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코하마 베이스타즈 마스코트 홋시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즈 마스코트 DB.스타맨 먹는 버젼 로고 Yokohama Baystars Mascot Hossey Yokohama DeNA Baystars Mascot DB.Starman Application Eating Version Logo Vector
일본프로야구에는 먹성이 좋은 마스코트들이 있습니다.
이번 게시물에는 먹성이 좋은 마스코트들과 관련된 자료들을 재미 삼아 올려놓게 되었습니다. 먹성이 좋은 마스코트들의 연고지는 요코하마이며 바로 전신인 요코하마 베이스타즈와 후신인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즈를 대표하는 홋시와 DB.스타맨이 이번 게시물의 주인공들입니다.
첫 번째 사진이 요코하마 베이스타즈의 메인 마스코트인 홋시가 달걀과 젓가락을 들고 있는 사진이고요. 두 번째 사진이 2015년부터 2022년까지 사용된 홈 유니폼을 착용하고 있는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즈의 메인 마스코트인 DB.스타맨이 달걀을 먹고 있는 사진입니다. 마지막 세 번째 사진이 2023년에 새롭게 디자인되어 현재까지 사용 중인 홈 유니폼을 착용하고 있는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즈의 메인 마스코트인 DB.스타맨이 달걀이 아닌 야구공을 먹고 있는 사진입니다.
이번 게시물이 먹는 것이 주제가 되었고요. 홋시는 세련되고 깔끔한 멋이 있는 데 반해 스타맨은 투박하면서 아무거나 가리지 않고 잘 먹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추억의 마스코트가 된 요코하마 베이스타즈의 메인 마스코트인 홋시와 뒤이은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즈의 메인 마스코트인 DB.스타맨을 통해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즈까지 이어지는 역사를 조망하는 차원에서 자료들을 올려놓게 되었습니다.
내일은 기업과 관련된 자료를 올릴 예정이고요. 2000년대 초반에 있던 기업과 관련된 자료를 정리해서 올려놓도록 하겠습니다.
'일본 프로야구 로고 및 마스코트 (日本 プロ野球 L&M ) > 센트럴리그 Central League'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신 타이거스 마스코트 토라키 럭키 키타 2001 2006 2007 2011 2012 2014 2015 2017 2018 2021 2022 현재 기본형 로고 Hanshin Tigers Mascot To-Lucky Lucky Kita 2001 2006 2007 2011 2012 2014 2015 2017 2018 2021 2022 Present Original Logo Vector
한신 타이거스의 마스코트와 유니폼을 모두 정리합니다.
한신 타이거스의 마스코트들인 토라키, 럭키, 키타의 역대 모습들과 마스코트들이 착용하고 있는 유니폼을 통해서 한신 타이거스의 역사를 조망해 보고자 합니다. 제가 확보한 자료들을 살펴보다가 한신 타이거스의 마스코트들인 토라키, 럭키, 키타가 역대 유니폼별로 모두 확보하고 있음을 확인하게 되었습니다. 그래서 이번 게시물을 통해서 한신 타이거스의 마스코트와 유니폼을 한꺼번에 정리하게 되는 계기가 됐습니다.
한신 타이거스의 유니폼은 시기별로 2001년부터 2006년까지, 2007년부터 2011년까지, 2012년부터 2014년까지, 2015년부터 2017년까지, 2018년부터 2021년까지, 마지막으로 2022년부터 현재까지로 나뉩니다.
첫 번째 사진이 2001년부터 2006년까지 사용된 홈 유니폼을 착용하고 있는 메인 마스코트인 토라키와 여성 마스코트인 럭키입니다. 기존과는 달리 날쌘 이미지가 아닌 후덕하고 귀여운 이미지를 가지고 있는 것이 특징입니다. 두 번째 사진이 2007년부터 2011년까지 사용된 홈 유니폼을 착용하고 있는 메인 마스코트인 토라키와 여성 마스코트인 럭키, 그리고 서드 마스코트인 키타입니다. 현재까지 사용되고 있는 토라키, 럭키, 키타의 디자인이 바로 2007년에 기원합니다. 그러니까 2007년에 디자인된 유니폼이 홈 유니폼에 따라서 연도가 달라지는 것이지요. 키타가 처음으로 착용하는 유니폼이며 키타는 2011년에 등장한 서드 마스코트입니다.
세 번째 사진이 2012년부터 2014년까지 사용된 홈 유니폼을 착용하고 있는 토라키, 럭키, 키타고요. 네 번째 사진이 2015년부터 2017년까지 사용된 홈 유니폼을 착용하고 있는 토라키, 럭키, 키타가 되겠습니다. 다섯 번째 사진이 2018년부터 2021년까지 사용된 홈 유니폼을 착용하고 있는 토라키, 럭키, 키타입니다. 마지막 여섯 번째 사진이 2022년부터 현재까지 사용되고 있는 홈 유니폼을 착용하고 있는 토라키, 럭키, 키타가 되겠습니다. 마지막 여섯 번째 사진이 한신 타이거스에게 각별한 이유는 2023년 38년 만에 치킨으로 유명한 KFC 커널 할아버지의 저주를 끊고 한신 타이거스가 일본시리즈에서 우승을 차지한 유니폼을 착용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한신 타이거스에게 원통함을 푸는 의미를 지닌 단어인 해원이라는 단어와 밀접한 특징을 가지고 있는 소중한 디자인이기도 합니다.
2001년부터 현재까지 이르는 한신 타이거스의 장구한 역사를 정리하기 위해서 이번 게시물을 별도로 마련했고요. 한신 타이거스가 내년에 무려 90주년을 맞이하게 됩니다. 그래서 내년의 첫 게시물은 한신 타이거스의 90주년 기념 엠블럼으로 정했습니다.
제가 이번 게시물에 올린 자료들은 유용하게 활용하시면 될 듯 싶고요. 또한, 나무위키를 비롯한 백과프로그램에 관련 항목이 존재한다면 이번 게시물의 자료들을 통해서 정리하신다면 더욱 좋은 항목이 될 거라 생각합니다. 내일은 같은 센트럴리그인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즈와 관련된 자료를 이어서 올려 두도록 하겠습니다.
'일본 프로야구 로고 및 마스코트 (日本 プロ野球 L&M ) > 센트럴리그 Central League'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신 타이거스 2015 시즌 홈 유니폼 비지타 유니폼 로고 Hanshin Tigers 2015 Season Home Uniform Visitor Uniform Logo Vector
한신 타이거스의 2015년 시즌 유니폼들입니다.
2015년은 한신 타이거즈의 창단 기준 80주년이 되는 해였습니다. 한신 타이거스는 쿄진군 요미우리 자이언츠가 창단한 지 바로 이듬해인 1935년에 창단한 구단이라 일본프로야구를 통틀어 역대 두 번째로 긴 역사를 지닌 구단입니다. 동시에 칸사이 지역을 대표하는 구단이기도 하고요. 2015년을 맞아 한신 타이거스의 유니폼이 변경됐는데요. 이번 게시물을 통해 한신 타이거스의 자료를 정리할 생각입니다.
첫 번째 사진이 한신 타이거스의 80주년 기념 엠블럼입니다. 80주년 기념 엠블럼은 몇 차례 올린 적이 있었는데 정리하는 차원에서 올려놓았습니다. 두 번째 사진이 한신 타이거스의 2015년 시즌 홈 유니폼입니다. 마지막 세 번째 사진이 한신 타이거스의 2015년 시즌 비지타 유니폼이 되겠습니다. 한신 타이거스의 홈 유니폼과 비지타 유니폼 모두 핀스트라이프의 줄무늬가 적용됐고요. 홈 유니폼과 비지타 유니폼 공히 왼쪽 팔 부분에 80주년 기념 엠블럼이 부착된 것이 특징입니다. 홈 유니폼은 오른쪽 팔 부분에 Joshin이 적용됐다면 비지타 유니폼은 Joshin이 적용되지 않았습니다. 홈 유니폼은 흰색을 적용했으며 비지타 유니폼은 회색을 적용했습니다.
Joshin은 한신 타이거스의 대표적인 스폰서 기업 중에 한 곳이고요.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가전 양판점인 전자랜드와 같은 포지션에 있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일본 현지에서 유명한 기업입니다.
간만에 한신 타이거스의 유니폼을 올려놓게 되었고요. 제가 한신 타이거스의 팬은 아니지만 2023년을 맞아 한을 푸는 데 성공했기 때문에 이번 게시물이 무거움보다 편안함이 느껴집니다. 한신 타이거스와 관련해서 예전 자료들을 중점적으로 확보하는 대로 별도의 게시물로 정리할 생각입니다.
제가 17일과 18일은 블로그를 쉴 예정이며 19일에 일본의 남자 농구 리그인 B.리그의 3부 리그에 해당하는 자료들을 마무리짓도록 하겠습니다.
'일본 프로야구 로고 및 마스코트 (日本 プロ野球 L&M ) > 센트럴리그 Central League' 카테고리의 다른 글
히로시마 도요 카프 엠블럼 1996 2001 JT 썬더즈 히로시마 활용 버젼 로고 Hiroshima Toyo Carp Emblem 1996 2001 JT Thunders Hiroshima Application Version Logo Vector
히로시마 도요 카프의 명목상 마스코트인 카프 보야의 흥미로운 자료를 확보했습니다.
히로시마 도요 카프의 명목상 마스코트인 카프 보야는 다양한 형태로 활용되고 있는데요. 이번에는 배구와 관련된 자료와 예전 카프 보야를 활용한 엠블럼을 확보하는 데 성공하면서 이번 게시물을 통해 정리하자는 생각에서 관련 자료들을 본 게시물을 통해 올려놓게 되었습니다.
첫 번째 사진이 히로시마 도요 카프의 1996 2001 엠블럼입니다. 히로시마 도요 카프의 1996 2001 엠블럼은 작년에 확보했는데요. 확보하고 나서 다른 자료들에 밀려서 이제야 정리하게 되었습니다. 두 번째 사진이 히로시마 도요 카프의 2002 2008 엠블럼입니다. 히로시마 도요 카프의 2002 2008 엠블럼은 제가 몇 년 전에 올린 적이 있었습니다. 이번 게시물에 올린 이유는 히로시마 도요 카프의 예전 엠블럼을 정리하는 차원에서 올려놓게 되었습니다.
마지막 세 번째 사진이 같은 히로시마현에 연고를 두고 있는 배구 구단인 JT 썬더즈 히로시마와 히로시마 도요 카프가 협업으로 디자인한 카프 보야의 엠블럼입니다. JT 썬더즈 히로시마는 일본의 남자 배구 리그인 V.리그 디비젼 1에 속해 있는 구단이고요. 히로시마 도요 카프의 명목상 마스코트인 카프 보야가 JT 썬더즈 히로시마의 유니폼을 착용하고 서브를 넣기 위해 준비하는 모습으로 보입니다.
히로시마 도요 카프는 구단의 공식 엠블럼을 명목상 마스코트인 카프 보야를 활용해서 디자인하고요. 동시에 홈 유니폼을 시기에 맞게 적용하는 특징이 있습니다. 첫 번째 사진이 1996년부터 2001년까지 사용된 홈 유니폼을 활용했으며 두 번째 사진의 2002년부터 2008년까지 사용된 줄무늬 형태의 홈 유니폼을 활용했고요.
히로시마 도요 카프의 자료를 여기서 마무리짓도록 하고요. 관련 자료들은 나무위키를 비롯한 백과프로그램에 활용하시면 될 듯 싶습니다. 내일은 치바 롯데 마린즈의 이전 명칭이었던 집시 롯데 시절과 카와사키 시절을 떠올리게 하는 롯데 오리온즈의 구단기를 정리해서 올려 두도록 하겠습니다.
'일본 프로야구 로고 및 마스코트 (日本 プロ野球 L&M ) > 센트럴리그 Central League'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 2013 2014 2015 홈 비지타 유니폼 로고 Tokyo Yakult Swallows 2013 2014 2015 Home Visitor Uniform Logo Vector
어제 말씀드렸던 것처럼 이번 게시물의 주제는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입니다.
제가 지난달에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의 2009년과 2010년부터 2012년까지 사용된 홈 유니폼을 올린 적이 있었는데요. 해당 자료들을 확보할 때 2013년부터 2014년까지 그리고 2015년에 사용된 홈 유니폼과 비지타 유니폼을 함께 확보하는 데 성공했습니다. 그래서 다른 자료들을 먼저 정리하면서 순서가 밀렸고요. 이번 게시물을 통해서 정리하려고 합니다.
첫 번째 사진과 두 번째 사진이 각각 2013년부터 2014년까지 사용된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의 홈 유니폼과 비지타 유니폼이고요. 세 번째 사진과 네 번째 사진이 2015년에 사용된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의 홈 유니폼과 비지타 유니폼이 되겠습니다. 2013년과 2014년에 사용된 유니폼들과 2015년에 사용된 유니폼들의 디자인은 기본적으로 동일합니다. 다만, 2015년이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의 모기업인 야쿠르트 본사가 80주년을 맞이하는 해라 홈 유니폼과 비지타 유니폼 공히 왼쪽 팔 부분에 각각 야쿠르트와 스왈로즈의 패치 대신에 80주년 기념 엠블럼의 패치가 부착된 것이 특징입니다.
홈 유니폼의 경우 왼쪽 팔에 모기업인 야쿠르트의 CI, 오른쪽 팔에 연고지인 도쿄 폰트, 가슴 상단에 스왈로즈의 워드마크가 디자인됐고요. 비지타 유니폼의 경우 왼쪽 팔에 스왈로즈의 워드마크, 오른쪽 팔에 연고지인 도쿄 폰트, 가슴 상단에 모기업인 야쿠르트의 CI가 디자인됐습니다. 홈 유니폼의 경우에는 왼쪽 가슴 상단에 킷 스폰서인 ZETT가 부착된 것이 특징입니다.
다섯 번째 사진과 마지막 여섯 번째 사진이 각각 야쿠르트 본사의 80주년 기념 엠블럼들이고요. 기본형인 세로형과 가로형의 순서로 보시면 되겠습니다.
이번 게시물을 통해서 제가 확보한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의 유니폼들을 모두 올려놓게 되었고요.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의 유니폼들은 추가적으로 확보하는 자료들이 있다면 추후에 정리해서 올려 둘 생각이고요. 관련 자료들은 나무위키를 비롯한 백과프로그램에 활용하시면 될 듯 싶습니다. 내일은 같은 센트럴리그에 소속된 히로시마 도요 카프의 카프 보야와 관련된 자료를 정리해서 올려놓도록 하겠습니다.
'일본 프로야구 로고 및 마스코트 (日本 プロ野球 L&M ) > 센트럴리그 Central League'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 도쿄 엔 파워 유니폼 2013 2014 로고 Tokyo Yakult Swallows Tokyo En Power Uniform 2013 2014 Logo Vector
어제 말씀드렸던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의 유니폼들로 이어집니다.
제가 예전에 요청을 받은 자료를 포함해서 오래된 자료들을 시간이 될 때마다 찾고 있었으며 소정의 성과가 있었는데요. 이번 게시물을 통해 올려놓게 된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의 도쿄 엔 파워 유니폼도 그 중에 하나라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도쿄 엔 파워는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의 대표적인 이벤트라고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가 해마다 진행하는 이벤트이기도 하고요. 도쿄 엔 파워가 시작된 시기는 2013년부터입니다. 2013년부터 해마다 거르지 않고,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가 진행하는 이벤트입니다. 당연히 해마다 다른 유니폼을 착용합니다. 도쿄 엔 파워의 유니폼도 디자인을 찾아보는 재미가 있습니다.
제가 이번에 확보한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의 도쿄 엔 파워 유니폼은 초창기 디자인들을 확보했습니다. 2013년과 2014년에 사용된 디자인을 확보했고요. 첫 번째 사진과 두 번째 사진이 모두 도쿄 엔 파워 2013때 사용된 유니폼들입니다. 첫 번째 사진이 흰색 바탕이 적용되고, 두 번째 사진이 녹색 바탕이 적용됐습니다. 유니폼의 색상은 단색을 적용한 형태라서 심플하면서도 깔끔한 특징이 존재합니다. 마지막 세 번째 사진이 도쿄 엔 파워 2014때 사용된 유니폼입니다. 2013년과 2014년 모두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의 킷 스폰서가 Zett였기 때문에 유니폼의 오른쪽 가슴 상단에 Zett의 패치가 적용됐고요. 유니폼의 왼쪽 가슴 상단에 구단의 심볼이 적용됐습니다. 유니폼의 왼쪽 팔 부분에는 모그룹인 야쿠르트 혼샤의 CI가 적용됐으며 유니폼의 오른쪽 팔 부분에는 연고지를 상징하는 도쿄의 폰트가 적용된 것이 특징입니다.
도쿄 엔 파워의 이벤트와 관련된 게시물이라 유니폼도 제목에 맞게 올려놓았고요.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의 2013년부터 2015년에 사용된 유니폼의 디자인은 추후에 정리해서 올려 두도록 하겠습니다. 내일은 블로그를 쉬고요. 16일에 새로운 자료를 이어서 정리해 두도록 하겠습니다.
'일본 프로야구 로고 및 마스코트 (日本 プロ野球 L&M ) > 센트럴리그 Central Leagu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쿄진군 요미우리 자이언츠 추가적인 엠블럼 심볼 2006 2016 2017 2023 2024 로고 모음 Kyojinkun Yomiuri Giants Additional Emblem Symbol 2006 2016 2017 2023 2024 Assortment Logo Vector
쿄진군 요미우리 자이언츠의 근래 사용된 심볼들을 정리하겠습니다.
쿄진군 요미우리 자이언츠의 심볼을 찾아보면서 시기별로 정리할 필요성을 느꼈습니다. 그래서 제가 일본 현지 자료들을 확인하고 교차로 검증했고요. 근래 디자인된 쿄진군 요미우리 자이언츠의 자료들을 정확히 정리할 생각을 가지고 이번 게시물을 올려놓았다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첫 번째 사진은 2017년 무렵에 발간된 자료를 통해 확보한 엠블럼 형식의 쿄진군 요미우리 자이언츠의 얼트 디자인입니다. 공식적으로 사용되지 않았고요. 제가 확보하는 김에 올려놓았습니다. 두 번째 사진이 2006년부터 2016년까지 사용된 쿄진군 요미우리 자이언츠의 심볼입니다. 이 시기가 바로 현재 두산 베어스의 감독으로 팀을 이끌고 있는 이승엽 감독이 쿄진군 요미우리 자이언츠에서 활약했던 시기이기도 합니다. 이승엽 감독의 쿄진군 요미우리 자이언츠 시절의 모자를 보면 두 번째 사진의 심볼과 동일하다는 것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세 번째 사진이 2017년부터 작년인 2023년까지 사용된 쿄진군 요미우리 자이언츠의 심볼이고요. 마지막 네 번째 사진이 올해 90주년을 맞아 새롭게 디자인된 쿄진군 요미우리 자이언츠의 2024년 심볼입니다.
2006년부터 2016년까지 사용된 쿄진군 요미우리 자이언츠의 심볼이 이번 게시물의 하이라이트가 되겠습니다. 제가 쿄진군 요미우리 자이언츠의 예전 자료들을 찾다가 심볼의 디자인이 다르다는 것을 발견해서 과거 자료들과 함께 대조하면서 찾게 되었고요. 그래서 쿄진군 요미우리 자이언츠의 심볼을 정리할 당위성을 스스로 느꼈습니다.
쿄진군 요미우리 자이언츠의 심볼은 일본 현지에서 구단의 영문명인 Yomiuri Giants의 Y와 G를 따서 YG 마크로 불립니다. 일본프로야구의 쿄진군 요미우리 자이언츠와 관련된 커뮤니티를 보면 YG 마크로 표현하는 경우가 바로 구단의 심볼을 의미합니다.
쿄진군 요미우리 자이언츠의 심볼을 이쯤에서 마무리짓고요. 내일은 오릭스 블루웨이브 시절의 홈구장 네이밍인 야후! BB 스타디움의 엠블럼을 올려 두도록 하겠습니다.
'일본 프로야구 로고 및 마스코트 (日本 プロ野球 L&M ) > 센트럴리그 Central Leagu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쿄진군 요미우리 자이언츠 2017 2020 시즌 홈 비지타 유니폼 2017 시즌 등혼 유니폼 로고 Kyojinkun Yomiuri Giants 2017 2020 Season Home Visitor 2017 Season Spirit Of Orange Uniform Logo Vector
쿄진군 요미우리 자이언츠의 게시물을 간만에 올려놓습니다.
쿄진군 요미우리 자이언츠는 몇 달 전에 90주년 기념 엠블럼, 2024년을 맞아 새롭게 디자인된 심볼과 새로운 심볼이 적용된 쟈빗 패밀리를 올린 적이 있었는데요. 몇 달 만에 2017년에 디자인된 쿄진군 요미우리 자이언츠의 유니폼들을 이번 게시물을 정리하게 되었습니다.
쿄진군 요미우리 자이언츠는 보통 홈 유니폼은 자이언츠, 비지타 유니폼은 도쿄가 유니폼의 가슴 상단 부분에 들어간 것이 특징 중에 하나입니다. 색상도 홈 유니폼은 흰색 내지 상아색, 비지타 유니폼은 회색을 사용한 것도 큰 특징입니다. 또한, 왼팔 소매 부분에 모기업인 요미우리가 구단의 폰트로 적용되어 항시 부착되어 있습니다. 제가 이번 게시물로 올린 2017년에 디자인된 유니폼들의 킷 스폰서는 언더 아머였고요. 언더 아머는 2015년부터 2020년까지 킷 스폰서로 역할했으며 2021년부터 2022년까지 미즈노가 킷 스폰서가 되었습니다. 이듬해인 2023년부터 나이키가 킷 스폰서로 선정되어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고요.
첫 번째 사진이 2017년에 디자인되어 2020년까지 사용된 쿄진군 요미우리 자이언츠의 홈 유니폼입니다. 두 번째 사진도 2017년에 디자인되어 2020년까지 사용된 쿄진군 요미우리 자이언츠의 비지타 유니폼입니다. 마지막 세 번째 사진도 첫 번째 사진과 두 번째 사진과 마찬가지로 2017년에 디자인되어 한 시즌만 사용된 등혼 유니폼입니다. 등혼은 쿄진군 요미우리 자이언츠의 대표적인 이벤트 중에 하나고요. 등혼 이벤트때 오렌지 색상이 적용된 유니폼을 착용합니다. 등혼 유니폼도 시즌에 따라 해마다 똑같은 색상과 다른 디자인으로 적용되어 출시되고 있습니다.
2017년에 디자인된 쿄진군 요미우리 자이언츠의 유니폼을 제가 오래 전에 확보한 자료에 있었습니다. 미처 놓치고 지나가다가 뒤늦게 발견해서 정리한 뒤에 올려놓게 된 사연이 존재합니다. 간만에 쿄진군 요미우리 자이언츠의 자료를 정리할 수 있어서 다행스럽게 생각하고요. 쿄진군 요미우리 자이언츠의 경우 제가 2010년대 초반에 사용된 심볼들을 확보했기 때문에 자료의 정확한 사용 시기를 파악한 뒤에 추후에 정리해서 올려놓도록 하겠습니다.
관련 자료들을 나무위키를 비롯한 백과프로그램에 정리해 주시면 될 듯 싶고요. 제가 내일은 일본야구기구의 70주년 90주년 기념 엠블럼과 일본야구전당의 엠블럼을 이어서 올려 두도록 하겠습니다.
'일본 프로야구 로고 및 마스코트 (日本 プロ野球 L&M ) > 센트럴리그 Central League'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 2009 2010 2012 시즌 홈 유니폼 로고 Tokyo Yakult Swallows 2009 2010 2012 Season Home Uniform Logo Vector
6월의 시작은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와 함께 합니다.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의 2009년부터 2012년까지 사용된 자료를 확보하는 데 성공하면서 6월의 시작과 관련된 주제로 선정하였습니다. 이번 게시물로 올리게 된 자료는 2009년, 2010년부터 2012년까지 사용된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의 홈 유니폼이 되겠습니다.
첫 번째 사진이 2009년에 맞이한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의 40주년 기념 엠블럼입니다. 야쿠르트 혼샤가 후지산케이그룹으로부터 인수한 시점을 기준으로 합니다. 두 번째 사진이 2009년부터 2012년까지 사용된 유니폼의 왼팔 부분에 들어간 이른바 제비 패치입니다.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는 과거 야쿠르트 스왈로즈 시절인 2000년부터 제비를 활용한 패치를 유니폼의 왼쪽 팔 부분에 부착하였는데요. 2000년부터 2008년까지 라운드 형태에 들어간 제비의 디자인을 사용하다가 2009년에 디자인을 변경했습니다. 바로 두 번째 사진에 있는 제비 패치의 디자인이 2009년에 처음 등장하여 2012년까지 사용되었습니다. 이듬해인 2013년부터는 제비 패치를 부착하지 않고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습니다.
세 번째 사진이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의 2009년 시즌 홈 유니폼입니다. 네 번째 사진이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의 2010년 시즌부터 2012년 시즌까지 사용된 홈 유니폼입니다. 세 번째 사진과 네 번째 사진의 기본적인 디자인이 유사합니다만, 가장 큰 차이점은 2009년이 40주년이 되는 해라 2009년 시즌 한정으로 유니폼의 오른쪽 가슴 부분에 40주년 기념 엠블럼이 부착되었습니다. 2009년에 사용된 유니폼과 2010년부터 2012년까지 사용된 유니폼을 구분하는 이유가 그래서입니다. 마지막 다섯 번째 사진이 2006년부터 2013년까지 사용된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의 엠블럼이고요. 메인 마스코트인 츠바쿠로가 디자인의 주인공입니다. 40주년 기념 엠블럼과 2006년부터 2013년까지 사용된 엠블럼은 제가 과거에 올린 적이 있었기에 두 번째 사진, 세 번째 사진, 네 번째 사진이 이번 게시물의 하이라이트가 되겠습니다.
2009년에 디자인되어 2012년까지 사용된 유니폼은 야쿠르트팬들에게 좋은 평을 얻지 못하고 있습니다. 야쿠르트를 상징하는 핀스트라이프가 적용되지 않았고, 디자인도 밋밋하기 때문입니다. 또한, 제가 확보하지는 못했지만 비지타 유니폼도 홈 유니폼과 큰 차이점이 없는 흰색을 바탕색으로 했기 때문입니다. 다만, 제가 올린 디자인이 바로 과거 해태 타이거즈, 삼성 라이온즈, KIA 타이거즈에서 활약했던 임창용과 두산 베어스에서 활약했던 이혜천이 착용한 유니폼이라 우리나라 야구팬들에게 좋은 인상으로 남아 있는 편입니다.
2009년에 디자인되어 2012년까지 사용된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의 비지타 유니폼도 확보하는 대로 별도의 게시물로 정리할 예정이고요. 2013년부터 2015년까지 사용된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의 비지타 유니폼은 제가 확보하는 데 성공했습니다. 그래서 추후에 정리해서 본 블로그에 올려놓을 생각입니다. 또한, 제가 일본프로야구와 관련해서 확보한 자료들이 많기 때문에 순차적으로 정리해서 본 블로그에 올려 둘 계획이고요. 이번 게시물에 올린 자료는 나무위키를 비롯한 백과프로그램에 활용하시면 될 듯 싶습니다. 내일은 쿄진군 요미우리 자이언츠와 관련된 자료를 이어서 올려놓도록 하겠습니다.
'일본 프로야구 로고 및 마스코트 (日本 プロ野球 L&M ) > 센트럴리그 Central Leagu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니치 드래곤즈 마스코트 도아라 비지타 유니폼 로고 모음 Chunichi Dragons Mascot Doala Visitor Uniform Assortment Logo Vector
주니치 드래곤즈의 메인 마스코트이자 깨방정 마스코트, 마스코트계의 만능 엔터테이너인 도아라가 이번 게시물의 주인공입니다.
주니치 드래곤즈의 메인 마스코트이자 깨방정 마스코트, 마스코트계의 만능 엔터테이너인 도아라가 착용하고 있는 유니폼을 통해서 주니치 드래곤즈의 역사를 정리할 생각이고요. 그래서 2019년부터 2022년까지 사용된 유니폼들과 2023년에 새롭게 디자인된 유니폼들을 함께 올려놓게 되었습니다.
첫 번째 사진이 2019년부터 2022년까지 사용된 주니치 드래곤즈의 비지타 유니폼을 착용하고 있는 도아라고요. 잔잔한 음악에 춤을 추는 모습입니다. 두 번째 사진과 세 번째 사진이 각각 2019년부터 2022년까지 사용된 주니치 드래곤즈의 비지타 유니폼과 홈 유니폼을 착용하고 있는 도아라입니다. 중지와 검지 사이에 야구공을 낀 모습입니다. 마지막 네 번째 사진이 이번 게시물의 하이라이트인 2023년에 새롭게 디자인된 비지타 유니폼을 착용하고 있는 도아라가 되겠습니다. 두 번째 사진, 세 번째 사진과 마찬가지로 중지와 검지 사이에 야구공을 낀 모습입니다.
주니치 드래곤즈의 메인 마스코트이자 깨방정 마스코트, 마스코트계의 만능 엔터테이너인 도아라가 패션쇼에 참여하고 있는 모습이고요. 패션쇼의 컨셉으로 주니치 드래곤즈의 비지타 유니폼과 관련된 역사를 정리하고 싶었습니다. 비지타 유니폼을 보시면 2019년부터 2022년까지 사용된 디자인과 2023년에 디자인되어 사용 중인 유니폼을 비교해 보면 유니폼의 가운데에 있는 레터링이 필기체 형식이 적용됐고요. 왼쪽 팔 부분에 있던 주니치 드래곤즈의 워드마크가 부분이 삭제되고, 오른쪽 팔 부분에 주니치 드래곤즈의 심볼이 적용됐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등번호의 폰트와 색깔도 변경돼서 2019년부터 2022년까지 사용된 디자인은 등번호의 폰트가 흰색인 데 반해 2023년부터 디자인되어 사용 중인 유니폼은 등번호의 폰트가 빨간색입니다. 물론, 도아라의 디자인이 전반적으로 변경된 것도 큰 차이점입니다.
주니치 드래곤즈의 메인 마스코트이자 깨방정 마스코트, 마스코트계의 만능 엔터테이너로 통하는 도아라를 통해서 주니치 드래곤즈의 비지타 유니폼과 관련된 역사를 마무리짓고요. 내일은 일본의 농구 리그인 B.리그에 참가하고 있는 구단별 엠블럼을 디비젼1부터 본 블로그에 올려놓도록 하겠습니다. 또한, 제가 일본프로야구를 중심으로 예전 자료들을 찾고 있는데요. 후쿠오카 다이에 호크스의 2000년 리그 우승 기념 엠블럼, 오릭스 블루웨이브의 홈구장 네이밍이었던 야후 재팬 BB 스타디움, 세이부 돔의 자료들을 확보하는 성과가 있었고요. 성과가 있었던 만큼 예전 자료들도 가능한 많이 확보해서 본 블로그에 올려놓을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생각입니다. 내일은 일본의 농구 리그인 B.리그가 시작될 예정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