome Original Version Logo Vector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의 홈구장인 후쿠오카 PayPay 돔으로 이어집니다.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의 홈구장이자 작년부터 새로운 네이밍을 얻게 된 후쿠오카 PayPay 돔의 기본형을 얻게 되었고요. 이번 게시물을 통해서 정리하는 차원으로 2013년부터 2019년까지 사용된 후쿠오카 야후오쿠! 돔의 자료도 함께 올리게 됐습니다.
첫 번째 사진이 바로 2013년부터 2019년까지 사용된 후쿠오카 야후오쿠! 돔의 엠블럼입니다. 두 번째 사진과 세 번째 사진이 후쿠오카 PayPay 돔의 가로형 버젼이고요. 각각의 차이는 두 번째 사진이 빨간색의 배경이 적용된 형태이고, 세 번째 사진이 색상 배경이 적용되어 있지 않습니다. 마지막 네 번째 사진이 바로 이번 게시물의 하이라이트인 후쿠오카 PayPay 돔의 기본형이 되겠습니다.
후쿠오카 PayPay 돔의 PayPay는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의 모기업인 소프트뱅크와 야후! 재팬과 LINE의 모회사이자 네이버와 소프트뱅크의 합작 법인인 Z홀딩스가 합작하여 출자한 스마트폰 간편결제 서비스의 명칭입니다. 이처럼 후쿠오카 돔의 경우 모그룹인 소프트뱅크의 관계사들이 구장의 네이밍으로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나무위키를 비롯한 백과프로그램에 네 번째 사진에 있는 기본형으로 정리해 주셨으면 하는 바램입니다. 후쿠오카 PayPay 돔도 정리를 완료하여 밀린 과제를 끝낸 기분이 듭니다.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와 관련이 깊은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게이밍의 엠블럼도 이어서 올려놓도록 하겠습니다.
'일본 프로야구 로고 및 마스코트 (日本 プロ野球 L&M ) > 퍼시픽리그 Pacific League'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 2020 현재 기준 심볼 엠블럼 마스코트 구단기 로고 Tohoku Rakuten Golden Eagles 2020 Present Criterion Symbol Emblem Mascot Offcial Flag Logo Vector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를 최신에 맞게 정리합니다.
2020년을 맞아서 치바 롯데 마린즈와 함께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도 홈 유니폼의 디자인이 변경되면서 공식 엠블럼과 메인 마스코트인 클러치와 여성 마스코트인 클러치나의 디자인이 부분적으로 변경됐습니다. 그래서 새롭게 변경된 만큼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의 디자인들도 정리하기 위해 심볼, 엠블럼, 마스코트, 그리고 구단기들을 함께 올려놓게 되었습니다.
첫 번째 사진이 심볼, 두 번째 사진이 2020년을 맞아 변경된 공식 엠블럼, 세 번째 사진이 메인 마스코트인 클러치, 네 번째 사진이 여성 마스코트인 클러치나, 다섯 번째 사진이 비공인 마스코트로 설정된 미스터 카라스코, 여섯 번째 사진이 서드 마스코트인 스위치고요. 일곱 번째 사진은 여성 마스코트인 클러치나와 메인 마스코트인 클러치가 함께 있는 사진이며 마지막 여덟 번째 사진이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의 공식 구단기가 되겠습니다.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의 구단기는 과거 초대 마린즈의 시절로 불렸던 치바 롯데 마린즈의 구단기나 히로시마 도요 카프의 구단기처럼 심플한 형태이지요.
제가 올린 게시물들을 나무위키를 비롯한 백과프로그램에 정리해 주셨으면 하는 마음이고요,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의 마스코트 항목에는 클러치와 클러치나뿐만 아니라 다섯 번째 사진에 있는 미스터 카라스코와 여섯 번째 사진에 있는 스위치가 함께 정리가 되어야 합니다. 미스터 카라스코와 스위치 모두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의 마스코트들이니까요. 구단기도 본 게시물의 첨부 파일을 이용하셔서 정리하시면 될 듯 싶습니다.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의 홈구장인 후쿠오카 PayPay 돔의 기본형을 한 번 정리할 예정이고요.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와 관련이 있는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게이밍의 엠블럼도 이어서 올려 두도록 하겠습니다.
'일본 프로야구 로고 및 마스코트 (日本 プロ野球 L&M ) > 퍼시픽리그 Pacific Leagu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치바 롯데 마린즈 2005 2007 시즌 사무라이 유니폼 로고 Chiba Lotte Marines 2005 2007 Season Samurai Uniform Logo Vector
치바 롯데 마린즈의 2005 2007 시즌에 사용됐던 사무라이 유니폼을 올립니다.
치바 롯데 마린즈가 사무라이 유니폼을 2004년 시즌부터 서드 유니폼을 제작하여 착용하기 시작했고요. 2005년에 아시아시리즈의 우승을 달성함으로서 아시아챔피언의 엠블럼을 유니폼 오른쪽 팔 상단에 부착하기 시작합니다. 그래서 2007년 시즌까지 착용하였습니다.
첫 번째 사진과 두 번째 사진이 2005년부터 2007년까지 사용된 사무라이 유니폼이고요. 모두 아시아시리즈의 우승 기념 엠블럼이 부착됐습니다. 각각의 차이는 등번호의 유무에 따라 나눠집니다. 세 번째 사진은 사무라이 디자인의 곡선 형태를 정리하는 차원에서 함께 올렸습니다. 이때 심볼도 사무라이의 디자인이 적용된 형태였지요.
2000년대 중반까지 사용된 치바 롯데 마린즈의 유니폼들과 관련 디자인들을 올렸고요. 이어서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의 최신 자료들을 정리하고,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의 자료들도 간만에 올려 두도록 하겠습니다.
'일본 프로야구 로고 및 마스코트 (日本 プロ野球 L&M ) > 퍼시픽리그 Pacific Leagu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치바 롯데 마린즈 올 포 치바 도시 활용 버젼 Chiba Lotte Marines All For Chiba Application City Version Logo Vector
치바 롯데 마린즈의 대표적인 이벤트인 올 포 치바로 이어 갑니다.
앞서 말씀드린 바와 같이 올 포 치바는 마린 페스타와 함께 치바 롯데 마린즈의 대표적인 이벤트이자 지역 밀착 마케팅의 일환으로 전개되는 행사입니다. 며칠 전에 치바 롯데 마린즈의 올 포 치바와 관련된 자료를 확보하면서 본 게시물을 통해 정리하게 되었습니다.
첫 번째 사진이 올 포 치바의 2019 엠블럼, 두 번째 사진이 올 포 치바의 2019 유니폼, 세 번째 사진이 올 포 치바 2020 엠블럼, 네 번째 사진이 올 포 치바 2021의 나라시노시 도시 소개 안내판 흑백 버젼, 마지막 다섯 번째 사진이 올 포 치바 2021의 나라시노시 도시 속 안내판이 되겠습니다. 이번 게시물의 하이라이트는 네 번째 사진과 다섯 번째 사진입니다. 나라시노시는 치바현에 속한 도시 중에 한 곳이고요. 올 포 치바의 엠블럼은 치바현의 지도를 모티브로 만들어졌습니다. 또한, 치바현의 공식 마스코트인 치바쿤도 치바현의 지도를 바탕으로 만들어졌지요.
치바 롯데 마린즈의 연고지인 치바현에는 나리타국제공항, 도쿄 디즈니 리조트, 도쿄 디즈니 랜드, 도쿄 디즈니씨, 마쿠하리 멧세 컨벤션이 위치해 있습니다. 특히, 땅콩이 유명한 지역이기도 합니다. 도쿄의 대표적인 베드타운을 띠는 특성이 있습니다.
올 포 치바를 한 번 정리하고 넘어갈 생각이었던 터라 제가 확보하고 있는 자료들을 중심으로 본 게시물을 올리게 됐고요. 이어서 치바 롯데 마린즈와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의 자료들을 한 번 더 정리한 뒤에 대만프로야구와 관련된 예전 자료들을 올릴 생각입니다.
'일본 프로야구 로고 및 마스코트 (日本 プロ野球 L&M ) > 퍼시픽리그 Pacific League'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래상어와 함께 하는 주니치 드래곤즈의 마스코트 도아라
주니치 드래곤즈의 메인 마스코트인 도아라는 고래상어와 함께 합니다.
도아라가 고래상어와 함께 하는 자료를 며칠 전에 추가로 확보하면서 기존에 올린 자료와 함께 정리하는 차원에서 올려놓게 되었습니다.
첫 번째 사진과 두 번째 사진 모두 고래상어와 함께 시간을 보내는 도아라인데요. 새롭게 확보한 사진이자 이번 게시물의 하이라이트는 바로 첫 번째 사진이 되겠습니다. 고래상어의 위에 매달려 익살스러운 모습을 연출하고 있지요.
동물과 함께 하는 마스코트는 도아라가 처음이며 도아라의 다양한 모습들은 일종의 밈으로 발전하지 않을까 싶기도 합니다. 끝없는 변화를 추구하는 도아라의 모습이 기대가 되는 이유도 여기에 있습니다.
주니치 드래곤즈에 이어 치바 롯데 마린즈의 대표적인 이벤트인 올 포 치바의 자료를 이어서 올려놓도록 하겠습니다.
'일본 프로야구 로고 및 마스코트 (日本 プロ野球 L&M ) > 센트럴리그 Central League'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신 타이거스의 서드 마스코트인 키타를 간만에 올리게 됩니다.
키타를 마스크를 착용한 버젼과 잠옷을 착용한 버젼, 그리고 뒷모습의 형태를 확보하면서 키타의 귀여운 모습을 부각하는 차원에서 이번 게시물을 올리게 됐습니다.
키타는 2011년에 처음으로 등장했고요. 토라키와 럭키에 이어 자연스럽게 서드 마스코트의 위치를 차지하게 됐습니다. 토라키와 럭키와는 달리 귀여운 매력이 넘치는 마스코트이기도 합니다. 개인적으로 치바 롯데 마린즈의 즈짱과 함께 가장 귀여운 매력을 지닌 마스코트라 생각합니다.
마스크를 착용한 버젼과 뒷모습의 형태를 몇 달 전에 확보한 걸 잊고 있다가 키타의 매력도 부각시킬 겸해서 올리게 됐습니다.
한신 타이거스의 토라키와 럭키의 후덕한 형태들과 관련된 활용 버젼들을 다수 확보했고요. 관련 자료들은 순차적으로 본 블로그에 올려놓을 생각입니다. 한신 타이거스에 이어 고래상어와 함께 하는 주니치 드래곤즈의 메인 마스코트인 도아라를 이어서 올리겠습니다.
'일본 프로야구 로고 및 마스코트 (日本 プロ野球 L&M ) > 센트럴리그 Central League'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 마스코트 클러치 클러치나 스위치 2020 현재 로고 Tohoku Rakuten Golden Eagles Mascot Clutch Clutchena Switch 2020 Present Logo Vector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의 마스코트들의 현재 모습들을 올립니다.
2020년을 맞아 치바 롯데 마린즈에 이어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도 엠블럼과 마스코트, 유니폼의 폰트들을 부분적으로 수정했는데요. 구체적으로 유니폼의 적용되는 숫자 폰트를 수정하면서 디자인을 부분적으로 변경하는 형태를 띠게 됩니다. 일문, 영문 폰트와 심볼, 워드마크는 기존과 동일한 형태입니다.
디자인이 변경되면서 엠블럼뿐만 아니라 마스코트들도 디자인이 부분적으로 바뀌게 됐는데요. 현재 적용된 폰트와 디자인들을 제가 확보하면서 이번 게시물을 올리게 된 주된 이유이기도 합니다.
첫 번째 사진이 바로 메인 마스코트인 클러치의 기본형입니다. 두 번째 사진이 여성 마스코트인 클러치나의 기본형입니다. 세 번째 사진은 비공인 마스코트로 소개되는 미스터 카라스코입니다. 미스터 카라스코도 설정이 비공인 마스코트일 뿐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의 일원입니다. 네 번째 사진이 서드 마스코트인 스위치의 기본형입니다. 다섯 번째 사진이 서드 마스코트인 스위치의 활용형이고요. 미국의 국기인 성조기의 디자인을 한 중절모를 착용한 형태입니다. 여섯 번째 사진이 여성 마스코트인 클러치나와 메인 마스코트인 클러치가 함께 하고 있는 사진입니다. 미스터 카라스코와 스위치는 폰트에 영향을 받지 않고 디자인도 기존과 동일합니다. 메인 마스코트인 클러치와 여성 마스코트인 클러치나가 바로 2020년에 새롭게 디자인된 현재 형태가 되겠습니다.
나무위키를 비롯한 백과 프로그램에 첫 번째 사진과 두 번째 사진의 클러치와 클러치나, 세 번째 사진과 네 번째 사진의 미스터 카라스코와 스위치를 적용해 주시면 될 듯 싶습니다. 나무위키에는 구버젼이 설정되어 있어서 제가 이번 게시물에 올린 자료들을 반영해 주셨으면 하는 마음입니다. 미스터 카라스코는 비공인 마스코트로 설정되어 있음을 추가로 서술하시면 됩니다.
시간이 되는 대로 구단별 엠블럼뿐만 아니라 마스코트들도 시간의 순서대로 정리할 생각이고요. 디자인이 변경된 자료들은 일찍 확보해서 나무위키를 비롯한 백과프로그램에 적용될 수 있도록 힘쓰도록 하겠습니다.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에 이어 이번에는 한신 타이거스의 자료들로 이어갈까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