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2023 KBL SKT 에이닷 프로농구 챔피언 결정전 엠블럼 2023-2024 KBL 정관장 프로농구 챔피언 결정전 엠블럼 부산 KCC 이지스 2023-2024 KBL 챔피언 결정전 우승 기념 엠블럼 창원 LG 세이커스 2024-2025 KBL 챔피언 결정전 우승 기념 엠블럼 로고
지난번에 말씀드렸던 KBL의 자료들을 올려놓습니다.
나무위키를 비롯한 백과프로그램을 둘러보다가 KBL과 관련한 자료들이 미흡한 것 같아서 찾아서 정리했습니다. KBL과 관련하여 플레이오프와 챔피언결정전을 중심으로 자료들을 정리해서 올려놓을 구상이고요. 구단별 챔피언결정전 우승 기념 엠블럼도 찾는 대로 바로 정리할 계획입니다. 챔피언결정전 우승 기념 엠블럼에 대해서 말씀드릴 부분들이 있는데요. 이 내용들은 다음 단락에서 말씀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첫 번째 사진이 2022-2023 KBL SKT 에이닷 프로농구 챔피언결정전 엠블럼이고요. 두 번째 사진이 2023-2024 KBL 정관장 프로농구 챔피언결정전 엠블럼입니다. 세 번째 사진이 부산 KCC 이지스의 2023-2024 프로농구 챔피언결정전 우승 기념 엠블럼이고요. 네 번째 사진이 창원 LG 세이커스의 2024-2025 프로농구 챔피언결정전 우승 기념 엠블럼입니다. 마지막 다섯 번째 사진이 창원 LG 세이커스가 2024-2025 프로농구 챔피언결정전 우승을 기념하여 LG 빅샷 엠블럼이 되겠습니다.
서울 SK 나이츠와 안양 KGC인삼공사의 경우 디자인 자료들을 전부 래스터라이징으로 변환하면서 확보하기가 몹시 어려울 것으로 사료됩니다. 여러 경로로 문서 파일들을 확보했는데 하나같이 우승 기념 엠블럼들만 래스터라이징으로 변환한 상태였습니다. 서울 SK 나이츠와 안양 KGC인삼공사의 경우 해당 자료들의 저작권을 엄격하게 관리하는 것 같습니다. 울산 현대모비스 피버스는 여러 경로로 살펴볼 계획입니다만, 확보할 수 있을지는 미지수입니다. 1990년대 후반에서 2000년대 자료들은 없는 경우도 많고, 시기가 시기이기도 하며 이미지로 올라온 경우가 많아서 확보하기가 어려울 것으로 판단합니다. KBL은 구단별 챔피언결정전 우승 기념 엠블럼은 확보할 수 있는 자료들에 한해서 올려놓고요. 시즌별 플레이오프와 챔피언결정전의 엠블럼들을 중심으로 올려놓을 방침입니다.
먼저, 부산 KCC 이지스의 2023-2024 프로농구 챔피언결정전 우승 기념 엠블럼은 전북 전주에서 부산광역시로 이전한 이후 처음으로 달성한 우승이라는 점에서 각별합니다. 전북 전주에서 이전하고 맞은 첫 시즌에 우승한 것이지요. 다음으로, 창원 LG 세이커스의 2024-2025 프로농구 챔피언결정전 우승 기념 엠블럼은 구단을 창단한 1997년 3월 11일 이래로 처음으로 달성한 챔피언결정전 우승이라는 점에서 각별합니다. 제가 프로농구에 대한 내용이 전무합니다만, 소식을 접하기로 창원 LG 세이커스가 우승의 문턱에서 좌절하고 소위 말하는 콩라인의 구단으로 알고 있었거든요. 콩라인에서 벗어나고 구단의 창단 이래로 처음으로 달성한 챔피언결정전 우승이라는 점에서 올해 우승은 창원 LG 세이커스에게 특별하게 다가올 듯 싶습니다.
KBL은 앞서 말씀드린 내용들을 시간을 내서 찾아서 정리할 생각이고요. 관련 자료들은 나무위키를 비롯한 백과프로그램에 활용하시면 될 듯 싶습니다. 제가 출판사들의 CI들을 시나브로 확보했는데요. 출판사와 관련한 자료들이 나무위키를 비롯한 백과프로그램에 반영되지 않았더군요. 제가 확보한 출판사들의 CI들을 다가오는 9일에 정리해서 올려놓도록 하겠습니다.
'요청 자료 및 기타 (要請 資料 其他)'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청주 KB 스타즈 2021 엠블럼 2022 한국여자프로농구 챔피언 결정전 우승 기념 엠블럼 로고 (2) | 2025.06.18 |
---|---|
21세기북스 디딤돌교육 교원 1995-2007 공문교육연구원 구몬 블랙박스 구형 빨간펜 2007-2021 로고 (0) | 2025.06.09 |
롯데 자이언트 1975-1981 롯데 자이언츠 1982-1992 심볼 심볼 배경 엠블럼 로고 (0) | 2025.05.31 |
RB 오미야 아르디쟈 구단기 마스코트 아르디 미야 2025 로고 (0) | 2025.05.28 |
나라 클럽 마스코트 슈카군 로고 (0) | 2025.05.19 |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즈 2025 특별 엠블럼 요코하마 스트라이프 마스코트 DB.스타맨 DB.키라라 2025 홈 유니폼 로고 Yokohama DeNA Baystars 2025 Special Emblem Yokohama Stripe Mascot DB.Starman DB.Kirara 2025 Home Uniform Logo Vector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즈로 6월을 시작합니다.
2025년을 맞아 새롭게 제작한 특별 엠블럼과 요코하마 스트라이프, 보다 기본형에 가까운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즈의 마스코트들인 DB.스타맨과 DB.키라라의 자료들을 지난달에 확보했고요. 관련 자료들을 6월의 시작과 함께 정리할 필요가 있어서 이번 게시물을 통해 올려놓게 됐습니다.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즈는 2025년을 맞아 홈 유니폼의 디자인을 부분적으로 변경하고, 이에 걸맞는 요코하마 스트라이프도 새롭게 디자인하였습니다.
첫 번째 사진이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즈의 2025년 특별 엠블럼이고요. 두 번째 사진이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즈의 2025년형 요코하마 스트라이프입니다. 마지막 세 번째 사진이 보다 기본형에 가까운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즈의 메인 마스코트인 DB.스타맨과 여성 마스코트인 DB.키라라가 함께 있는 모습이 되겠습니다.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즈가 첫 번째 사진에 있는 2025년 특별 엠블럼을 디자인했는데요. 유니폼의 오른쪽 팔 부분에 부착됐고요. 2025년 특별 엠블럼의 경우 특정 기간 동안만 사용하는 건지 아니면 앞으로 지속적으로 사용하는 건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다만, 개인적으로 볼 때 추후 유니폼을 새롭게 디자인하기 전까지 사용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2023년에 디자인된 요코하마 스트라이프에 비해 2025년에 디자인된 요코하마 스트라이프가 파란색의 오브젝트 부분이 훨씬 두꺼워 졌습니다. 요코하마 스트라이프가 변경됐기 때문에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즈의 마스코트들이 착용하고 있는 유니폼도 새로운 디자인에 발맞춰 변경되었지요.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즈의 2025년 시즌 슬로건까지 확보하면 좋았을텐데 유감스럽게도 확보하지 못했고요. 한신 타이거스의 2025년 홈 유니폼이 적용된 마스코트들과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즈의 75주년 기념 엠블럼과 마찬가지로 확보하는 대로 추후에 별도의 게시물로 정리할 방침입니다.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즈의 마스코트 항목은 세 번째 자료로 교체해 주셨으면 합니다. 제가 2일, 3일, 4일은 일정으로 인해 블로그를 쉬고요. 5일에 KBL의 챔피언결정전 엠블럼들을 정리해서 올려놓도록 하겠습니다.
'일본 프로야구 로고 및 마스코트 (日本 プロ野球 L&M ) > 센트럴리그 Central League' 카테고리의 다른 글
롯데 자이언트 1975-1981 롯데 자이언츠 1982-1992 심볼 심볼 배경 엠블럼 로고
롯데 자이언트와 롯데 자이언츠를 잇는 고전 자료를 확보했습니다.
저도 롯데 자이언트와 롯데 자이언츠를 잇는 자료들을 확보하기 위해서 롯데 자이언츠와 삼성 라이온즈의 클래식 시리즈를 중심으로 찾아봤는데요. 유감스럽게도 클래식 시리즈의 자료를 통해서 확보하지 못했습니다. 잠정적으로 포기하고 지내다가 2005년에 있었던 한국야구100주년 기념 엠블럼과 2011년에 있었던 한국프로야구 30주년 기념 엠블럼으로 방향을 전환했는데요. 2011년에 있었던 한국프로야구 30주년 기념 엠블럼을 찾으려던 찰나 뜻하지도 않게 롯데 자이언트와 롯데 자이언츠를 잇는 심볼을 확보하게 됐습니다. 본래 찾으려던 한국프로야구의 30주년 기념 엠블럼은 확보하지 못하고 정작 롯데 자이언트와 롯데 자이언츠를 잇는 심볼을 확보하게 된 경우였습니다. 소가 뒷걸음질을 치다가 쥐를 잡은 격이지요. 찾게 되리라고 전혀 예상하지 못하고 있다가 확보하게 된 경우라 정말로 놀랐습니다. 숙원의 자료였는데 확보할 수 있어서 지금도 좋은 감정이 유지되고 있습니다.
첫 번째 사진과 두 번째 사진이 각각 1975년부터 1981년까지 사용됐던 실업야구단 롯데 자이언트의 심볼이자 1982년부터 1992년까지 사용됐던 프로야구단 롯데 자이언츠의 심볼입니다. 각각의 차이는 첫 번째 사진이 심볼의 기본형이고, 두 번째 사진이 심볼의 기본형과 네이비 내지 남색의 배경 색상이 적용된 형태로 보시면 될 듯 싶습니다. 세 번째 사진이 1982년부터 1992년까지 사용된 롯데 자이언츠의 공식 엠블럼입니다. 1982년부터 1992년까지 롯데 자이언츠의 엠블럼은 심볼과 색상 배경이 적용된 롯데그룹의 CI가 함께 적용된 형태였습니다. 네 번째 사진과 마지막 다섯 번째 사진이 1969년부터 1991년까지 사용된 롯데 자이언츠의 형제 구단인 치바 롯데 마린즈의 이전 명칭인 롯데 오리온즈의 심볼입니다. 네 번째 사진이 기본형이며 다섯 번째 사진이 네이비 내지 남색의 배경 색상이 적용된 형태가 되겠습니다. 롯데 오리온즈의 자료들을 정리하는 차원에서 함께 올렸습니다. 1975년과 1981년까지 사용된 롯데 자이언트의 자료들과 이번 게시물에 올린 1982년부터 1992년까지 사용된 롯데 자이언츠의 자료들은 디자인이 동일하기 때문에 첫 번째 사진과 두 번째 사진에 있는 자료를 활용하셔도 무방합니다.
롯데그룹의 야구단은 일본에서 시작하는데요. 일본 롯데그룹의 모기업인 ㈜롯데가 1969년에 도쿄 오리온즈의 스폰서로 참여하는 순간부터 시작됩니다. 그래서 1969년에 도쿄 오리온즈의 구단 명칭이 롯데 오리온즈로 변경됩니다. 1969년부터 1970년까지 ㈜롯데가 스폰서로 참여하다가 이듬해인 1971년 1월 25일 도쿄 오리온즈의 모기업인 다이에이 영화사로부터 구단의 경영권과 지분을 모두 인수하면서 롯데그룹 산하의 롯데 오리온즈로 재편합니다. 1973년부터 1977년까지 도쿄 스타디움의 폐쇄로 인해 홈구장이 없이 떠돌이로 생활하던 집시 롯데 시절을 거친 뒤 1978년 카와사키현 카와사키시에 위치한 카와사키구장을 홈구장으로 삼게 됩니다. 카와사키 구장의 열악한 시설과 공업지대인 카와사키시의 입지로 인해 1991년 시즌을 끝으로 치바현 치바시로 연고지를 이전하게 됐고요. 1992년 시즌에 맞춰 치바마린스타디움을 홈구장으로 삼고, 구단의 명칭도 치바 롯데 마린즈로 변경한 뒤에 현재에 이르고 있습니다.
롯데그룹이 일본 롯데 오리온즈의 출범에 발맞춰 1975년 5월 6일에 롯데제과(현재 롯데웰푸드)가 주도하여 실업야구단 롯데 자이언트를 창단합니다. 구단의 초대 감독이 바로 해태 타이거즈와 LG 트윈스의 전신인 MBC 청룡에서 감독을 역임했던 김동엽이었습니다. 실업 시절에 롯데 자이언트는 주요 대회를 석권할 만큼 강팀이었습니다. 롯데 자이언트의 역사는 1981년까지 이어졌고요. 1982년에 한국프로야구가 공식적으로 출범하면서 1982년 2월 12일에 부산, 울산, 경남을 연고지로 정하며 롯데 자이언츠로 실업야구단에서 프로야구단으로 전환합니다. 그래서 롯데 자이언츠의 역사가 원년부터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는 것이고요. 한국프로야구 최초로 프로야구단을 창단한 구단은 바로 두산그룹의 OB베어스였지요. 1982년 1월 15일이었고요. 또한, 같은 영남을 연고로 하는 삼성 라이온즈가 1982년 2월 3일에 창단해서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습니다. 그래서 두산 베어스, 롯데 자이언츠, 삼성 라이온즈가 프로야구가 창립한 원년부터 현재까지 구단의 주인이 바뀌지 않고 유지되고 있는 구단들입니다.
롯데 오리온즈의 심볼을 모티브로 디자인한 롯데 자이언트의 심볼이 1975년부터 본격적으로 사용됐으며 1982년 프로야구단으로 전환한 롯데 자이언츠인 1992년까지 사용됐는데요. 이듬해인 1993년을 맞춰 구단의 디자인을 변경합니다. 이유는 롯데 자이언츠의 1982년 심볼을 보면 L과 G를 결합한 형태인데 바로 1990년부터 MBC 청룡을 인수하여 프로야구에 참여한 LG 트윈스가 등장했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디자인을 변경했고요. 1975년부터 1992년까지 사용된 롯데 자이언트와 롯데 자이언츠의 역사를 잇는 심볼은 지금 봐도 촌스럽지 않고 깔끔한 느낌을 줍니다. 잘 만들었다고 생각하는 디자인이고요. 제가 이번 게시물에 올린 롯데 자이언트와 롯데 자이언츠의 디자인이 각별한 이유는 1984년과 1992년 한국시리즈를 제패했던 롯데 자이언츠의 역사를 담고 있기 때문입니다. 롯데 자이언츠의 한국시리즈 우승과 관련한 추억을 담고 있는 유일한 디자인이지요. 앞서 말씀드린 바와 같이 롯데 오리온즈와 깊은 연관이 있고, 깔끔한 디자인을 자랑했기 때문에 확보하고 싶었는데 다행스럽게도 확보할 수 있었습니다.
롯데 자이언트와 롯데 자이언츠를 잇는 자료들을 나무위키를 비롯한 백과프로그램에 활용하시면 될 듯 싶고요. 롯데 자이언트와 롯데 자이언츠의 초창기 자료들도 이쯤에서 마무리짓겠습니다. 제가 내일은 일본프로야구와 관련한 자료를 올려놓을 생각입니다. 바로 센트럴리그에 참여하고 있는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즈의 자료들을 올려놓도록 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