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호생명 팰컨스 금호생명 레드윙스 엠블럼 로고
어제 말씀드렸던 클래식한 금호생명 팰컨스와 금호생명 레드윙스입니다.
제가 여자농구인 WKBL과 관련된 자료가 바로 금호생명 팰컨스와 금호생명 레드윙스였고요. 이들 자료를 오래 전부터 확보하고 있어서 이번 게시물을 통해서 올려놓게 되었습니다. 금호생명 팰컨스와 금호생명 레드윙스를 신세계 쿨캣과 비슷한 시기에 확보했습니다. 신세계 쿨캣의 경우 SSG 랜더스와 맞물리는 부분이 있어서 2년 전에 올려놓았고요.
역사의 흐름은 금호생명 팰컨스, 금호생명 레드윙스의 순서로 이어집니다. 2000년 여자농구는 WKBL이 본격적으로 출범했던 시기인데 다섯 구단 밖에 되지 않아서 동아생명을 인수한 금호아시아나그룹을 접촉해서 만든 구단이 바로 금호생명 팰컨스입니다. 동아생명은 금호아시아나그룹에 인수돼서 당연히 금호생명으로 사명이 변경됐고요. 금호생명이 농구단을 새롭게 창단하면서 금호생명 팰컨스의 이름으로 창단하게 됩니다. 2000년부터 2001년까지는 금호생명 팰컨스, 2001년부터 2005년까지 연고지인 인천광역시의 명칭을 추가하여 인천 금호생명 팰컨스로 운영됐습니다. 2005년을 끝으로 연고지를 경기도 구리시로 이전하면서 2005년부터 2006년까지 구리 금호생명 팰컨스의 시대였고요.
2006년을 끝으로 구리 금호생명 레드윙스로 팀명을 변경합니다. 2010년까지 구리 금호생명 레드윙스로 운영되다가 금호생명을 금호아시아나그룹이 KDB산업은행에 매각하면서 구리 KDB생명 위너스로 변경됐고요. 이후에 2018년까지 운영되다가 KDB산업은행이 구단의 운영을 포기하면서 OK저축은행의 스폰서와 WKBL의 위탁 운영을 마지막으로 2019년에 역사를 마감합니다.
첫 번째 사진이 금호생명 팰컨스의 엠블럼이고요. 두 번째 사진이 금호생명 팰컨스의 마스코트입니다. 마지막 세 번째 사진이 금호생명 레드윙스가 되겠습니다. 금호생명 팰컨스와 금호생명 레드윙스가 금호생명 시절의 역사적인 유산으로 볼 수 있고요. 다른 자료들로 인해서 순서가 밀렸습니다.
관련된 자료들은 나무위키를 비롯한 백과프로그램에 올려 주시면 될 듯 싶고요. 제가 내일과 모레는 블로그를 쉬고요. 23일에 NTT 재팬 럭비 리그 원과 관련된 자료를 이어서 올려 둘 생각입니다. 그리고, 한일 드림 플레이어즈 게임의 엠블럼은 제가 찾고 있고요. 확보하는 대로 별도의 게시물로 올려놓도록 하겠습니다. J리그와 관련된 자료도 확보하는 대로 순차적으로 정리하도록 하겠습니다. 23일에 이어지겠습니다.
'요청 자료 및 기타 (要請 資料 其他)'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본 남자 농구 리그 B.리그 3부 리그 참가팀 엠블럼 로고 Japan Professional Basketball League B.League Third Division Participating Team Emblem Logo Vector
일본 남자 농구 리그인 B.리그를 마무리합니다.
일본 남자 농구 리그인 B.리그의 마지막에 해당하는 3부 리그와 관련된 자료들이 주인공입니다. 일본 남자 농구 리그인 B.리그의 3부 리그는 1부 리그, 2부 리그와 달리 단일 리그제로 운영하기 때문에 참가 구단들의 자료를 한 번에 올려놓게 되었습니다. 3부 리그에 참가하고 있는 구단들은 다음 문단에서 말씀드리겠습니다.
어스 프렌즈 도쿄Z, 후쿠이 블로윈즈, 기후 스웁스, 카가와 파이브애로우즈, 카고시마 렙나이즈, 카나자와 사무라이즈, 사이타마 브롱코스, 시나가와 시티 바스켓볼 클럽, 쇼난 유나이티드 BC, 타치카와 다이스, 토쿠시마 감바로우즈, 도쿄 하치오지 비트레인즈, 도쿄 유나이티드 바스켓볼 클럽, 트라이후프 오카야마, 비어틴 미에, 야마구치 펏츠파이브, 요코하마 엑설런스입니다. 사진의 순서는 상기한 것과 동일합니다.
보시는 바와 같이 일본 남자 농구 리그인 B.리그는 3부 리그는 단일 리그제로 운영되며 무려 열여덟 구단으로 가장 많은 숫자를 자랑합니다. 다음으로 1부 리그, 2부 리그의 순서에 해당하고요.
제가 올린 자료는 2023-24 시즌을 기준으로 올렸고요. 2024-25 시즌에 맞게 승강제가 작동하기 때문에 일부 변동이 있을 수 있습니다. 누락된 부분이 없는 지 확인할 예정이며 관련된 자료들은 나무위키를 비롯한 백과프로그램에 활용하시면 될 듯 싶습니다.
내일은 제가 우리나라의 여자농구인 WKBL과 관련된 자료를 하나 올려놓으려고 합니다. 오래된 자료인데 가지고 있어서 정리할 생각이고요. 이후에는 일본의 럭비 리그인 NTT 재팬 럭비 리그 원의 참가 구단들과 일본의 여자 농구 리그인 W.리그와 관련된 자료들을 정리하도록 하겠습니다.
'요청 자료 및 기타 (要請 資料 其他)'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창건설 신창비바패밀리 신창건설코뿔소씨름단 로고
씨름과 밀접한 게시물을 올려놓습니다.
지금은 존재하지만 과거 민족씨름의 실업 구단을 운영했던 신창건설과 신창건설의 아파트 브랜드인 신창비바패밀리, 신창건설코뿔소씨름단의 자료를 오래 전에 확보해서 이번 게시물을 통해 정리하게 되었습니다. 신창건설과 관련된 자료를 찾다가 신창건설코뿔소씨름단의 자료도 함께 확보하면서 자연스럽게 최종적으로 정리하는 방향으로 나아가게 됐습니다.
첫 번째 사진이 신창건설의 기업 CI입니다. 두 번째 사진이 신창건설의 아파트 브랜드인 신창비바패밀리입니다. 마지막 세 번째 사진이 이번 게시물의 하이라이트인 신창건설코뿔소씨름단이 되겠습니다. 신창건설은 1984년에 창립한 중견건설업체고요. 2009년 건설경기의 악화에 따른 자금난을 이기지 못하면서 법정관리라고 하는 기업회생절차를 거쳐 SM그룹에 인수됐습니다. 이후에 우방건설산업으로 사명이 변경됐고 SM상선에 흡수합병되면서 SM상선 건설부문으로 재편된 상태입니다.
신창건설코뿔소씨름단은 2000년 신창건설이 삼익캐피탈 씨름단을 인수하면서 출범하게 되었고요. 2005년까지 운영되다가 2006년 1월 초에 해체하게 된 씨름단입니다. 2000년대 중반까지 LG투자증권황소씨름단, 현대삼호중공업코끼리씨름단, 신창건설코뿔소씨름단이 실업 구단으로 명맥을 이었습니다만, 2004년 LG투자증권황소씨름단이 해체되고 2006년에는 신창건설코뿔소씨름단이 해체되면서 실업 구단으로 유지된 민속씨름도 유명무실화되었지요. 2016년을 끝으로 현대삼호중공업코끼리씨름단마저 해체하면서 2000년대 초중반을 주름잡았던 씨름 구단들이 모두 역사속으로 사라지게 됩니다.
LG투자증권황소씨름단과 현대삼호중공업코끼리씨름단도 시간이 될 때마다 자료를 찾고 있고요. 이들 자료를 찾는 대로 별도의 게시물로 정리할 구상입니다. 이번 게시물의 자료를 나무위키를 비롯한 백과프로그램에 활용하시면 될 듯 싶고요. 14일과 15일은 블로그를 쉬고, 16일에 일본 남자 농구 리그인 B.리그와 관련된 자료를 올려놓도록 하겠습니다.
'요청 자료 및 기타 (要請 資料 其他)' 카테고리의 다른 글
롯데리아 라이스버거 캐릭터 로이 롯데 자이언츠 엠블럼 패치 로고 Lotteria Rice Burger Character Loi Lotte Giants Emblem Patch Logo Vector
롯데리아와 롯데 자이언츠의 옛날 자료들을 올려놓습니다.
롯데리아의 경우 예전 히트작 중에 하나인 밥이 주재료 중에 하나였던 라이스버거와 메인 캐릭터인 로이의 자료를 확보했고요. 롯데 자이언츠의 경우 1996년부터 2002년까지 유니폼에 적용된 엠블럼 패치도 함께 얻게 되었습니다. 이번 게시물에서는 롯데리아와 롯데 자이언츠의 예전 자료들이 주제입니다.
첫 번째 사진이 롯데리아의 추억을 상기시키는 라이스버거입니다. 빵이 아닌 밥으로 나와 신선했고요. 나름대로 선풍적인 인기를 끌었던 제품으로 기억합니다. 현재는 롯데리아에서 전북특별자치도의 대표 음식인 전주비빔밥을 활용한 전주비빔라이스버거를 출시해서 시판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두 번째 사진이 롯데리아의 메인 캐릭터인 로이가 되겠습니다. 1999년에 출시된 캐릭터입니다. 지금은 거의 없어졌지만, 2000년대 중반까지만 해도 롯데리아의 매장에 들어가면 쉽게 발견할 수 있는 캐릭터였습니다. 제가 올려놓은 로이 말고도 로디, 로킹 등의 캐릭터가 추가적으로 있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로디와 로킹 등의 자료는 추후 확보하는 대로 다시 정리할 생각입니다.
세 번째 사진이 1995년부터 2019년까지 사용된 롯데 자이언츠의 형제 구단인 치바 롯데 마린즈의 유니폼 엠블럼 패치입니다. 1995년부터 2019년까지 사용된 프라이머리 엠블럼과 기본적인 틀은 유사한데 폰트가 완전히 다릅니다. 유니폼 엠블럼 패치라는 표현처럼 유니폼에만 적용됐습니다. 유니폼 엠블럼 패치와 다르게 프라이머리 엠블럼은 폰트가 굵지요. 네 번째 사진이 1996년부터 2002년까지 사용된 롯데 자이언츠의 심볼이자 엠블럼입니다. 마지막 다섯 번째 사진이 1996년부터 2002년까지 사용된 롯데 자이언츠의 유니폼 엠블럼 패치입니다. 롯데 자이언츠가 삼성 라이온즈와 클래식 씨리즈를 펼칠 때 팬들을 대상으로 유니폼의 대상으로 여론을 조사할 때 마지막 다섯 번째 사진의 엠블럼이 나왔던 것으로 기억하고 있습니다.
치바 롯데 마린즈의 유니폼 엠블럼 패치를 롯데 자이언츠의 유니폼 엠블럼 패치와 함께 올려놓은 이유는 치바 롯데 마린즈가 롯데 자이언츠와 같은 모그룹을 둔 형제 구단이기 때문에 비교하는 차원에서입니다. 참고로, 롯데 자이언츠의 자료들은 2001년에 발간한 자료에서 확보했습니다.
제가 올린 자료들은 나무위키를 비롯한 백과프로그램에 활용하시면 될 듯 싶고요. 내일은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즈의 2군 마스코트인 커비 더 베어의 기본형을 확보했기 때문에 간만에 닛폰햄과 관련된 자료를 이어서 올려 두도록 하겠습니다.
'요청 자료 및 기타 (要請 資料 其他)'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본 남자 농구 리그 B.리그 3부 리그 참가팀 엠블럼 로고 Japan Professional Basketball League B.League Third Division Participating Team Emblem Logo Vector (6) | 2024.07.19 |
---|---|
신창건설 신창비바패밀리 신창건설코뿔소씨름단 로고 (0) | 2024.07.13 |
일본 롯데 2000년대 중반 일본 롯데리아 1998 2006 로고 Japan Lotte mid-2000s Japan Lotteria 1998 2006 Logo Vector (0) | 2024.07.06 |
두산 베어스 1999 심볼 엠블럼 마스코트 회색곰 로고 (2) | 2024.07.05 |
두산 베어스 롯데 자이언츠 한화 이글스 예전 심볼 로고 모음 (0) | 2024.07.01 |
일본 롯데 2000년대 중반 일본 롯데리아 1998 2006 로고 Japan Lotte mid-2000s Japan Lotteria 1998 2006 Logo Vector
일본 롯데와 일본 롯데리아의 예전 자료들을 확보했습니다.
2000년대 중반까지 사용된 일본 롯데의 CI와 1998년부터 2006년까지 사용된 일본 롯데리아의 CI를 확보했는데요. 지난달에 제가 예전 자료들을 찾다가 일본 롯데와 일본 롯데리아의 자료를 찾게 되면서 이번 게시물을 통해 정리하게 되었습니다.
첫 번째 사진이 2000년대 중반까지 사용된 일본 롯데그룹의 CI입니다. 현재 롯데그룹의 CI는 폰트들이 전반적으로 유연하게 되어 있습니다만, 2000년대 중반까지 사용된 일본 롯데그룹의 CI는 폰트들이 각진 형태를 띄고 있습니다. 입속의 연인이라는 슬로건은 과거와 현재 모두 동일하게 적용된 것이 특징입니다.
두 번째 사진, 세 번째 사진, 마지막 네 번째 사진이 각각 1998년부터 2006년까지 사용된 일본 롯데리아의 엠블럼, 일본어 폰트, CI가 되겠습니다. 우리나라와 다르게 일본 롯데리아는 2006년부터 리밤프 구조조정이 들어가면서 CI가 변경됐고요. 그러니까 리밤프 구조조정이 들어가기 전까지 사용된 디자인들이라고 보시면 될 듯 싶습니다.
현재 일본 롯데리아는 롯데그룹의 품을 벗어났습니다만, 과거 롯데그룹에 있던 시절을 추억하고 정리하는 차원에서 이번 게시물을 통해 올려놓게 되었고요. 롯데리아의 캐릭터를 제가 며칠 전에 확보했는데 관련해서 롯데 자이언츠와 함께 별도의 게시물로 정리할 생각입니다. 이번 게시물의 자료들은 나무위키를 비롯한 백과프로그램에 활용하시면 될 듯 싶습니다.
내일은 롯데 자이언츠의 예전 엠블럼 패치와 함께 며칠 전에 확보한 롯데리아의 캐릭터를 함께 정리해서 올려 두도록 하겠습니다.
'요청 자료 및 기타 (要請 資料 其他)' 카테고리의 다른 글
두산 베어스 1999 심볼 엠블럼 마스코트 회색곰 로고
지난달에 확보했던 두산 베어스의 1999년 시절 디자인입니다.
예전 자료들을 찾다가 두산그룹에서 2001년에서 2003년 무렵에 발간한 사보를 통해 두산 베어스와 관련된 귀중한 자료들을 확보하는 데 성공했습니다. OB 베어스의 역사가 1998년으로 끝나고, 본격적으로 모그룹인 두산그룹의 그룹명을 적용한 두산 베어스의 시대가 바로 1999년에 열리는데요. 제가 이번 게시물을 통해 올려놓은 자료들이 두산 베어스의 시작을 알리는 자료들이라고 보시면 금방 이해되실 겁니다.
첫 번째 사진이 두산 베어스의 심볼이고요. 두 번째 사진이 두산 베어스의 공식 엠블럼입니다. 마스코트와 워드마크를 다양하게 활용한 멋진 디자인이라고 생각합니다. 세 번째 사진이 두산 베어스의 반달가슴곰 유니폼으로 불리게 했던 이른바 반달가슴곰 워드마크입니다. 네 번째 사진, 다섯 번째 사진, 여섯 번째 사진, 마지막 일곱 번째 사진이 1999년에 디자인되어 활약한 마스코트인 반달가슴곰입니다. 각각의 차이는 기본형, 투구형, 슬라이딩형, 타자형이 되겠습니다.
해당 자료들은 서두에서 말씀드렸 듯이 2001년에서 2003년 무렵 두산그룹에서 발간한 사보를 통해 확보했고요. 제가 올린 자료들이 1999년 두산 베어스의 출범과 함께 등장한 디자인들입니다. 개인적으로 OB 베어스 시절의 자료도 함께 확보할 수 있었으면 좋았을텐데 아쉽게도 OB 베어스와는 인연이 닿지 않았습니다. OB 베어스 시절의 자료도 확보하는 대로 별도의 게시물로 정리하도록 하겠습니다. OB 베어스뿐만 아니라 과거 한국프로야구와 관련된 자료들은 확보하는 대로 모두 정리할 생각입니다.
어제 말씀드렸던 것처럼 두산 베어스와 관련된 자료들을 모두 정리했고요. 관련 자료들은 나무위키를 비롯한 백과프로그램에 활용하시면 될 듯 싶고요. 내일은 일본 롯데리아와 관련된 자료를 추가적으로 올릴 생각입니다. 2000년대 초중반 사용되던 롯데리아의 일본어 버젼 자료고요. 일본 롯데리아의 자료도 내일 중으로 마무리지을 계획입니다. 두산 베어스와 함께 확보했던 롯데 자이언츠의 예전 엠블럼 패치도 조만간 정리해서 올려 두도록 하겠습니다. 내일은 일본 롯데리아로 이어집니다.
'요청 자료 및 기타 (要請 資料 其他)' 카테고리의 다른 글
두산 베어스 롯데 자이언츠 한화 이글스 예전 심볼 로고 모음
7월은 두산 베어스, 롯데 자이언츠, 한화 이글스와 관련된 한국프로야구와 관련된 자료로 시작합니다.
제가 예전 자료들을 찾다가 두산 베어스, 롯데 자이언츠, 한화 이글스와 관련된 자료들을 확보하게 되었는데요. 확보한 자료들을 발행한 시기가 2001년에 해당합니다. 예전 자료들을 통해서 2000년대 초반 한국프로야구의 향수도 함께 추억할 수 있겠다는 생각에 이번 게시물을 선정하게 되었습니다.
첫 번째 사진이 OB 베어스에서 두산 베어스로 바뀌자마자 새롭게 디자인된 심볼입니다. 그러니까 1999년에 디자인된 심볼이고요. 두산 베어스의 시작을 알리는 디자인이기도 합니다. 흔히 OB 베어스와 두산 베어스는 두산그룹이 인수해서 등장한 구단으로 이해하기 쉬운데요. OB 베어스는 과거부터 두산그룹의 프로야구단이었고요. OB맥주의 매각과 맞물리면서 구단의 분위기를 새롭게 혁신하는 차원에서 모그룹인 두산그룹이 1998년 8월 OB 베어스에서 두산 베어스로 팀명을 변경하기로 결정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그래서 두산 베어스가 롯데 자이언츠, 삼성 라이온즈와 함께 원년부터 주인이 변경되지 않고 유지되고 있는 구단 중에 하나입니다. 참고로, 제가 확보한 두산 베어스의 심볼은 두산그룹이 2001년에 발간한 사보에서 확보했습니다.
두 번째 사진이 1996년부터 2002년까지 사용된 롯데 자이언츠의 심볼입니다. 롯데 자이언츠의 심볼도 2001년에 발간한 자료를 통해 확보하게 되었습니다. 이 시절 주형광, 손민한, 문동환, 공필성, 김민재, 박정태, 호세, 마해영 등이 활약하던 시기이고 롯데 자이언츠에게는 아쉬움이 남는 디자인이기도 합니다. 1999년 롯데 자이언츠가 한화 이글스에게 한국시리즈에서 패배했지만, 한국시리즈까지 흘러가는 여정이 각본이 없는 한 편의 드라마처럼 정말 멋있었습니다.
마지막 세 번째 사진이 1994년부터 2006년까지 사용된 한화 이글스의 심볼입니다. 한화 이글스의 심볼도 2001년에 발간한 자료를 통해 확보했고요. 제가 올린 한화 이글스의 심볼이 빨간색의 디자인을 사용하던 시절이기도 합니다. 동시에 한화 이글스가 1999년 한국시리즈에서 우승했던 소중한 추억을 간직하고 있는 자료이기도 하지요. 1999년 한화 이글스가 한국시리즈가 우승하던 시절에 송진우, 정민철, 데이비스, 장종훈, 로마이어, 이상목, 임주택, 김해님, 이영우 등이 활약했습니다.
두산 베어스, 롯데 자이언츠, 한화 이글스의 예전 자료들을 한 번 정리하자는 생각에서 이번 게시물을 통해 올려놓게 되었고요. 두산 베어스와 롯데 자이언츠는 2001년에 확보한 자료에서 엠블럼도 추가적으로 확보했기 때문에 이들 자료는 조만간 정리할 시간을 가질 생각입니다.
내일과 모레는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와 히로시마 도요 카프로 자료가 이어질 예정입니다. 관련 자료들을 순차적으로 올려놓도록 하겠습니다.
'요청 자료 및 기타 (要請 資料 其他)'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본 남자 농구 리그 B.리그 2부 리그 서부지구 참가팀 엠블럼 로고 Japan Professional Basketball League B.League Second Division Western District Participating Team Emblem Logo Vector
6월의 마지막 게시물로 일본 남자 농구 리그 B.리그의 2부 리그인 B2의 서부지구에 대한 자료들입니다.
6월의 마지막 게시물을 올려놓고 보면서 느끼는 점은 시간이 정말 빠르다는 것 말고는 다른 생각이 들지 않습니다. 어느덧 1년의 절반이 지났습니다. 누구에게나 공평하게 주어졌으면서도 동시에 아무런 감정도 없이 그냥 유유히 흘러가는 것이 시간인 것 같습니다.
일본 남자 농구 리그인 B.리그의 2부 리그인 B2는 총 열네 구단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동부지구와 서부지구가 각각 일곱 구단으로 편성되어 있습니다. 어제 동부지구를 올렸기 때문에 이번 게시물은 제목에서처럼 서부지구에 참가하고 있는 구단들이 주제가 되겠습니다. 서부지구에 참가하고 있는 구단들은 뱀비셔스 나라, 에히메 오렌지 바이킹스, 코베 스토크스, 쿠마모토 볼터즈, 라이징 제퍼 후쿠오카, 시가 레이크스, 벨텍스 시즈오카이고요. 사진의 순서는 상기한 순서와 동일합니다.
나무위키에 있는 설명이 맞지 않아서 B.리그의 공식 홈페이지를 참조해서 정리하게 되었고요. 나무위키도 B.리그의 공식 홈페이지에 있는 구단별로 별도의 정리가 필요하다는 생각입니다. 이번 게시물을 통해서 일본 남자 농구 리그인 B.리그의 2부 리그인 B2를 마무리짓게 되었고요. 3부 리그인 B3는 7월 초중순을 끝으로 마무리할 생각입니다. 일본 남자 농구 리그도 이른 시일 내에 끝마칠 계획을 갖고 있습니다.
일본 남자 농구 리그가 모두 정리되면 일본 여자 농구 리그인 W.리그와 일본의 럭비 리그인 NTT 재팬 럭비 리그 원의 참가 구단별 엠블럼을 정리할 구상을 갖고 있습니다.
내일은 우리나라 프로야구와 관련된 자료를 올리고요. 이어서 일본프로야구의 자료들도 간만에 정리해서 올려놓도록 하겠습니다.
'요청 자료 및 기타 (要請 資料 其他)'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본 남자 농구 리그 B.리그 2부 리그 동부지구 참가팀 엠블럼 로고 Japan Professional Basketball League B.League Second Division Eastern District Participating Team Emblem Logo Vector
어제 말씀드렸던 것처럼 일본 남자 농구 리그인 B.리그의 2부 리그를 올립니다.
일본 남자 농구 리그인 B.리그의 2부 리그인 B2는 1부 리그인 B1과 다르게 총 열네 구단들이 소속되어 참여하고 있고요. B.리그의 운영 방식에 대해서는 처음에 올렸던 1부 리그인 B1의 동부지구의 게시물을 참고하시면 될 듯 싶습니다. 2부 리그인 B2 리그는 앞서 말씀드렸던 것처럼 열 네 구단들이 있고, 동부지구와 서부지구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그래서 동부지구와 서부지구에 각각 일곱 구단들이 소속되어 리그에 참여하고 있습니다.
B2 리그도 동부지구와 서부지구로 나눠져 있기 때문에 이번 게시물을 통해서 동부지구와 관련된 구단들의 자료를 올릴 예정이고요. 내일 서부지구와 관련된 자료들을 올려서 마무리할 계획입니다.
B2 리그의 동부지구는 일곱 구단들이 참여하고 있으며 소속된 구단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알티리 치바, 아오모리 왓츠, 후쿠시마 화이어본즈, 이와테 빅불즈, 코시가야 알파즈, 니가타 알비렉스 BB, 야마가타 와이번즈로 구성되어 있고요. 사진의 순서도 상기한 순서와 동일합니다. 여기서 니가타 알비렉스 BB가 바로 일본프로야구의 팜인 2군에 참여하고 있는 오이식스 니가타 알비렉스 베이스볼 클럽과 같은 모그룹을 둔 구단입니다.
나무위키가 현재 승강제의 흐름을 반영하고 있지 못한 것 같아서 B.리그의 공식 홈페이지에 있는 1부와 2부에 소속된 구단들을 확인해서 게시물로 정리하게 되었고요. 제가 이번 게시물을 통해 올린 자료들을 나무위키를 비롯한 백과프로그램에 활용하시면 될 듯 싶습니다.
이것으로 일본 남자 농구 리그인 B.리그의 2부 리그인 B2에 속한 동부지구의 관련 자료들을 정리했고요. 이어서 서부지구에 속한 구단들을 올려서 2부 리그인 B2와 관련된 자료들을 모두 마무리짓도록 하겠습니다.
'요청 자료 및 기타 (要請 資料 其他)'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예전 대우그룹 계열사 대우자동차 대우자동차판매 대우전자 TANK 대우전자 대우전자주식회사 대우정밀 대우정밀주식회사 대우정보시스템 대우중공업 로고 모음
역사가 되었던 대우그룹의 계열사들 자료를 올려놓게 되었습니다.
대우그룹이 1999년에 기업개선작업에 들어가면서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지게 된지 어느덧 25주년이라는 시간이 흘렀습니다. 예전 자료들을 찾다가 대우그룹의 계열사과 관련된 자료들을 발견하면서 대우그룹의 해체가 벌써 25주년이라는 시간이 흘렀다는 걸 인식하게 됐습니다. 그래서 예전 대우그룹의 계열사들과 관련된 자료들을 확보하게 되었고요. 확보한 자료들을 이번 게시물을 통해서 정리할까 합니다.
제가 확보한 대우그룹의 계열사들은 대우자동차, 대우자동차판매, 대우전자의 브랜드였던 TANK, 대우전자와 대우전자주식회사, 대우정밀과 대우정밀주식회사, 대우정보시스템, 대우중공업입니다. 사진의 순서도 상기한 순서와 동일합니다.
대우정밀은 과거 국방부 산하 조병창이 민영화되어 대우그룹에 인수되어 탄생한 회사고요. 자동차 부품 제조 및 총기 제조 기업으로 유명합니다. 과거 M16이라던가 K-2 소총, 권총 등 각종 총기를 제작해서 군과 경찰에 납품하는 방산기업으로 생각하시면 되겠습니다. 대우정밀은 대우그룹이 해체되면서 기업개선작업을 거친 뒤 2006년 S&T그룹에 인수됐고요. 인수된 이후 S&T대우라는 이름으로 운영되다가 2011년 S&T모티브로 사명이 변경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습니다.
제가 이번 게시물을 통해 올린 자료들을 나무위키를 비롯한 백과프로그램에 활용하시면 될 듯 싶고요. 내일과 모레 이틀 동안에는 일본의 남자 농구 리그인 B.리그의 2부 리그인 B2와 관련된 자료들을 모두 마무리짓도록 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