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영혼

역 포스팅을 정말 오랜만에 하는 것 같다. 워낙 바쁘기도 빠쁘다는 이유로 숨 돌릴 틈이 없이 살아가고 있으니까...

 

그래서일까... 그래서 그런지 몰라도 가끔 기차를 타고, 어디든 떠나고 싶다는 생각이 늘 자리잡고 있다.

 

새해 첫 날 무작정 떠났던 곳 중에 하나가 바로 동백산역이었다.

 

사실, 동백산역은 그저 스쳐 지나가는 곳이었다.

 

 

○ 동백산역의 역사

 

- 1975년 2월 1일 태백신호장으로 영업 개시

 

- 1984년 12월 1일 동백산역으로 역명 변경

 

- 1988년 12월 15일 보통역으로 승격 및 화물취급 지정

 

- 2007년 6월 1일 여객취급 중지

 

- 2009년 10월 31일 화물취급 중지

 

- 2009년 11월 24일 솔안터널 공사에 따른 임시역사로 역무 이전

 

- 2012년 6월 27일 솔안터널 개통과 동시에 신 역사에서 여객취급 개시, 태백선측의 동백산을 분기로 격하

 

- 2017년 6월 7일 승차권 창구발매에서 승차권 차내취급으로 전환

 

 

동백산역의 역사를 보듯 포스팅을 작성하는 지금에서 보듯 동백산역은 그야말로 다사다난했다.

 

원조 "태백"역이라는 이름을 가지고 있다가 황지역에게 "태백"이라는 상징을 가진 이름을 뺐긴 데다 여객영업의 취급과 중지를 반복하는 건 물론이거니와 역사도 수차례 이전한 어찌보면 파란만장한 존재야말로 동백산역이 증명하는 게 아닐까 싶다.

 

그러면서도 동백산역은 하나의 승리자(?)이기도 했는 데, 나한정, 흥전, 심포리, 통리역이 솔안터널의 개통됨에 따라 여객취급과 동시에 승차권 발매역으로 지정되며 격세지감을 느끼지 않았을까 싶을 정도였다.

 

 

 

 

 

동백산역에 도착하자마자 플랫폼에 발을 디뎠을 때 뭔가 이질감이 느껴졌다. 왜냐하면, 영동선에 있는 역들과는 사뭇 다른 분위기를 내뿜었기 때문이다. 역명판이야 그렇다 치더라도 역사 분위기며 모든 것이 내가 알고 있던 영동선과는 다른 느낌이었다.

 

 

 

 

93이라는 숫자가 둘러보다 나타났는 데, 영주역을 기점으로 동백산역이 93㎢에 위치하고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이 날 동백산역에서 내린 사람은 본인 단 한 사람뿐. 내가 내릴 때 탑승한 사람은 아무도 없었다. 결국 여객전무는 주변을 둘러보다 사람이 없는 것을 확인하고 무궁화호와 함께 목적지인 부전역으로 떠났다. 

 

영동선에서 다소 보기 힘든 달대식 역명판부터 새롭게 지어진 역사답게 꽤 세련됨을 가진 동백산역이었지만, 내린 순간부터 이질감에다가 스산한 기운만 잔뜩 느끼고 있었다. 새해 첫날부터 왠지 모를 상념에 잠겨있었다고 해야할까...

 

한편, 한보에너지라는 푯말이 뭔가 눈에 낯익었다. 모 지상파 방송에서 방영한 "태양의 후예"란 드라마의 촬영지로 널리 알려진 곳이다. 물론, 태양의 후예란 드라마를 시청하지는 않았는데, 워낙 유명했던 배우들이 출연했던 터라 지인들을 통해 알게 되었다. 지금은 영화 촬영지로 알려지며 사람들의 발걸음을 이끄는 곳이라고 한다.

 

 

 

 

 

역사 내부도 깨끗했다. 새로 지은 역답게 환경은 확실히 깔끔해서 보기 좋았다. 다만, 스쳐 지나가는 곳이라 그런지 몰라도 과거 통리역과 비교해볼 때 체면이 영 말이 아니었다. 통리역은 열차를 이용하는 사람들도 제법 됐던 데다 대한민국에서는 보기 드문 "스위치백"의 방식으로 접근하는 역이었기에 덕후들에게도 뭔가 인기가 있고 특색있는 역이었던데 반해 동백산역은 사진에서 보는 것처럼 정동진으로 가는 무궁화호 열차를 이용하기 위해 기다리는 어떤 나이지긋하신 분 한분뿐이었다. 

 

동백산역과 함께한 운명인 솔안터널의 개통은 많은 부분을 바꾸어 놓았다.

 

우선, 확실히 편해졌다. 스위치백이 철도원들에게 있어 위험한 방식이기도 한 데다가 시간도 많이 잡아먹기에 시간에 쫓기는 이들에게 원성을 들을 수도 있는 존재였다.

 

시간도 단축되었다. 솔안터널로 삼척 도계역에서 태백의 첫 관문인 통리역 시절보다 현재 동백산역으로 바뀐 시점이 더욱 가까워졌다. 그만큼 현재 트렌드에 맞게 바뀌었다고 보는 게 타당할 것이다.

 

다만, 스위치백이 사라지며 감성이 뭔가 메말라감을 느낀다. 실제로 스위치백이 없어진다고 할 때 굳이 철도에 관심이 없는 사람일지라도 기회를 만들어 이용했을 정도로 인기를 끌었던 존재였다.

 

사진에서 보는 것처럼 통리역과 달리 사람들에게 멀어지며 스쳐 지나가는 존재가 되면서 철도에서 정의하고 있는 역과 사람들이 일상적으로 생각하는 역의 차이가 크게 생겼다는 점도 생각해봐야 할 대목이기도 하다. 

 

 

 

 

동백산역의 창구로 가서 가고자 했던 목적지의 승차권을 구매하고, 입장권도 몇 장 발권했다. 물론, 이때 내가 발권한 승차권과 입장권이 어엿한 가치를 지니게 될 줄이라곤 꿈에도 몰랐다. 

 

 

 

 

과거 통리역 못지않게 주말열차를 제외하곤 나름 착실하게 운행되고 있었다.

 

 

 

 

역사밖이라고 해도 크게 다르지 않았다. 새롭게 단장한 역답게 깔끔함과는 달리 스산한 기운만 느껴질 정도로 크게 대비되었다. 택시승차장에는 택시기사들이 기약없이 사람들만 기다릴 뿐이었다. 

 

 

 

 

역의 특성상 동백산역은 사람들에게 운동을 요하고 있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맞이방으로 갈 때도 걸어 올라가는 것을 권하고 있으며, 플랫폼으로 갈 때도 걸어 올라가는 것을 권하고 있었다.

 

다만, 역사는 뭔가 판에 박힌 역사들과는 달리 지어졌다는 점은 칭찬받기에 충분하다고 생각한다.

 

 

 

 

표지판이 빼꼼히 동백산역임을 알려주고 있으나 동백산역이먈로 스쳐 지나가는 존재인 것 같아 안타까울 뿐이다. 스쳐 지나가는 존재일지라도 뭔가 사람들에게 주목을 받고, 보다 발전되는 방향으로 나아갔으면 하는 게 속마음이다. 무관심만큼 사람을 비참하게 만드는 것도 없을테니까.

 

 

 

 

세련됨과 스산함이라는 다소 모순적인 모습을 보며 돌아오는 시간 동안 쓸데없는 상념에 잠기기도 했다. 아깝기도 하고 말이다.

 

 

그래도 맞이방에서 기다리시던 어떤 나이지긋하신 분과 함께 뛰어오던 어떤 아주머니와 같이 기차를 이용했던 터라 이전보다는 분명 큰 발전이 있었다. 또한, 이 날 영동선에서 보기 힘든 새마을호를 보게 되었는데 이 새마을호는 다음달로 미루기로 한다.

 

 

이 날 동백산역의 매표창구에서 발권한 승차권과 입장권이 하나의 전설이 될지는 앞서 말한 것처럼 꿈에도 몰랐다. 내가 발권한지 불과 6달 뒤에 승차권 차내취급역으로 전환되면서 더이상 발매역에 동백산역으로 찍힐 수가 없게 되었으니 말이다.

 

 

새마을호도 보고, 발권할 수 없는 승차권과 입장권을 가지게 되었으니 그것만으로 충분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