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영혼

그토록 고대하던 8000호를 담지 못한 아쉬움을 뒤로한 채 석포역으로 향했다.

 

 

솔직히 한 번이 아니라 두 번을 모두 놓쳤던 탓에 마음 속으로 전해지는 씁쓸함이 더했다.

 

 

씁쓸함과 아쉬움을 뒤로 하고 태백에서 석포로 가기 위해 하루에 두 번 밖에 없다던 시내버스에 몸을 실었다. 태백을 벗어나는 동안 탄광 도시라는 이미지에서 주듯 화창한 날씨와 대비되는 우중충한 이미지였는데, 동점역을 지나 태백과 봉화의 경계지점은 육송정이라는 곳에 이르렀을 때 반전이 일어나기 시작했다. 

 

 

육송정에서 아름다운 비경이 조금씩 펼쳐지기 시작하더니 석포로 가는 시멘트로 포장된 도로폭이 좁은 1차선 군도를 달릴 무렵 비경이 점점 아름다운 모습을 갖춰가기 시작했다. 살면서 이런 모습을 마주해본 적이 없던 터라 속으로 이런 곳도 있다는 것을 새삼스레 실감했다.

 

 

40분이 지나 석포 마을에 도착할 수 있었다.

 

 

 

 

 

 

 

 

 

 

오늘의 주제에기도 한 백두대간의 중심 희망 석포에 도착하였다. 

 

 

석포에 오면서 마주했던 감정은 신기함이었다. 아무 것도 없을 것 같던 시골 도로를 달려 도착한 장소에 시골이라는 분위기와는 전혀 어울릴 것 같지 않은 공장이 있고, 기차역을 중심으로 제법 규모가 있는 마을이 있어서였다. 처음해보는 경험에서 느껴지는 신기함과 생경함은 더했다. 신기하기도 했고, 생경하기도 했다.

 

 

이러한 처음 느껴보는 경험과 가는 동안 펼쳐진 아름다운 비경을 바탕으로 8000호대를 두 번 놓쳤던 아쉬움과 씁쓸함이 많이 누그러뜨릴 수 있었다.

 

 

백두대간의 중심, 희망 석포라는 표지석 뒤로 보이는 공장이 바로 영풍제련소이다. 참고로, 영풍문고의 그 영풍이 맞다. 커다란 도시에 비할 바가 아니겠지만, 그래도 이러한 시골 마을에 있을 건 다 있다. 관공서부터 노래방도 있을 정도로 다른 시골역들과는 다르게 역세권이 튼실한 편에 속한다. 

 

 

석포역 앞에 위치한 제련소와 역 주변에 형성된 마을이 석포역의 존재 이유가 되겠다.

 

 

 

 

 

 

 

 

 

 

○ 석포역의 역사

 

 

- 1956년 1월 1일  영업 개시

 

 

- 1957년 1월 17일  구 역사 신축 준공

 

 

- 1971년  ㈜영풍 전용선 신설

 

 

- 1996년 12월 20일  현 역사 신축 준공

 

 

- 2006년 5월 1일  소화물 취급 중지

 

 

- 2016년 7월 4일  석포역 근처 굴현터널에서 영동선 무궁화호 열차 탈선 사고 발생

 

 

 

 

 

1971년부터 영풍제련소의 전용선이 신설됐으니 제련소와 석포역의 역사가 긴 시간 동안 함께해온 셈이다. 긴 시간 동안이나 영동선 철도가 태백을 지나서 만나는 경상북도의 첫번째 관문이 되는 기차역이기도 하겠다. 동시에 봉화에서 가장 북쪽에 있는 기차역이기도 하다.

 

 

역사를 보면 마치 충북선의 그것이 생각나는 건 순전히 기분 탓일 것이다. 역사가 욕설로 통용되는 철의 형태를 띄고 있는데, 충북선의 모습을 그대로 복붙해서 넣은 것이 아닌가 할 정도의 착각마저 불러일으킨다. 사실, 석포역과 가장 똑같은 형태의 역은 아이러니하게도 강원도 영월에 있는 태백선의 쌍룡역이라고 한다.

 

 

석포역도 여객보다는 화물이 주가 되는 역이고, 쌍룡역도 여객보다는 화물이 주가 되는 역이다. 다만, 비철금속과 화학물질을 취급하는 석포역과 시멘트를 비롯한 광물을 취급하는 쌍룡역의 취급 품목이 다른 차이가 있다. 여기에 승차권 발매를 하고 있는 석포역과 달리 쌍룡역의 경우 2017년 6월 무렵 동백산역과 함께 승차권 발매가 중단됐다고 한다.

 

 

 

 

 

 

 

 

 

 

모순이라는 말을 바로 이런 곳에 두고 하나 보다. 주변 마을도 편안한 풍경이고, 주변 경치는 꽤 아름다운 편인데 반해, 이러한 마을과 경치와는 전혀 어울릴 것 같지 않은 제련소가 자리잡고 있어서였다.

 

 

 

 

 

 

 

 

 

 

길게 생긴 역사와는 달리 맞이방 내부는 보이는 게 전부다. 즉, 여객취급과 승차권발매도 하긴 하지만, 여객취급과 승차권발매는 어디까지나 부라는 의미. 역 앞에 있는 제련소에 필요한 화물취급이 주라는 의미.

 

 

인터넷에 보여진 사진과는 달리 맞이방 내부도 많이 바뀐 것 같다. 제일 먼저 눈에 띄는 건 철도청 시절의 마스코트이자 캐릭터였던 치포치포가 뜯겨졌고, 맞이방의 한 가운데에 달려 있던 샹들리에도 떨어져 나갔다. 샹들리에가 차지하고 있던 자리에는 LED 전등으로 바뀌어져 있었다. 맞이방 한 편에 와이파이도 설치되어서 짧은 시간 동안 편리했다.

 

 

또, 승차권 매표창구 위에 있던 열차시간표와 여객운임표가 옆으로 옮겨져 보다 깔끔한 형태로 정리되었다.

 

 

 

 

 

 

 

 

 

 

매표창구 옆에 안전 강조 포스터들이 보이는데, 화물취급이 주가 된 역이고, 각종 화학물질을 취급하는 특성 탓에 주의를 환기시키는 목적이 더욱 강했을 것이다.

 

 

매표창구 옆에 있는 열차시간표와 여객운임표를 보면, 무궁화호가 4왕복이고, 이 중에서 강릉과 부산을 오고가는 1691, 1692 무궁화호 열차는 주말 한정으로 다니는 열차이니 평일의 경우에는 무궁화호 3왕복이 전부라는 이야기다. 여객열차 편수가 극히 드물다고 느껴지겠지만, 무궁화호 1671, 1672, 1673, 1674, 1681, 1682, 1691, 1692 이 열차들이 영동선 구간을 운행하는 모든 열차이다.

 

 

여기에 봉화에 있는 임기, 현동, 승부, 분천 같은 경우 4왕복, 3왕복의 열차가 전부 운행을 하지도 않는다는 점을 감안해보면, 석포역이 영동선에서는 나름 규모가 큰 역이라고 하겠다.

 

 

석포는 임기, 현동, 승부, 분천에 비해 주변 역세권 형성이 되어서 1왕복, 2왕복이 더 정차하는 셈이다. 여객수요야 도토리 키재기겠지만, 봉화에 위치한 다른 역들에 비해서는 그래도 여객수요가 있는 편에 속한다.

 

 

 

 

 

 

 

 

 

 

근본적으로 시골역은 시골역만이 주는 정겨움을 가지고 있다. 도시에서는 느낄 수 없는 포근한 모습을 간직하고 있다는 점이 그렇다.

 

 

화물이 주가 되는 역이지만, 역 한 편에 놓여진 돌탑처럼 이 속에서 뭔가 정겨움을 추구했다는 점이 눈길을 사로 잡는다.

 

 

 

 

 

 

 

 

 

 

제련소를 등지고, 광장 방향을 바라본 역사의 풍경은 편안함을 더해준다. 붉은 벽돌로 밋밋해보이는 역사를 뒤로한 마을이 정겹다.

 

 

살아가면서 보는 시각에 따라 얼마든지 달라질 수 있음을 다시 한번 실감한다.

 

 

 

 

 

 

 

 

 

 

위에 있는 사진이 태백, 철암 방면이고, 아래에 있는 사진이 승부, 봉화 방면이다.

 

 

가는 방향에 상관없이 영동선의 굽이 도는 철길의 모습, 산과 강, 계곡이 전해주는 절경과 비경이 전해주는 아름다운 풍경을 마주하게 된다. 석포역을 떠난 열차는 그게 상행이던 하행이던 산과 강, 계곡을 따라 굽이굽이 돌아 목적지로 향하게 된다.

 

 

 

 

 

 

 

 

 

 

유개화차를 비롯한 각종 화차들로 역 구내가 상당히 부산스럽다. 내가 갔을 때도 업체 직원들과 석포역의 직원들이 부지런히 역을 오고가고 있었을 정도였다.

 

 

영주 기점 76.8㎞.

 

 

플랫폼에서 석포역이 영주 기점으로 76.8㎞에 위치해있음을 빼꼼히 알려주고 있었다. 영주와 봉화 간의 행정구역상으로도 붙어있는 데 반해, 거리로는 꽤 멀다라는 걸 알려주고 있는 지표라 생각한다.

 

 

동시에 봉화 땅이 얼마나 넓은지도 알려주는 또 한가지의 사실이기도 하다.

 

 

 

 

 

 

 

 

 

 

1682 무궁화호 열차를 기다리는 사람은 나를 포함해 총 3명이었다. 빈약한 열차편수처럼 여객수요도 다른 연선들에 비해 턱없이 부족한 편이었다.

 

 

8000호대를 놓친 아쉬움과 달리 석포역의 파노라마 사진은 괜찮게 나왔다. 가기도 힘든 탓에 구하기 힘든 석포역의 승차권과 입장권까지 얻었으니 마이너스가 있으면 플러스가 있나 보다.

 

 

여기에 아름다운 비경과 전혀 어울리지 않는 제련소의 모습, 아기자기한 석포 마을 등 다양한 생각들이 스쳐지나갔던 날이 아니었나 싶다.

 

 

 

 

 

 

 

 

 

 

늘 그랬던 것처럼 항상 마지막은 파노라마 사진이 되겠다.

 

 

보면 알겠지만, 사진도 잘 나왔고, 깨끗하게 나왔다고 느껴진 사진이라 만족감이 배가 된다.

 

 

뭔가 어울릴 것 같지 않은 존재들이 원하던 원하지 않던 조화되어 놓여진 모습이 내겐 한편으로 여러 생각을 갖게 한다. 하다못해 사람마다도 전부 제각각이지 않은가.

 

 

마이너스가 있으면 플러스가 있는 것처럼 살아가는 게 다 그런 게 아닐까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