루트인 베이스볼 챌린지 리그의 자료를 정리해야 할 것 같아서 올립니다.
2021년을 끝으로 루트인 베이스볼 챌린지 리그의 참가 구단들 중에서 서부지구에 해당하는 토야마 GRN 썬더버즈, 이시카와 밀리언 스타즈, 후쿠이 와일드 랩터스, 오션 시가 블랙스가 별도의 리그를 구성합니다. 그러니까 현재 루트인 베이스볼 챌린지 리그에서 떠난다는 이야기입니다.
2020년과 2021년 각각 코로나의 여파로 루트인 베이스볼 챌린지 리그는 동부지구, 중부지구, 서부지구로 세 개의 조로 나눠서 진행했는데요. 바로 동부지구는 이바라키 애스트로 플래닛츠, 토치기 골든 브레이브스, 사이타마 무사시 히트 베어즈, 카나가와 퓨처 드림스로 구성됐고요. 중부지구는 군마 다이아몬드 페가수스, 후쿠시마 레드 호프스, 니가타 알비렉스 베이스볼 클럽, 시나노 그랜드 세로우즈로 구성됩니다. 서부지구는 앞서 말씀드린 토야마 GRN 썬더버즈, 이시카와 밀리언 스타즈, 후쿠이 와일드 랩터스, 오션 시가 블랙스로 구성되고요. 그래서 서부지구가 별도로 나가서 새로운 살림을 차린다는 의미입니다.
2021년까지 루트인 베이스볼 챌린지 리그는 12개 구단 체제로 운영됐습니다만, 서부지구에 해당하는 토야마 GRN 썬더버즈, 이시카와 밀리언 스타즈, 후쿠이 와일드 랩터스, 오션 시가 블랙스가 별도의 리그를 구성하면서 2022년부터 8개 구단 체제로 운영됩니다. 토야마 GRN 썬더버즈, 이시카와 밀리언 스타즈, 후쿠이 와일드 랩터스, 오션 시가 블랙스가 새롭게 구성할 독립리그의 자료들은 제가 확보하는 대로 별도의 게시물로 올려놓을 예정입니다.
제가 올린 사진도 바로 동부지구, 중부지구, 서부지구의 순서대로 올려놓았습니다.
첫 번째 사진이 이바라키 애스트로 플래닛츠, 두 번째 사진이 카나가와 퓨처 드림스, 세 번째 사진이 사이타마 무사시 히트 베어즈, 네 번째 사진이 토치기 골든 브레이브스입니다. 여기까지가 바로 동부지구에 해당합니다.
다섯 번째 사진이 후쿠시마 레드 호프스, 여섯 번째 사진이 군마 다이아몬드 페가수스, 일곱 번째 사진이 니가타 알비렉스 베이스볼 클럽, 여덟 번째 사진이 시나노 그랜드 세로우즈입니다. 여기까지가 바로 중부지구에 해당합니다.
아홉 번째 사진이 후쿠이 와일드 랩터스, 열 번째 사진이 이시카와 밀리언 스타즈, 열한 번째 사진이 오션 시가 블랙스, 마지막 열두 번째 사진이 토야마 GRN 썬더버즈입니다. 여기까지가 서부지구에 해당하며 2022년을 기점으로 새로운 독립리그를 창설하여 구성합니다.
루트인 베이스볼 챌린지 리그에 대해서 대대적으로 새로운 소식과 관련된 자료들을 함께 정리해야 할 것 같아서 올렸고요. 나무위키에는 베이스볼 챌린지 리그의 항목으로 검색하시면 해당 구단들이 나올 것입니다. 그래서 제가 올린 자료들을 나무위키를 비롯한 백과프로그램에 정리해 주셨으면 하는 마음이고요. 토아먀 GRN 썬더버즈 ,이시카와 밀리언 스타즈, 후쿠이 와일드 랩터스, 토야마 GRN 썬더버즈가 만들 새로운 독립리그와 관련된 자료들은 추후 본 블로그에 별도의 게시물로 올려놓도록 하겠습니다.
'일본 프로야구 로고 및 마스코트 (日本 プロ野球 L&M ) > 일본독립리그 JAPAN Independent Baseball Leagu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코쿠 아일랜드 리그 플러스의 참가팀들을 정리합니다.
제가 어제 2021년을 맞아 새롭게 디자인된 코치 파이팅 독스의 엠블럼을 올리면서 기존에 있던 구단들과 함께 정리할 생각을 갖게 됐고요. 그래서 이번 게시물을 시코쿠 아일랜드 리그 플러스의 참가팀들과 관련된 엠블럼들을 이번 게시물을 통해서 정리하겠습니다.
첫 번째 사진이 시코쿠 아일랜드 리그 플러스의 공식 엠블럼입니다. 두 번째 사진이 토쿠시마 인디고 삭스, 세 번째 사진이 에히메 만다린 파이렛츠, 네 번째 사진은 카가와 올리브 가이너즈, 마지막 다섯 번째 사진이 2021년을 맞아 새롭게 디자인된 코치 파이팅 독스가 되겠습니다.
제가 올린 자료들이 2021년 현재 기준 시코쿠 아일랜드 리그 플러스의 모든 엠블럼들입니다. 코치 파이팅 독스의 자료를 새롭게 찾은 만큼 정리하고 넘어가는 게 좋을 것 같아서 별도의 게시물로 올리게 됐습니다. 이번 기회로 독립리그의 자료들도 올릴 수 있어서 기쁘게 생각합니다.
시코쿠 아일랜드 리그 플러스는 이 정도에서 마무리하고요. 내일은 시멘트회사와 콜라보레이션이 되고 있는 자료를 올려 두도록 하겠습니다.
'일본 프로야구 로고 및 마스코트 (日本 プロ野球 L&M ) > 일본독립리그 JAPAN Independent Baseball Leagu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말 오래간만에 독립리그의 자료를 올리게 됐습니다.
일본의 대표적인 독립리그인 시코쿠 아일랜드 리그 플러스의 참가 구단인 코치 파이팅 독스의 2021년 기준 최신 엠블럼을 확보했습니다. 얼마 전에 확보하면서 2020년까지 사용된 코치 파이팅 독스의 엠블럼과 함께 올려서 정리할 생각이었는데요. 드디어 정리의 시기가 찾아왔습니다.
코치 파이팅 독스는 2005년에 창단된 구단이고요. 2005년에 시작된 시코쿠 아일랜드 리그 플러스와 맞물려 원년 구단이기도 합니다. 홈구장은 코치현야구장을 사용 중에 있고, 2009년 독립리그 그랜드 챔피언을 필두로 리그 연간 우승 2005년, 2009년에 달성했습니다. 리그 우승 역시도 2005년, 2006년 전반기, 2009년 후반기에 달성한 바가 있습니다. 2005년의 리그 연간 우승을 달성한 구단이라 독립리그계의 로얄로더이기도 합니다.
2005년부터 2020년까지 사용된 코치 파이팅 독스의 엠블럼은 스스무 마츠시타 엔터프라이즈가 디자인했는데요. 올해 2021년을 맞아 변경된 코치 파이팅 독스의 엠블럼은 스스무 마츠시타 엔터프라이즈가 아닌 오오이와 래리 마사시가 디자인했습니다. 오오이와 래리 마사시는 세이부 라이온즈,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의 유니폼과 로고 등을 디자인했습니다. 그 외에 다른 종목에서도 무수히 많은 구단들의 디자인 제작 작업을 주도했고요. 오오이와 래리 마사시가 디자인을 주도하면서 코치 파이팅 독스는 시코쿠 아일랜드 리그 플러스에 속한 다른 구단들과 차별화된 디자인을 갖게 됐습니다.
첫 번째 사진이 시코쿠 아일랜드 리그 플러스의 공식 엠블럼이고요. 두 번째 사진이 2005년부터 2020년까지 사용된 코치 파이팅 독스의 구형 엠블럼입니다. 마지막 세 번째 사진이 이번 게시물의 하이라이트인 2021년에 새롭게 디자인된 코치 파이팅 독스의 현재 엠블럼이 되겠습니다.
세 번째 사진을 이용하셔서 나무위키를 비롯한 백과프로그램에 활용하시면 될 듯 하고요. 독립리그의 자료들도 확보되는 대로 별도의 게시물로 순차적으로 정리하도록 하겠습니다. 이어서 시코쿠 아일랜드 리그 플러스의 최신화된 디자인으로 마무리지을까 합니다.
'일본 프로야구 로고 및 마스코트 (日本 プロ野球 L&M ) > 일본독립리그 JAPAN Independent Baseball Leagu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본의 대표적인 독립리그인 루트인 베이스볼 챌린지 리그의 참가 구단인 후쿠이 와일드 랩터즈의 엠블럼입니다.
후쿠이 와일드 랩터즈는 본래 명칭이 후쿠이 미라클 엘리펀츠였습니다. 후쿠이 미라클 엘리펀츠는 2008년에 창단하여 2019년까지 베이스볼 챌린지 리그의 호쿠리쿠지구, 어드밴스드 웨스트에 속했습니다. 2019년 12월 12일에 구단의 경영진이 변경됨에 따라 후쿠이 미라클 엘리펀츠에서 후쿠이 와일드 랩터즈로 팀명도 바뀌었습니다.
2020년부터 코로나로 인해 서부지구의 속하게 됐고요. 후쿠이 미라클 엘리펀츠에서 후쿠이 와일드 랩터즈로 팀명을 변경해서 2021년 기준 현재까지 이어오고 있는 구단입니다. 정해진 홈구장은 없지만, 후쿠이 스포츠 공원 야구장을 실질적인 홈구장으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첫 번째 사진이 2008년부터 2019년 12월 11일까지 사용된 후쿠이 미라클 엘리펀츠의 엠블럼, 두 번째 사진이 이번 게시물의 하이라이트인 2019년부터 현재까지 사용되고 있는 후쿠이 와일드 랩터즈의 엠블럼입니다. 마지막 세 번째 사진이 후쿠이현의 하키 구단인 후쿠이 베르코스타가 되겠습니다.
후쿠이현의 이름을 딴 후쿠이랍토르와 후쿠이사우루스가 있을 정도로 공룡의 발자국과 화석이 여럿 발견될 정도로 공룡이 유명한 지역입니다. 후쿠이 와일드 랩터즈와 후쿠이 베르코스타 역시 공룡을 구단의 모티브로 활용했음을 알 수 있습니다. 후쿠이 와일드 랩터즈의 엠블럼도 'Born To Be Wild'라는 문구가 생각날 만큼 정감이 많이 갑니다.
후쿠이 와일드 랩터즈를 확보하면서 루트인 베이스볼 챌린지 리그의 소속 구단들을 별도의 게시물로 추후에 정리하고 넘어갈 생각이고요. 주니치 드래곤즈의 85주년 기념 엠블럼과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즈의 팜 팀 엠블럼을 이어서 올려놓도록 하겠습니다.
'일본 프로야구 로고 및 마스코트 (日本 プロ野球 L&M ) > 일본독립리그 JAPAN Independent Baseball Leagu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본의 대표적인 독립 리그인 루트인 베이스볼 챌린지 리그에 속한 후쿠시마 레드 호프스의 엠블럼입니다.
2021년을 맞아 후쿠시마 레드 호프스도 구단의 공식 엠블럼을 변경하였는데요, 후쿠시마 레드 호프스의 공식 엠블럼을 제가 확보함에 따라 이번 게시물에 올려놓게 되었습니다.
첫 번째 사진과 두 번째 사진이 각각 메인 마스코트이자 여성 마스코트인 키보와 노조민입니다. 2010년대 중반에 제가 확보한 자료를 정리하는 차원에서 올렸고요. 세 번째 사진과 네 번째 사진이 2020년까지 사용된 공식 엠블럼과 워드마크의 순서입니다. 마지막 다섯 번째 사진이 이번 게시물의 하이라이트인 2021년에 새롭게 디자인된 공식 엠블럼이 되겠습니다.
후쿠시마 레드 호프스는 루트인 베이스볼 챌린지 리그의 중부지구에 속한 구단이고요, 2015년에 창단하여 지금까지 운영되고 있는 구단 중에 하나입니다.
루트인 베이스볼 챌린지 리그와 관련해서 제가 조만간 시간을 내서 정리할 예정이고요. 독립 리그의 자료들도 착실하게 갖춰지도록 힘쓰겠습니다.
'일본 프로야구 로고 및 마스코트 (日本 プロ野球 L&M ) > 일본독립리그 JAPAN Independent Baseball Leagu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와카미 칸사이 독립 리그의 참가 구단들입니다.
2021년을 기준으로 사와카미 칸사이 독립 리그의 참가 구단들은 총 네 구단이 참여하고 있습니다. 06 불즈인 제로로쿠불즈, 코베 산다 브레이버즈, 사카이 슈라이크스, 와카야마 파이팅 버즈가 주인공들이고요. 현재의 사와카미 칸사이 독립 리그는 1차 칸사이 독립 리그, 베이스볼 퍼스트 리그를 거쳐 2차 칸사이 독립 리그를 의미합니다. 2020년에 사와카미 재단이 칸사이 독립 리그의 타이틀 스폰서로 참여하면서 사와카미 칸사이 독립 리그의 명칭을 얻게 되었습니다.
현재 사와카미 칸사이 독립 리그의 경기 방식은 팀당 18경기고요. Home And Visitor 방식입니다. 그래서 홈 9경기, 비지타 9경기를 펼치게 되는 것이지요.
1차 칸사이 독립 리그, 베이스볼 퍼스트 리그, 2차 칸사이 독립 리그, 사와카미 칸사이 독립 리그를 통틀어 코베 산다 브레이버즈가 2011년부터 참가하였기 때문에 가장 오래된 역사를 자랑하고 있고요. 다음으로 제로로쿠불즈가 2011년 창단, 2012년에 리그 참가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와카야마 파이팅 버즈와 사카이 슈라이크스가 각각 2017년과 2019년부터 리그에 참가하고 있는 중입니다.
첫 번째 사진이 제로로쿠불즈, 두 번째 사진이 코베 산다 브레이버즈, 세 번재 사진이 사카이 슈라이크스, 마지막 네 번째 사진이 와카야마 파이팅 버즈입니다. 이들 사진은 모두 기본형 엠블럼이 되겠습니다.
사와카미 칸사이 독립 리그를 여기서 정리하고요. 구단기의 순서로 TBS 테레비가 모기업이던 요코하마 베이스타즈의 시절로 이어집니다.
'일본 프로야구 로고 및 마스코트 (日本 プロ野球 L&M ) > 일본독립리그 JAPAN Independent Baseball Leagu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와카미 칸사이 독립 리그에 속한 코베 산다 브레이버즈의 엠블럼입니다.
코베 산다 브레이버즈라고 그래서 신생 구단이 창단한 것은 아니고요, 바로 이전의 명칭이 효고 블루산다즈였습니다. 그러니까 효고 블루산다즈가 코베 산다 브레이버즈로 팀명을 새롭게 변경된 것이지요. 운영 주체가 바뀐 게 팀명 변경의 주된 이유입니다.
과거 효고 블루산다즈는 1차 칸사이 독립 리그 시절때 창단된 유서 깊은 구단이고요. 2011년에 창단해서 베이스볼 퍼스트 리그, 2차 칸사이 독립 리그까지 이어져 왔던 터줏대감이기도 합니다. 2011년부터 2020년까지 효고 블루산다즈로 운영되었고요, 올해인 2021년부터 코베 산다 브레이버즈로 팀명이 변경됐습니다.
사와카미 칸사이 독립 리그에 속한 구단들의 엠블럼이 모두 갖춰졌기 때문에 추후에 소속 구단들의 엠블럼들을 별도의 게시물로 정리할 예정입니다. 독립리그의 자료들도 착실히 갖출 수 있도록 힘쓰겠습니다.
코베 산다 브레이버즈에 이어 주니치 드래곤즈의 구단기들도 한 번 정리하고 넘어가도록 하겠습니다.
'일본 프로야구 로고 및 마스코트 (日本 プロ野球 L&M ) > 일본독립리그 JAPAN Independent Baseball Leagu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요즘 들어 깨끗하게 운영이 되고 있는 독립리그 중에 하나인 칸사이 독립 리그와 관련된 자료를 올립니다.
바로 칸사이 독립 리그에 속한 와카야마 파이팅 버즈의 심볼, 워드마크, 엠블럼, 마스코트들을 모두 확보하면서 이번 게시물에 올리게 됐습니다.
와카야마 파이팅 버즈는 2016년에 창단하여 2017년부터 칸사이 독립 리그의 전신인 베이스볼 퍼스트 리그에 참여하기 시작하면서 지금에 이르고 있습니다. 리그의 성적은 중상위권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베이스볼 퍼스트 리그는 2018년을 끝으로 이전 명칭인 칸사이 독립 리그로 되돌아왔고요, 그래서 칸사이 독립 리그는 일본의 위키백과를 보면 1기와 2기로 나뉘는 걸 확인할 수 있습니다.
현재 칸사이 독립 리그는 사와카미 재단이 2020년 12월부터 타이틀 스폰서를 차지함에 따라 정식 명칭은 사와카미 칸사이 독립 리그로 불리고 있습니다.
첫 번째 사진과 두 번째 사진이 각각 와카야마 파이팅 버즈의 심볼과 워드마크고요. 세 번째 사진과 네 번째 사진, 다섯 번째 사진과 여섯 번째 사진이 모두 엠블럼이고요. 약식이냐 정식이냐의 차이가 존재합니다. 첫 번째 사진을 보시고 의아하실 수 있으실텐데요. 와카야마 파이팅 버즈의 경우 심볼이 엠블럼으로 대체되어 사용되고 있습니다. 여섯 번째 사진이 구형 엠블럼이지요. 일곱 번째 사진과 여덟 번째 사진이 마스코트인 토리와카마루가 되겠습니다.
와카야마 파이팅 버즈는 싸우는 새로 표현했습니다만, 디자인이 싸움닭으로 보입니다. 닭을 모티브로 한 것으로 보이고요. 닭을 모티브로 해서 참신하게 느껴집니다.
제가 추후에 사와카미 칸사이 독립 리그의 참가 구단들을 정리할 예정이고요, 이어서 일본프로야구의 교류전 엠블럼을 올려놓도록 하겠습니다.
'일본 프로야구 로고 및 마스코트 (日本 プロ野球 L&M ) > 일본독립리그 JAPAN Independent Baseball Leagu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번에는 간만에 독립리그로 이어집니다.
이번 게시물은 칸사이 지역을 대표하는 칸사이 독립 리그와 관련이 있는데요. 칸사이 독립 리그에 소속된 사카이 슈라이크스가 주인공이 되겠습니다. 사카이 슈라이크스는 제가 전에 워드마크를 올린 적이 있었는데요. 이번에 엠블럼과 마스코트인 라이파치쿤을 확보함에 따라 기존에 올린 워드마크와 함께 정리하는 차원에서 게시물로 함께 올렸습니다.
첫 번째 사진이 사카이 슈라이크스의 엠블럼, 두 번째 사진이 사카이 슈라이크스의 엠블럼과 폰트의 결합형, 세 번째 사진이 사카이 슈라이크스의 마스코트인 라이파치쿤, 마지막 네 번째 사진이 기존에 올렸던 사카이 슈라이크스의 워드마크가 되겠습니다.
칸사이 독립 리그와 관련된 자료들은 완벽하게 갖춰지는 대로 별도의 게시물로 정리할 예정이고요. 독립리그의 경우 참가 구단이나 리그의 운영이 수시로 변동되고 일본프로야구처럼 일정하지 않은 부분이 많아 시일이 걸리는 점을 양해해 주셨으면 합니다.
사카이 슈라이크스에 이어 삿포로 돔의 20주년 기념 엠블럼을 확보함에 따라 삿포로 돔과 관련된 자료를 다음 게시물에서 마무리지을까 합니다.
'일본 프로야구 로고 및 마스코트 (日本 プロ野球 L&M ) > 일본독립리그 JAPAN Independent Baseball League' 카테고리의 다른 글
SK 와이번스의 엠블럼을 올리기 전에 먼저 오션 시가 블랙스의 엠블럼부터 올리겠습니다.
오션 시가 블랙스는 일본의 대표적인 독립리그인 루트인 베이스볼 챌린지 리그의 소속 구단이고요. 코로나로 인해 리그 재편성으로 현재는 토야마 GRN 썬더버즈, 이시카와 밀리언 스타즈, 후쿠이 와일드 랩터즈와 함께 서지구에 소속되어 활동하고 있는 구단입니다.
오션 시가 블랙스의 이전 명칭은 2019년까지 오션 시가 유나이티드 베이스볼 클럽이었고요. 파트너십 계약에 따른 명명권으로 인해 오션 시가 유나이티드 베이스볼 클럽의 명칭으로 활동했습니다. 그리고, 2020년부터 오션 시가 블랙스로 명칭이 변경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지요.
오션 시가 블랙스의 감독은 90년대 중후반 치바 롯데 마린즈의 클로저로 활약했던 나리모토 토시히데입니다.
독립리그들도 제가 시간과 여건이 되는 대로 대대적으로 정리하고 넘어갈 예정이고요, 관련 자료들도 완벽하게 갖출 수 있도록 각별히 신경쓰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