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 마스코트 츠바쿠로 츠바미 빅토리 미소 버젼 로고 Tokyo Yakult Swallows Mascot Tsubakuro Tsubami Victory Smile Version Logo Vector
주니치 드래곤즈의 도아라에 이어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의 츠바쿠로와 츠바미로 이어집니다.
주니치 드래곤즈의 메인 마스코트인 도아라와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의 메인 마스코트인 츠바쿠로는 마스코트들 중에서 최고의 케미스트리를 자랑하는데요. 작년 일본시리즈에서 日本一을 달성한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의 자료를 찾다가 일본시리즈 우승 기념 엠블럼이 아닌 츠바쿠로와 츠바미만 찾게 되었습니다.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가 작년에 일본시리즈에서 우승하면서 무려 20년 만에 日本一을 달성했습니다.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가 2001년 일본시리즈에서 오사카 킨테츠 버팔로즈를 상대로 우승을 차지했지요.
웃는 모습을 찾다가 기존에 확보한 자료와 작년에 찾았던 자료를 취합해서 올린 것이고요. 첫 번째 사진과 네 번째 사진이 누워 있으면서 미소를 짓고 있는 츠바쿠로와 츠바미가 이번 게시물의 하이라이트가 되겠습니다. 첫 번째 사진과 네 번째 사진을 제외한 나머지 사진들은 제가 전에 올린 적이 있었습니다.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의 2021 일본시리즈 우승 기념 엠블럼은 제가 찾는 대로 추후에 본 블로그에 올릴 예정이고요. 센트럴리그 우승 기념 엠블럼 등도 확보하는 대로 정리해서 올려 두도록 하겠습니다.
'일본 프로야구 로고 및 마스코트 (日本 プロ野球 L&M ) > 센트럴리그 Central Leagu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니치 드래곤즈 마스코트 도아라 비지타 유니폼 로고 모음 Chunichi Dragons Mascot Doala Visitor Uniform Assortment Logo Vector
주니치 드래곤즈의 마스코트인 도아라를 올립니다.
이번에는 제가 그간 확보한 도아라의 비지타 유니폼들을 수집하면서 정리하는 차원에서 이번 게시물을 올리게 됐습니다.
첫 번째 사진이 오래 전에 올린 적이 있었는데요. 바로 해당 유니폼은 2017년부터 2018년까지 사용된 비지타 유니폼이고요. 즉, 2017년부터 2018년까지 사용된 비지타 유니폼을 착용한 도아라입니다. 두 번째 사진과 세 번째 사진이 각각 2019년부터 현재까지 사용되고 있는 비지타 유니폼이고요. 앞서 말씀드린 기간의 비지타 유니폼을 착용하고 있는 도아라가 되겠습니다.
눕기도 하고, 춤도 추고, 손가락 사이에 야구공을 끼우는 묘기를 선보이는 도아라의 모습입니다. 깨방정 마스코트이자 마스코트계의 엔터테이너인 도아라의 모습을 보고 계십니다.
새해를 맞아 주니치 드래곤즈의 도아라로 시작했고요. 도아라와 최고의 케미스트리를 자랑하는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의 츠바쿠로, 츠바미를 이어서 올려놓도록 하겠습니다.
'일본 프로야구 로고 및 마스코트 (日本 プロ野球 L&M ) > 센트럴리그 Central Leagu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본프로야구 퍼시픽리그 참가 구단 구단기 로고 Nippon Professional Baseball Pacific League Participating Team Official Flag Logo Vector
센트럴리그에 이어 퍼시픽리그도 참가 구단들의 구단기들을 정리합니다.
어제와 오늘 양일간 센트럴리그와 퍼시픽리그에 속한 구단들의 구단기들을 정리할 예정인데요. 어제는 센트럴리그에 소속된 구단들의 구단기들을 정리했기에 오늘은 퍼시픽리그에 소속된 구단들의 구단기들을 정리하도록 하겠습니다.
퍼시픽리그도 센트럴리그처럼 여섯 구단 체제입니디만, 제가 오릭스 버팔로즈의 구단기를 확보하고 있지 않아서 오릭스 버팔로즈를 제외하고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즈,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즈,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 치바 롯데 마린즈까지 총 다섯 구단만 정리하게 됐습니다. 오릭스 버팔로즈는 추후 확보하는 대로 본 게시물에 추가할 계획입니다.
첫 번째 사진이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두 번째 사진이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즈, 세 번째 사진이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즈, 네 번째 사진이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 마지막 다섯 번째 사진이 치바 롯데 마린즈입니다.
이렇게 해서 제가 확보하고 있는 구단기들을 센트럴리그와 퍼시픽리그 통틀어 모두 정리했고요. 추후에 오릭스 버팔로즈의 구단기를 확보한다면 앞서 말씀드린 바와 같이 본 게시물에 추가할 생각입니다. 제가 이번 게시물에 올린 구단기들을 나무위키를 비롯한 백과프로그램에 활용해 주시면 더할 나위 없이 기쁠 것 같습니다.
구단기들로 2021년을 마무리짓고요. 새해에도 제 블로그는 쭉 이어집니다.
'일본 프로야구 로고 및 마스코트 (日本 プロ野球 L&M ) > 퍼시픽리그 Pacific Leagu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본프로야구 센트럴리그 참가 구단 구단기 로고 Nippon Professional Baseball Participating Team Official Flag Logo Vector
일본프로야구 센트럴리그에 참가하고 있는 구단들의 구단기입니다.
오늘과 내일, 양일에 걸쳐 각각 센트럴리그와 퍼시픽리그에 소속된 구단들의 구단기들을 정리할 예정이고요. 물론, 제가 확보하고 있는 자료에 한해서입니다. 오늘은 센트럴리그를 정리하고, 내일은 퍼시픽리그를 정리하게 됩니다.
센트럴리그에 소속된 구단들은 주니치 드래곤즈, 한신 타이거스, 히로시마 도요 카프,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즈, 그리고 쿄진군 요미우리 자이언츠입니다.
첫 번째 사진이 주니치 드래곤즈, 두 번째 사진이 한신 타이거스, 세 번째 사진이 히로시마 도요 카프, 네 번째 사진이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 다섯 번째 사진이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즈, 마지막 여섯 번째 사진이 쿄진군 요미우리 자이언츠이고요. 정렬은 영문의 알파벳 순서에 따릅니다.
센트럴리그의 경우에는 제가 구단기들을 모두 가지고 있어서 수월한 편인데 반해 퍼시픽리그의 경우에는 오릭스 버팔로즈의 현재 구단기를 가지고 있지 않아서 오릭스 버팔로즈를 제외한 상태에서 올릴 예정입니다.
이번 게시물에 올린 자료들을 나무위키를 비롯한 백과프로그램에 활용해 주시면 되겠습니다. 내일은 이어서 퍼시픽리그의 참가하고 있는 구단들의 구단기들을 올릴 예정이고요. 퍼시픽리그와 함께 2021년을 정리하게 될 듯 합니다.
'일본 프로야구 로고 및 마스코트 (日本 プロ野球 L&M ) > 센트럴리그 Central Leagu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시아리그 아이스하키 공식 엠블럼과 참가 구단 엠블럼 Asia League Ice Hockey Official Emblem And Participating Team Emblem Logo Vector
아시아리그 아이스하키의 공식 엠블럼과 참가팀들의 엠블럼을 올립니다.
아시아리그 아이스하키의 항목에 자료들이 벡터화가 진행되지 않아서 제가 관련 자료들을 찾아서 확보하게 되면서 이번 게시물을 통해 올리게 됐습니다. 앞서 말씀드린 아시아리그 아이스하키의 공식 엠블럼과 현재 참가 중인 구단들의 엠블럼은 모두 확보했고요. 과거에 참가했던 구단들 중에서 일부는 아직 확보하지 못했다는 점을 말씀드립니다.
첫 번째 사진이 아시아리그 아이스하키의 공식 엠블럼입니다. 두 번째 사진이 H.C. 토치기 닛코 아이스 벅스, 세 번째 사진이 히가시홋카이도 크레인즈, 네 번째 사진이 레드이글스 홋카이도, 다섯 번째 사진이 도호쿠 프리블레이즈, 여섯 번째 사진이 요코하마 그리츠, 일곱 번째 사진이 안양 한라, 여덟 번째 사진이 PSK 사할린입니다. H.C. 토치기 닛코 아이스 벅스부터 PSK 사할린까지가 현재 아시아리그 아이스하키에 참가하는 구단들입니다. H.C. 토치기 닛고 아이스 벅스, 히가시홋카이도 크레인즈, 레드이글스 홋카이도, 도호쿠 프리블레이즈, 요코하마 그리츠가 일본 소재 구단들이고요. 안양 한라가 우리나라 소재 구단, PSK 사할린이 러시아 소재 구단이 되겠습니다.
아홉 번째 사진이 차이나 드래곤, 열 번째 사진이 대명 상무, 열한 번째 사진이 대명 킬러웨일즈의 구형 엠블럼, 열두 번째 사진이 대명 킬러웨일즈의 최신 엠블럼, 열세 번째 사진이 하이원, 열네 번째 사진이 히가시홋카이도 크레인즈의 이전 명칭인 닛폰제지 크레인즈, 열다섯 번째 사진이 PSK 사할린의 예전 엠블럼, 열여섯 번째 사진이 세이부 프린스 래빗츠입니다. 아홉 번째 사진부터 열여섯 번째 사진이 과거에 참가했거나 현재 참가하고 있는 구단들의 이전 엠블럼들입니다. 대명 상무는 대명그룹이 상무(국군체육부대 아이스하키단)를 후원하면서 생긴 것이고요. 대명그룹은 2016년까지 상무를 후원했고, 2016년부터 2021년까지 대명 킬러웨일즈를 직접 운영했습니다.
차이나 드래곤은 중국 소재 구단, 대명 상무, 대명 킬러웨일즈, 하이원이 우리나라 소재 구단들이었고, PSK 사할린이 러시아 소재 구단, 닛폰제지 크레인즈, 세이부 프린스 래빗츠가 일본 소재 구단들이었습니다.
러시아 소재 구단들인 골든 아무르와 중국 소재 노르딕 바이킹스만 제가 아직 확보하지 못한 상태입니다. 골든 아무르와 노르딕 바이킹스도 확보하는 대로 본 게시물에 추가하도록 하겠습니다.
제가 이번 게시물에 올려놓은 자료를 아시아리그 아이스하키의 항목이 개설된 나무위키를 비롯한 백과프로그램에 올려 주시면 될 듯 합니다. 아이스하키에 이어서 센트럴리그와 퍼시픽리그의 구단기들을 시차를 두고 올려놓도록 하겠습니다.
'요청 자료 및 기타 (要請 資料 其他)'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원주 나래 블루버드 원주 동부 프로미 엠블럼 로고 Wonju Naray Bluebird Wonju Dongbu Promy Emblem Logo Vector
KBL과 관련된 자료들을 이어서 올립니다.
바로 강원도의 몇 안되는 프로구단인 원주 DB 프로미의 전신이자 이전 명칭이었던 원주 나래 블루버드와 원주 동부 프로미의 초창기 엠블럼들입니다.
원주 나래 블루버드는 한국은행과 한국산업은행의 실업 선수들을 모아서 강원도 원주시를 연고로 창단한 농구단입니다. 초기 명칭은 나래이동통신 농구단에서 프로화에 걸맞게 원주 나래 블루버드로 팀명을 변경합니다. 특출난 선수는 없었지만 외국인 선수들과 정인교의 활약을 앞세워 센세이션을 일으켰습니다. 초창기부터 줄곧 상위권에 순위를 올렸던 팀이었지요. 1999년을 끝으로 한시적인 팀명으로 남았던 원주 나래 해커스를 끝으로 팀의 운영권이 모기업이던 삼보컴퓨터로 이관되면서 원주 삼보 엑써스로 변경되면서 1999년부터 동부그룹에 매각되는 2005년까지 엑써스라는 이름을 이어 갔습니다. 그러니까 농구단이 2005년까지 원주 TG 엑써스, 원주 TG삼보 엑써스로 모기업의 이름만 변경하면서 운영됩니다.
2005년 모기업이던 TG삼보컴퓨터가 법정관리에 들어가면서 2005년 10월 몇 안되는 강원도의 대기업인 동부그룹에 농구단을 매각합니다. 동부그룹을 대표하는 계열사인 동부화재가 주축이 되면서 농구단을 인수했습니다. 이후 동부그룹이 동부건설의 매각으로 인해 상표 사용의 문제가 발생되어 DB그룹으로 명칭을 변경하면서 현재 원주 DB 프로미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첫 번째 사진이 바로 원주 나래 블루버드의 엠블럼이고요. 두 번째 사진과 세 번째 사진이 각각 원주 동부 프로미의 1도 기본형 엠블럼과 조합형 엠블럼입니다. 네 번째 사진과 마지막 다섯 번째 사진이 각각 원주 동부 프로미의 조합형 엠블럼과 기본형 엠블럼이 되겠습니다. 두 번째 사진과 세 번째 사진, 네 번째 사진과 다섯 번째 사진이 원주 동부 프로미의 초창기 엠블럼이라는 것과 2005년부터 2006년까지 사용된 자료라는 점에서 희소성이 더합니다.
제가 이번 게시물을 통해 올린 자료들을 나무위키를 비롯한 백과프로그램에 활용하시면 될 듯 싶습니다. 이어서 아이스하키와 관련된 자료들을 올려 두도록 하겠습니다.
'요청 자료 및 기타 (要請 資料 其他)'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울랜드 현대성우리조트 용평리조트 로고
서울랜드, 현대성우리조트, 용평리조트의 자료들입니다.
서울랜드, 현대성우리조트, 용평리조트는 시멘트회사들과 깊은 관련이 있습니다. 서울랜드의 경우에는 한일시멘트그룹과 같은 계열사이고요. 현대성우리조트는 과거 성우그룹의 계열사였던 현대시멘트의 레저사업본부였다가 2010년 현대시멘트가 기업개선작업에 들어가면서 2011년에 신안그룹에 매각하면서 웰리힐리파크로 사명이 변경됐습니다. 용평리조트는 쌍용양회의 용평사업부로 레저 사업을 영위하다가 통일교 계열인 세계일보에 2003년에 매각하면서 주인이 바뀌었습니다.
첫 번째 사진과 두 번째 사진이 한일시멘트의 CI이고요. 차이는 첫 번째 사진이 2018년까지 사용된 CI이며 두 번째 사진이 2019년부터 현재까지 사용 중인 한일시멘트의 CI입니다. 세 번째 사진이 한일시멘트가 현대시멘트를 인수해서 탄생한 한일현대시멘트의 CI입니다. 네 번째 사진이 서울랜드의 국문 CI입니다. 다섯 번째 사진이 과거 성우그룹의 핵심 계열사였던 현대시멘트의 CI이고요. 여섯 번째 사진이 현대성우리조트의 CI입니다. 일곱 번째 사진이 쌍용양회의 CI입니다. 여덟 번째 사진이 쌍용C&E의 슬로건 조합형입니다. 쌍용C&E가 쌍용양회가 사명을 새롭게 변경한 것입니다. 아홉 번째 사진이 용평리조트의 영문 CI이고요. 마지막 열 번째 사진이 용평리조트의 국문 CI가 되겠습니다.
서울랜드에 가면 한일시멘트, 한일현대시멘트, 한일네트웍스, 녹십자의 광고가 많이 보이는 것도 바로 서울랜드가 한일시멘트그룹의 계열사라서 그렇습니다. 과거 현대성우리조트 시절에도 스키장에 가면 현대시멘트, 현대해상의 광고가 주로 보였던 것도 현대가여서 그랬고요. 용평리조트는 쌍용그룹의 김석원 회장이 애지중지했던 곳으로 유명했습니다.
서울랜드, 현대성우리조트, 용평리조트의 자료들을 나무위키를 비롯한 백과프로그램에 사용하시면 될 듯 싶고요. 이어서 원주와 관련된 자료들을 올려 두도록 하겠습니다.
'요청 자료 및 기타 (要請 資料 其他)'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닛폰햄 파이터즈 도쿄 시대 마스코트 파이티 로고 Nippon-Ham Fighters Tokyo Period Mascot Fighty Logo Vector
닛폰햄 파이터즈의 도쿄 시절 마스코트였던 파이티입니다.
나무위키를 비롯한 백과 프로그램에서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즈의 마스코트 항목에 교료탄과 파이티라는 단어가 나옵니다. 파이티가 바로 교료탄과 함께 도쿄 시절의 마스코트로서 활약했습니다. 제가 올린 자료가 나무위키에 서술되어 있는 파이티가 되겠습니다.
첫 번째 사진이 닛폰햄 파이터즈의 모기업인 닛폰햄의 예전 CI입니다. 닛폰햄은 일본 현지에서 생선, 육류 등의 가공업체이고요. 유제품이라던가 요거트 같은 제품도 제조합니다. 그래서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즈, 치바 롯데 마린즈가 일본프로야구에서 대표적인 식음료 모기업을 두고 있는 구단들이지요. 두 번째 사진이 닛폰햄 파이터즈의 예전 엠블럼입니다. 도쿄 시절을 상징하는 자료이기도 하고, 제가 도쿄 시절 관련해서 처음으로 확보한 자료이기도 합니다.
세 번째 사진과 네 번째 사진이 제가 말씀드린 파이티입니다. 바로 도쿄 시절의 마지막과 홋카이도 시절의 초창기에 걸쳐 활약했던 마스코트였습니다. 세 번째 사진과 네 번째 사진의 각각 차이점은 세 번째 사진이 투구 활용 버젼이고요. 네 번째 사진이 기본형입니다.
닛폰햄 파이터즈가 2003년부터 삿포로 돔에서 홈경기 중에 일부를 편성하기 시작합니다. 치바 롯데 마린즈의 이전 명칭이던 롯데 오리온즈 역시 카와사키 구장을 뒤로 하고 1990년과 1991년에 치바마린스타디움에서 홈경기 중에 일부를 편성하기도 하고, 시범경기에 해당하는 오픈전에서도 치바마린스타디움에서 경기를 펼치기도 했습니다. 그러다 롯데 오리온즈가 카와사키 시절을 뒤로 하고 치바 시절을 본격적으로 열었지요.
닛폰햄 파이터즈도 삿포로로 연고지를 이전한 배경에는 일본 자체인 쿄진군 요미우리 자이언츠의 존재가 절대적이었던 데다 쿄진군 요미우리 자이언츠와 함께 홈구장인 도쿄 돔을 사용함으로서 생기는 불편한 점이 이만저만이 아니었습니다. 도쿄 돔에서 쿄진군 요미우리 자이언츠의 홈경기와 닛폰햄 파이터즈의 홈경기를 비교하면 극과 극이라는 표현이 떠오를 만큼 양 구단의 인기는 그야말로 대조적이었지요. 생각해 봐야 하는 문제가 닛폰햄 파이터즈는 쿄진군 요미우리 자이언츠와 달리 퍼시픽리그에 속한 구단이었고요. 여기에 도쿄 지역의 나머지 틈새도 야쿠르트 스왈로즈가 차지하면서 닛폰햄이 도쿄를 연고로 함에도 불구하고 쿄진군 요미우리 자이언츠와 야쿠르트 스왈로즈에 비해 인기도 존재감도 크게 밀렸지요. 앞서 말씀드린 도쿄 돔을 쿄진군 요미우리 자이언츠와 함께 사용하면서 생기는 불편함도 컸고요.
그래서 이러한 이유들로 인해서 닛폰햄 파이터즈가 도쿄 돔을 떠나 삿포로 돔으로 연고지를 이전하는 데 결정적인 영향을 끼칩니다. 또한, 닛폰햄그룹 측에서 앞서 카나가와현 카와사키시에서 치바현 치바시로 연고지를 이전했던 치바 롯데 마린즈의 사례를 벤치마킹해서 닛폰햄 파이터즈의 삿포로 이전을 적극 추진한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2004년부터 닛폰햄 파이터즈가 연고지인 삿포로시의 명칭을 추가해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즈로 팀명을 개칭한 뒤에 지역 밀착 마케팅의 활성화 등을 통해 현재는 삿포로시의 일원으로 완전하게 정착하게 됩니다.
도쿄 시절을 상징하는 마스코트인 파이티는 익룡을 모티브로 만든 캐릭터입니다. 등번호는 100번이었고요. 1993년부터 2003년까지 사용된 홈 유니폼이 적용되어 있습니다.
닛폰햄 파이터즈의 도쿄 시절 마스코트인 파이티를 정리했고요. 관련해서 심볼, 기사도의 엠블럼, 구단기, 유니폼, 또 다른 마스코트인 교료탄을 확보하는 대로 본 블로그에 올릴 예정입니다. 네 번째 사진의 기본형을 활용하셔서 나무위키를 비롯한 백과프로그램에 정리하시면 될 듯 싶습니다.
'일본 프로야구 로고 및 마스코트 (日本 プロ野球 L&M ) > 퍼시픽리그 Pacific Leagu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니치 드래곤즈 마스코트 도아라 현재 2019 버젼 로고 Chunichi Dragons Mascot Doala Present 2019 Version Logo Vector
오랜간만에 일본프로야구의 깨방정 마스코트 또는 일본프로야구의 만능엔터테이너로 불리는 도아라를 올립니다.
2019년에 새롭게 제작한 홈 유니폼을 착용한 버젼들 중에서 특색 있는 자료들을 선별해서 본 블로그에 올려놓게 되었습니다.
첫 번째 사진이 에코백을 메고 다니는 도아라, 두 번째 사진과 세 번째 사진이 하오리라는 일본의 전통 의상을 착용한 도아라가 되겠습니다. 네 번째 사진이 고래상어를 타고 다니는 도아라, 다섯 번째 사진이 귓속말로 속삭이는 도아라가 되겠고요. 마지막 여섯 번째 사진이 2019년 홈 유니폼이 적용된 기본형입니다.
제가 도아라의 관련 자료를 올리는 걸 보면서 도아라가 일종의 밈 같은 존재라는 생각이 듭니다.
주니치 드래곤즈의 도아라를 오래간만에 올리게 되었고요. 이어서 닛폰햄 파이터즈의 도쿄 시절 마스코트로서 활약을 펼쳤던 파이티를 올려 두도록 하겠습니다.
'일본 프로야구 로고 및 마스코트 (日本 プロ野球 L&M ) > 센트럴리그 Central League'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즈 마스코트 브리스키 더 베어 2004 2018 로고 Hokkaido Nippon-Ham Fighters Mascot Brisky The Bear 2004 2018 Logo Vector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즈의 메인 마스코트였던 브리스키 더 베어의 자료들입니다.
얼마 전에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즈의 메인 마스코트였던 브리스키 더 베어의 예전 자료를 확보하면서 기존에 있던 자료들과 함께 브리스키 더 베어에 대해 정리하는 차원에서 이번 게시물을 올렸습니다.
첫 번째 사진과 두 번째 사진이 2004년 한 해 동안만 사용된 브리스키 더 베어의 디자인입니다. 각각의 차이는 흑백과 컬러의 차이고요. 기존의 마스코트였던 파이티를 홋카이도로 이전한 후에 2005년까지 2년 동안 유지한 뒤에 은퇴시켰고요. 동시에 2004년부터 브리스키 더 베어를 별도로 만들면서 마스코트들도 개편하기 시작합니다. 파이티와 브리스키 더 베어가 2년 동안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즈의 마스코트로 활약했습니다. 그리고, 첫 번째 사진과 두 번째 사진의 친근하면서도 곰의 우직함을 담고 있는 브리스키 더 베어는 앞서 말씀드린 것처럼 2004년에만 사용된 디자인입니다. 우리가 알고 있는 브리스키 더 베어는 2005년에 등장합니다.
세 번째 사진과 네 번째 사진이 우리에게 알려진 브리스키 더 베어인데요. 현재 활동 중인 브리스키 더 베어는 2005년에 처음으로 모습을 드러냅니다. 세 번째 사진은 2004년부터 2010년까지 사용된 홈 유니폼을 착용하고 있는 모습이고요. 네 번째 사진이 2011년부터 2021년 현재까지 사용 중인 홈 유니폼을 착용하고 있는 모습입니다. 브리스키 더 베어는 2018년 초를 끝으로 메인 마스코트를 프렙 더 폭스에게 넘겨주고 일선에서 물러나 환경과 어린이 행사 같은 다른 곳에서 활동하고 있습니다. 물론, 간간히 삿포로 돔에도 모습을 드러냅니다.
희소성이 있는 브리스키 더 베어의 초창기 모습을 확보하게 되어 기존의 자료들과 함께 정리했고요. 주니치 드래곤즈의 메인 마스코트인 도아라의 현재 모습도 이어서 올려 두도록 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