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영혼

 

 

 

 

 

전남 드래곤즈 1995-2001.8 마스코트 로고.ai
0.08MB
전남 드래곤즈 1995-2001.8 엠블럼 기본형 로고.ai
0.11MB
포항 스틸러스 1997-1998 마스코트 로고.ai
0.07MB
포항 스틸러스 1997-1998 엠블럼 로고.ai
0.10MB

 

 

 

 

 

 

며칠 전에 말씀드린 바와 같이 이번 게시물에서는 K리그의 고전 자료들을 올려놓습니다.

 

 

지난달 월말에 K리그, KBO를 비롯하여 다양한 고전적인 성격을 갖는 자료들을 다수 확보했습니다. K리그의 경우 이번 게시물의 전남 드래곤즈와 포항 스틸러스를 비롯하여 울산 현대 호랑이와 전북 현대 다이노스 시절의 마스코트들까지 확보하는 데 성공했습니다. 우리나라의 흥행을 이끄는 쌍두마차인 K리그와 KBO의 고전 자료들을 이번 달 안으로 모두 정리해서 올려놓을 구상입니다. K리그의 고전 자료는 첫 번째로 두 구단이 똑같이 포스코를 모기업으로 두고 있는 영호남 제철 더비인 전남 드래곤즈와 포항 스틸러스입니다.

 

 

첫 번째 사진과 두 번째 사진이 각각 1995년부터 2001년 8월까지 사용된 전남 드래곤즈의 마스코트와 엠블럼의 기본형입니다. 세 번째 사진과 마지막 네 번째 사진이 각각 1997년부터 1998년까지 사용된 포항 스틸러스의 마스코트와 엠블럼의 기본형이 되겠습니다.

 

 

야구의 진심인 제 입장에서 말씀드리자면, 축구에 대해서 정보가 전혀 없다시피 하지만 대략적인 정보는 가지고 있습니다. 전남 드래곤즈와 포항 스틸러스가 앞서 말씀드린 것처럼 두 구단이 똑같은 포스코를 모기업으로 두고 있고요. 전남 드래곤즈의 경우 전남 광양이 연고지이고, 포항 스틸러스의 경우 경북 포항이 연고지라서 영호남 제철 더비, 나아가 전남과 경북으로 이어지는 달빛의 관계도 함께 가지고 있습니다. 전남 드래곤즈의 자료들은 1995년에 창단할 당시부터 2001년 8월까지 사용된 디자인된 자료를 정리해서 올려놓을 수 있어서 개인적으로 각별하게 느껴집니다. 포항 스틸러스의 자료들도 1997년부터 1998년까지 사용된 디자인 자료를 정리할 수 있어서 기쁜 마음입니다. K리그의 고전적인 자료들을 정리한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관련한 자료들은 다양한 용도로 활용하시면 될 듯 싶고요. 상업적인 용도라면 전남 드래곤즈와 포항 스틸러스 측에 문의하여 관련 절차를 조율하셔야 합니다. 나무위키를 비롯한 백과프로그램에도 유용하게 활용됐으면 하는 마음입니다.

 

 

제가 쌍방울 레이더스의 자료를 찾기는 했는데 잠시 기뼜다가 이후에 힘이 빠졌습니다. 심볼과 영문의 폰트는 동일한데 시스템 상의 오류인지 아니면 의도적으로 자료를 수정했는지 모르겠습니다만, 쌍방울 레이더스의 자료가 전반적으로 온전하지 않습니다. 내일은 쌍방울 레이더스의 심볼과 마스코트인 방울이의 달리기 버젼을 중심으로 자료를 정리하고요. 11일에 워드마크가 빠진 해태 타이거즈의 호돌이와 KIA 타이거즈의 호돌이도 함께 정리할 생각입니다.

 

 

제가 어제 현대 유니콘스의 마스코트형 엠블럼을 확보했습니다. 나무위키를 비롯한 백과프로그램에 현대 유니콘스의 마스코트형 엠블럼이 벡터로 반영되지 않았을텐데요. 1999년부터 2009년까지 사용한 두산 베어스의 엠블럼과 반달가슴곰, 1996년부터 2002년까지 사용한 롯데 자이언츠의 거인 마스코트와 마스코트형 엠블럼을 현대 유니콘스의 마스코트형 엠블럼과 순차적으로 올려놓을 예정이고요.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의 2024년에 리뉴얼된 마스코트 자료들과 2025년 슬로건, 치바 롯데 마린즈의 2025년 슬로건들을 올려놓을 계획입니다. 내일은 아쉬움이 가득한 쌍방울 레이더스의 자료들을 이어서 올려놓도록 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