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영혼

 

 

 

 

 

BLAUBLITZ AKITA OFFICIAL FLAG Logo Vector.ai
0.13MB
RENOFA YAMAGUCHI OFFICIAL FLAG Logo Vector.ai
0.09MB
EHIME FC OFFICIAL FLAG Logo Vector.ai
0.09MB

 

 

 

 

 

 

어제 시작한 J2의 구단기가 오늘도 이어집니다.

 

 

이번 게시물도 특별한 사정이 없어서 J2의 구단기들을 주제로 선정해서 올려놓게 되었고요. 이번에 정리해서 올려놓은 구단들은 블라우블리츠 아키타, 레노파 야마구치, 에히메 FC입니다. 이들 구단들을 정리하면서 올려놓은 J2의 구단기들도 여섯 구단으로 늘어났습니다. 어제 말씀드린 바와 같이 J2의 구단기들도 가능한 이번 달 안으로 올려놓을 수 있는 자료들은 모두 올려놓을 구상입니다.

 

 

첫 번째 사진이 블라우블리츠 아키타의 구단기고요. 두 번째 사진이 레노파 야마구치의 구단기입니다. 마지막 세 번째 사진이 에히메 FC의 구단기가 되겠습니다.

 

 

지난번에 J2의 마스코트들을 올려놓을 때 에히메 FC의 마스코트는 확보하지 못한 반면 정작 구단기는 의외로 손쉽게 확보할 수 있었습니다. J2의 마스코트들은 에히메 FC, 제프 유나이티드 이치하라 치바만 확보하지 못한 상황이어서 에히메 FC의 구단기를 봤을 때 여러 모로 아쉬움이 많이 남았습니다. 아직 확보되지 않은 에히메 FC와 제프 유나이티드 이치하라 치바의 마스코트들은 시간이 될 때마다 찾고 있고요. 확보하는 대로 별도의 게시물로 정리할 생각이며 정리하는 시기를 앞당길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내일도 특별한 사정이 없다면 J2의 구단기들을 정리해서 올려놓을 생각입니다. KIA 타이거즈의 2024년 한국시리즈 우승 기념 엠블럼과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즈의 2024년 일본시리즈 우승 기념 엠블럼도 지속적으로 자료들을 찾을 예정입니다. 일본의 배구 리그인 SV.리그와 V.리그의 구단별 엠블럼에 많은 변화가 있었는데요. 새롭게 변화된 엠블럼들을 확보하는 중에 있으며 확보하는 대로 별도의 게시물로 정리하도록 하겠습니다.

 

 

 

 

 

YOKOHAMA FC OFFICIAL FLAG Logo Vector.ai
0.11MB
IWAKI FC OFFICIAL FLAG Logo Vector.ai
0.38MB
FUJIEDA MYFC OFFICIAL FLAG Logo Vector.ai
0.13MB

 

 

 

 

 

 

어제 말씀드린 바와 같이 J2의 구단기들을 올려놓습니다.

 

 

특별한 사정이 없던 탓에 이번 게시물에서 J2의 구단기들을 정리하게 되었고요. J3, J1에 이어서 J2의 자료들도 이번 달 안으로 정리할 수 있는 자료들은 모두 올려놓으려고 합니다. 그래서 J리그와 관련된 구단기들은 이번 달 안으로 마무리지을 수 있는 방향으로 갈 생각입니다. J2의 시작은 제목에서처럼 요코하마 FC, 이와키 FC, 후지에다 MYFC입니다.

 

 

첫 번째 사진이 요코하마 FC의 구단기고요. 두 번째 사진이 이와키 FC의 구단기입니다. 마지막 세 번째 사진이 후지에다 MYFC의 구단기가 되겠습니다.

 

 

근래 J2의 일부 구단들이 디자인을 변경하면서 구단기도 함께 변경된 경우가 있어서 확인하기로 두 구단 정도는 J1, J3와 마찬가지로 시일이 걸릴 것으로 판단되고요. 디자인이 그대로 유지되고 있는 구단들은 앞서 말씀드린 것처럼 이번 달 안으로 별도의 게시물을 통해 모두 올려놓을 생각입니다. 이와키 FC는 확보한 자료가 이미지여서 당황했는데 다른 자료를 통해서 벡터 자료가 온전히 보존되어 있어서 불행 중 다행으로 자료를 정리할 수 있었습니다.

 

 

내일은 어떻게 될 지 모르지만, 가능하다면 새로운 자료를 정리해서 올릴 생각이고요. 내일 역시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J2의 구단기들을 이어서 정리해서 올려놓도록 하겠습니다.

 

 

 

 

 

2021 신한은행 SOL KBO ALL STAR GAME 엠블럼 로고.ai
0.65MB
2021 신한은행 SOL KBO 포스트시즌 엠블럼 로고.ai
0.19MB
2021 신한은행 SOL KBO 한국시리즈 엠블럼 배경 로고.ai
0.12MB

 

 

 

 

 

 

요청을 받았던 KBO의 2021년 자료들을 드디어 올려놓습니다.

 

 

코로나가 한창 유행이던 2021년 KBO의 자료들을 확보하는 데 애로사항들이 여럿 있었는데요. 요청을 받아서 확보할 수 있을까란 의구심이 떠나지 않았는데 일부 자료는 완벽하게 일부 자료는 다소 아쉬움이 남는 형태로 확보하게 되었습니다. 2021 신한은행 SOL KBO 포스트시즌 공식 엠블럼과 2021 신한은행 SOL KBO 한국시리즈 공식 엠블럼을 요청을 받았는데요. 여기에 기존에 확보하고 있던 2021 신한은행 SOL ALL STAR GAME 공식 엠블럼까지 2021년과 관련이 깊던 KBO의 자료들을 모두 정리하게 되었습니다.

 

 

첫 번째 사진이 2021 신한은행 SOL ALL STAR GAME 공식 엠블럼이고요. 두 번째 사진이 2021 신한은행 SOL KBO 포스트시즌 공식 엠블럼입니다. 마지막 세 번째 사진이 2021 신한은행 SOL KBO 한국시리즈 공식 엠블럼이 되겠습니다.

 

 

앞서 말씀드린 바와 같이 첫 번째 사진의 2021 신한은행 SOL ALL STAR GAME 공식 엠블럼은 기존에 확보한 자료를 정리하는 차원에서 올려놓은 것이고요. 두 번째 사진이 2021 신한은행 SOL KBO 포스트시즌 공식 엠블럼은 4도에 맞게 완벽하게 확보된 자료입니다. 여기까지는 좋은데 반해 마지막 세 번째 사진에 있는 2021 신한은행 SOL KBO 한국시리즈 공식 엠블럼은 2도의 형태입니다. 그라데이션이 적용되지 않고, 색상만 반영된 형태입니다. 4도에 맞는 자료가 확보됐으면 했는데 유감스럽게도 2도의 형태만 확보할 수 있었습니다. 2021 신한은행 SOL KBO 한국시리즈 공식 엠블럼은 볼 때마다 여러 모로 아쉬움이 가득합니다.

 

 

KBO의 공식 발간 자료나 보도자료에 올라오지 않는 경우는 보통 저작권과 연관된 부분이 많을 겁니다. 그래서 벡터가 적용되지 않는 것이고요. 다양한 경로를 통해서 확보하려고 했는데요. 여기서 확보하기는 쉽지는 않을 것으로 사료됩니다. 한국시리즈의 경우에는 시간이 되는 대로 찾아보겠지만 몹시 어려울 것으로 생각됩니다.

 

 

관련된 자료들은 나무위키를 비롯한 백과프로그램에 활용하시면 될 듯 싶고요. 올해는 2021년과 2022년처럼 일본시리즈의 우승 기념 엠블럼을 확보하는 데 시간이 걸릴 것으로 생각됩니다. 한신 타이거스와 히로시마 도요 카프를 제외하면 대체적으로 센트럴리그의 구단들은 확보하기가 수월한 편이 아니라서 시일이 걸릴 것으로 판단됩니다. KIA 타이거즈의 한국시리즈 우승 기념 엠블럼과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즈의 일본시리즈 우승 기념 엠블럼은 확보하는 대로 바로 정리해서 올려놓을 생각이고요. 내일은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J2의 구단기들을 이어서 정리하도록 하겠습니다.

 

 

 

 

 

ALBIREX NIIGATA OFFICIAL FLAG Logo Vector.ai
0.12MB
HOKKAIDO CONSADOLE SAPPORO OFFICIAL FLAG Logo Vector.ai
0.09MB
VISSEL KOBE OFFICIAL FLAG Logo Vector.ai
0.07MB
CEREZO OSAKA OFFICIAL FLAG Logo Vector.ai
0.12MB
SANFRECCE HIROSHIMA OFFICIAL FLAG Logo Vector.ai
0.08MB

 

 

 

 

 

 

어제에 이어서 J1의 구단기들을 마저 올려놓습니다.

 

 

이번 게시물이 J1의 구단기들과 관련하여 잠정적으로 마지막 게시물이 될 듯 싶습니다. 제가 어제 감바 오사카도 함께 예고했습니다만, 감바 오사카가 몇 년 전에 구단의 디자인을 대대적으로 변경하면서 구단기도 함께 바뀌었는데요. 제가 확보한 자료가 유감스럽게도 벡터가 아닌 이미지 파일이었습니다. 크기를 확대했을 때 깔끔해서 벡터로 생각했습니다만, 일러스트레이터를 통해 확인한 결과 레스터라이징을 실행시켜서 이미지로 변경한 파일이었습니다. 그래서 감바 오사카를 제외하고요. 알비렉스 니가타, 홋카이도 콘사돌레 삿포로, 빗셀 코베, 세레소 오사카, 산프레체 히로시마를 정리해서 올려놓도록 하겠습니다.

 

 

첫 번째 사진이 알비렉스 니가타의 구단기고요. 두 번째 사진이 홋카이도 콘사돌레 삿포로의 구단기입니다. 세 번째 사진이 빗셀 코베의 구단기이고요. 네 번째 사진이 세레소 오사카의 구단기입니다. 마지막 다섯 번째 사진이 산프레체 히로시마의 구단기가 되겠습니다.

 

 

기왕에 올려놓게 되는 자료들이 한꺼번에 완벽하게 정리되면 좋은데 한 두 구단이 디자인의 변경되면서 어긋나게 되는 경우가 생겨서 안타까운 마음입니다. 그래서 FC 도쿄와 감바 오사카의 경우에는 추후에 확보되는 대로 별도의 게시물로 완벽하게 정리하도록 하겠습니다.

 

 

이번 게시물을 통해서 잠정적으로 J1의 구단기들을 정리하게 되었고요. 조만간에 J2의 구단기들도 정리할 생각입니다. 좋은 소식과 나쁜 소식이 한 가지가 있습니다. 제가 2021 KBO 포스트시즌 공식 엠블럼과 2021 한국시리즈 공식 엠블럼에 대해서 요청을 받았는데요. 좋은 소식에 대해서 말씀드리면 2021 KBO 포스트시즌 엠블럼은 온전하게 확보했습니다. 이어서 나쁜 소식을 말씀드리면 2021 한국시리즈 공식 엠블럼은 그라데이션이 완벽하게 적용된 4도 자료가 아니라 그라데이션이 아닌 일반적인 색상과 검은색 배경이 적용된 2도 자료를 확보한 상태입니다. 2021 KBO 포스트시즌 공식 엠블럼은 좋은 소식인데 반해 2021 KBO 한국시리즈 공식 엠블럼은 확보하고도 찝찝함이 묻어난다고 해야 할까요. 개인적으로도 몹시 유감스럽습니다.

 

 

내일 2021년 KBO와 관련된 자료들을 정리해서 올려놓을 생각이고요. 드디어 기분을 좋게 만드는 2021 KBO 포스트시즌 공식 엠블럼과 찝찝하게 만드는 2021 KBO 한국시리즈 공식 엠블럼을 정리해서 올려놓도록 하겠습니다.

 

 

 

 

 

KAWASAKI FRONTALE OFFICIAL FLAG Logo Vector.ai
0.17MB
YOKOHAMA F・MARINOS OFFICIAL FLAG Logo Vector.ai
0.12MB
AVISPA FUKUOKA OFFICIAL FLAG Logo Vector.ai
0.11MB

 

 

 

 

 

 

간만에 J리그와 관련된 J1의 구단기들을 정리합니다.

 

 

KIA 타이거즈의 한국시리즈 우승과 요청을 받았던 V-리그, KBL과 관련된 자료들을 먼저 정리하면서 J리그와 관련된 자료들이 순서에서 많이 밀렸습니다. 어느 정도 자료들이 정리되면서 J리그로 다시 눈을 돌릴 수 있게 되었고요. 오늘과 내일 정도를 잡아서 J1의 구단기들을 대부분 정리할 구상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번 게시물을 통해서 카와사키 프론탈레, 요코하마 F・마리노스, 아비스파 후쿠오카의 구단기들을 먼저 올려놓을 생각입니다.

 

 

첫 번째 사진이 카와사키 프론탈레의 구단기고요. 두 번째 사진이 요코하마 F・마리노스의 구단기입니다. 마지막 세 번째 사진이 아비스파 후쿠오카의 구단기가 되겠습니다.

 

 

카와사키 프론탈레, 요코하마 F・마리노스, 아비스파 후쿠오카의 구단기를 올려놓으면서 J1의 잔여 구단들은 일곱 구단들이고요. 일곱 구단들 중에서 FC 도쿄의 디자인이 대대적으로 변경됐기 때문에 FC 도쿄를 제외하고 나머지 잔여 여섯 구단들의 구단기들을 내일 정리하려고 합니다. J1의 구단기들도 어느 정도 정리되어 갑니다. 

 

 

이번 게시물을 통해서 J1의 구단기들을 간만에 정리했고요. 내일은 빗셀 코베, 세레소 오사카, 산프레체 히로시마, 홋카이도 콘사돌레 삿포로, 감바 오사카, 알비렉스 니가타의 구단기들을 모두 정리해서 올려놓도록 하겠습니다.

 

 

 

 

 

KIA 타이거즈 2024 KBO 리그 우승 기념 엠블럼 로고.ai
0.12MB
KIA 타이거즈 2024 한국시리즈 우승 전면 광고.pdf
1.86MB

 

 

 

 

 

 

KIA 타이거즈의 2024 KBO 리그 우승 기념 엠블럼과 2024년 한국시리즈 우승 전면광고입니다.

 

 

KIA 타이거즈의 2024년 한국시리즈 우승 기념 엠블럼을 확보하려고 시간과 노력을 경주했지만, 확보하지 못해서 몹시 유감입니다. 확보해서 올려놓을 수 있었으면 좋았는데 그렇지 못해서 몹시 속상합니다. 그래서 요청도 있었으며 개인적으로 고민한 끝에 현재까지 확보된 KIA 타이거즈의 2024 KBO 리그 우승 기념 엠블럼과 2024년 한국시리즈 우승 전면광고를 함께 정리해서 올려놓는 방향으로 수정했습니다.

 

 

첫 번째 사진이 KIA 타이거즈가 2024 KBO 리그 우승 기념 엠블럼입니다. 두 번째 사진이 KIA 타이거즈가 달성한 2024년 한국시리즈 우승의 여운을 느끼게 하는 전면 광고가 되겠습니다.

 

 

제가 KIA 타이거즈의 팬도 아니고 호남 출신은 아닙니다만, 이종수가 전북 출신이셔서 호남과는 나름대로 인연이 있습니다. 그래서 KIA 타이거즈의 한국시리즈 우승이 각별합니다.

 

 

KIA 타이거즈는 2024년 한국시리즈의 우승을 통해서 연대별로 우승했으며 한국시리즈에서는 절대 강자라는 변함없는 사실을 증명했습니다. KIA 타이거즈는 과거 해태 타이거즈의 시절부터 한국시리즈만 진출하면 반드시 승리한다는 명성과 자존심을 모두 지켜 내는 데 성공했습니다.

 

 

대한민국에서 가장 아픈 역사를 가진 호남은 야구로 아픔을 승화해 왔으며 해태 타이거즈와 기아 타이거즈는 아픔을 간직하고 있는 호남에게 있어서 큰 자부심이었습니다. 제 나름대로 KIA 타이거즈의 우승을 축하하는 우승콜이었고요. KIA 타이거즈의 2024년 한국시리즈의 우승과 V12 달성을 진심으로 축하합니다.

 

 

 

 

 

NEW WAVE KITAKYUSHU EMBLEM Logo Vector.ai
0.10MB
NEW WAVE KITAKYUSHU MASCOT WAVY Logo Vector.ai
0.12MB
NEW WAVE KITAKYUSHU MASCOT WAVY ORIGINAL Logo Vector.ai
0.12MB
NEW WAVE KITAKYUSHU MASCOT WAVY WORDMARK Logo Vector.ai
0.06MB

 

 

 

 

 

 

기라반츠 키타큐슈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뉴 웨이브 키타큐슈의 자료를 올려놓습니다.

 

 

뉴 웨이브 키타큐슈와 기라반츠 키타큐슈는 연고지뿐만 아니라 정말로 깊은 연관이 있는데요. 바로 기라반츠 키타큐슈의 이전 명칭이 바로 뉴 웨이브 키타큐슈였습니다. 기라반츠 키타큐슈는 1947년에 창단한 미츠비시 화학공장의 축구팀으로 창단했는데요. 2001년 J리그 참가를 목표로 삼고 뉴 웨이브 키타큐슈로 팀명을 변경합니다. 동시에 이때 기업구단에서 시민구단으로 전환하는 과정이 있었고요. 그래서 2001년부터 2009년까지 뉴 웨이브 키타큐슈의 이름으로 운영됐으며 2010년을 맞아 기라반츠 키타큐슈로 팀명을 변경한 이후 현재에 이르고 있습니다.

 

 

첫 번째 사진이 뉴 웨이브 키타큐슈의 엠블럼이고요. 두 번째 사진과 세 번째 사진이 각각 뉴 웨이브 키타큐슈의 메인 마스코트이자 기란의 이전 명칭인 웨이비입니다. 마지막 네 번째 사진이 뉴 웨이브 키타큐슈의 메인 마스코트인 웨이비의 워드마크입니다.

 

 

기라반츠 키타큐슈의 게시물때도 말씀드렸습니다만, 뉴 웨이비 키타큐슈의 메인 마스코트 시절에는 웨이비라는 이름을 갖고 있었으며 웨이비라는 이름을 기라반츠 키타큐슈와 함께 하려고 했습니다만, 명명권과 상표권에 저촉되면서 기란으로 변경됐습니다. 큐슈 지방의 제1도시인 후쿠오카와 제2도시인 키타큐슈는 꼭 다녀오고 싶은 곳입니다. 제가 좋아하는 치바 롯데 마린즈의 후쿠오카 비지타 일정에 맞춰서 미즈호 PayPay 돔 후쿠오카와 키타큐슈 시민 구장을 다녀올 계획이고요. 키타큐슈 시민 구장에서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의 경기 일정을 확인해서 구장과 관련된 사진과 기타 자료들을 정리할 생각을 갖고 있습니다.

 

 

본래는 J1에 해당하는 구단기들을 이어서 정리하려고 했습니다만, 며칠 전에 뉴 웨이브 키타큐슈의 엠블럼과 마스코트인 웨이비를 함께 확보하면서 게시물의 순서를 정정하게 됐습니다. 내일은 KIA 타이거즈의 2024 KBO 리그 우승 기념 엠블럼을 정리해서 올려놓을 방침이고요. 동시에 KIA 타이거즈의 2024년 한국시리즈 우승 기념 지면도 함께 올려놓을 생각입니다. J1에 해당하는 구단기들은 19일과 20일 정도 이어서 정리할 생각입니다.

 

 

내일은 KIA 타이거즈의 2024 KBO 리그 우승 기념 엠블럼을 올려놓도록 하겠습니다. 기라반츠 키타큐슈의 메인 마스코트인 기란은 다음 주소를 참고하시면 됩니다.

 

 

https://flytoazuresky.tistory.com/485348

 

기라반츠 키타큐슈 마스코트 기란 홈구장 미쿠니 월드 스타디움 키타큐슈 로고

이틀 전에 말씀드렸던 것철머 기라반츠 키타큐슈와 관련된 자료들을 정리하겠습니다.  이번 게시물을 통해서 정리하는 자료들은 기라반츠 키타큐슈의 마스코트인 기란과 홈구장인 미쿠니 월

flytoazuresky.tistory.com

 

 

 

 

 

 

2005 KT&G V LEAGUE 엠블럼 로고.ai
0.07MB
NH농협 2009-2010 V리그 엠블럼 로고.ai
0.07MB
NH농협 2010-2011 V리그 엠블럼 로고.ai
0.06MB
NH농협 2013-2014 V리그 10주년 기념 엠블럼 로고.ai
0.10MB
NH농협 V리그 약식형 로고.ai
0.87MB
도드람 V-LEAGUE 2022 2023 엠블럼 로고.ai
0.21MB
도드람 V-LEAGUE 2023 2024 엠블럼 로고.ai
0.20MB
도드람 V-LEAGUE 2024 2025 엠블럼 로고.ai
0.06MB

 

 

 

 

 

 

V-리그와 관련된 요청 자료들을 이어서 올려놓습니다.

 

 

제가 도드람 V-리그 2022-2023, 2023-2024, 2024-2025 시즌의 공식 엠블럼들을 확보하는 데 성공했습니다. 그래서 도드람 V-리그와 관련된 자료들을 정리해서 올려놓게 되었고요. 올해를 기점으로 디자인이 변경된 자료들을 모두 확보해서 올려놓게 돼서 기쁘게 생각합니다. 도드람 V-리그뿐만 아니라 기존에 확보했던 원년의 KT&G V-리그를 필두로 NH농협 V-리그까지 정리하는 차원에서 함께 올려놓았습니다.

 

 

첫 번째 사진이 2005년 프로배구의 원년을 상징하는 KT&G 2005 V-리그 엠블럼이고요. 두 번째 사진, 세 번째 사진, 네 번째 사진, 다섯 번째 사진이 각각 NH농협 2009-2010 시즌, NH농협 2010-2011 시즌, 10주년을 기념했던 NH농협 2013-2014 시즌, NH농협 V-리그 약식형의 엠블럼들입니다. 여섯 번째 사진, 일곱 번째 사진이 각각 도드람 V-리그 2022-2023 시즌, 도드람 V-리그 2023-2024 시즌 엠블럼입니다. 마지막 여덟 번째 사진이 2024년을 맞아 새롭게 디자인된 도드람 V-리그 2024-2025 시즌 엠블럼이 되겠습니다.

 

 

지난번 V-리그와 관련된 게시물에서 말씀드렸습니다만, 2005년 원년 시즌과 2005-2006 시즌은 KT&G가 공식 타이틀 스폰서였고요. 2006-2007 시즌은 현대건설이 공식 타이틀 스폰서였으며 현대건설의 아파트 브랜드인 힐스테이트를 활용하였습니다. 2007-2008 시즌부터 2016-2017 시즌까지 NH농협이 공식 타이틀 스폰서로 활약했으며 2014-2015 시즌에 디자인이 한 번 변경됐습니다. 2017-2018 시즌부터 경기도 이천시에 본점을 둔 양돈을 가공 및 판매를 하는 협동조합인 도드람양돈협동조합이 공식 타이틀 스폰서로 리그의 명명권을 취득하여 현재에 이르고 있습니다. 여섯 번째와 일곱 번째 사진에 있는 디자인이 적용된 시점은 2018-2019 시즌부터입니다. 그러니까, 2017-2018 시즌은 기존과는 다른 디자인이었습니다.

 

 

2024년을 맞아 KOVO의 공식 엠블럼이 변경되면서 도드람 V-리그의 디자인도 이에 걸맞게 변경됐고요. 마지막 여덟 번째 사진으로 새롭게 디자인됐습니다. V-리그의 관련된 자료들을 여럿 확보하면서 이번 게시물을 통해 정리하게 됐습니다. KBL도 마찬가지지만, KOVO도 시즌별 엠블럼도 확보하는 대로 별도의 게시물로 정리할 수 있도록 힘쓸 생각입니다.

 

 

V-리그와 관련해서 안산 OK저축은행 러시앤캐시과 안산 OK저축은행 읏맨의 자료르 확보하는 데 성공했고요. 안산 OK저축은행 베스피드와 과거 아산 러시앤캐시 드림식스와 관련된 자료들도 확보하는 대로 별도의 게시물로 정리해서 올려놓도록 하겠습니다. 내일은 간만에 일본 J리그의 J1에 해당하는 구단기들을 이어서 정리하도록 하겠습니다.

 

 

 

 

 

삼성 하우젠 K리그 2004 엠블럼 로고.ai
0.07MB
삼성 하우젠 K리그 2008 엠블럼 로고.ai
0.09MB
경남 FC 2005 2010 엠블럼 로고.ai
0.10MB

 

 

 

 

 

 

K리그의 예전 자료들을 오랜만에 올려놓습니다.

 

 

K리그와 관련해서 별도로 자료에 대한 요청은 없었고요. V-리그와 관련된 자료를 찾다가 뜻하지 않게 확보된 경우입니다. K리그의 타이틀 스폰서 엠블럼도 기존에 확보한 2004년에 이어서 새롭게 확보한 2008년을 정리하는 차원에서 함께 올려놓게 되었고요. 동시에 경남 FC의 엠블럼이 현재 사용되고 있는 엠블럼 이전 시기에 사용된 자료가 있다는 걸 확인했고요. 이전 시기에 사용된 자료가 최근에 확보한 자료였기 때문에 K리그와 관련해서 이번 게시물에 정리하게 되었습니다.

 

 

첫 번째 사진이 삼성 하우젠 K리그 2004의 엠블럼이고요. 두 번째 사진이 삼성 하우젠 K리그 2008의 엠블럼입니다. 삼성그룹의 대표 계열사인 삼성전자가 2000년부터 2008년까지 K리그를 공식적으로 메인 스폰서로 후원했습니다. 그래서 타이틀 스폰서의 자격을 갖게 되었던 거고요. 물론, 2001년은 포스코가 공식적으로 메인 스폰서로 후원했기 때문에 2001년을 제외하더라도 삼성그룹이 오랜 기간 동안 K리그를 후원했다는 사실을 새삼스럽게 알게 되었습니다. 첫 번째 사진은 예전에 올려놓았던 자료인데 정리하는 차원에서 올렸고요. 두 번째 사진이 삼성전자가 K리그에 마지막으로 후원하는 시즌을 의미하는 자료이기도 합니다. 2008년까지 삼성전자가 스폰서로 참여했으니까요.

 

 

마지막 세 번째 사진이 경남 FC의 2005 2010 엠블럼이 되겠습니다. 현재 경남 FC의 엠블럼은 찾아본 바에 따르면 2010년에서 2011년 무렵에 디자인돼서 현재까지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했습니다. 경남 FC가 창단한 시기가 2005년이기 때문에 마지막 세 번째 사진에 올려놓은 자료가 2005년부터 2010년까지 사용된 것으로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처음 경남 FC의 엠블럼을 발견했을 때 지금까지 사용하는 자료인지 확인하는 과정을 거쳤는데 과거에 사용된 자료라는 것을 알고 정리해서 올려놓게 된 경우로 보시면 되겠습니다.

 

 

삼성 하우젠 K리그의 엠블럼들과 경남 FC의 2005 2010 엠블럼은 뜻하지 않게 확보된 경우입니다. 이런 경우들이 종종 있고요. 뜻하지 않았는데 확보된 경우라 놀라면서도 기쁜 마음이 큽니다. 그래서 KIA 타이거즈의 2024 한국시리즈 우승 기념 엠블럼과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즈의 2024 일본시리즈 우승 기념 엠블럼도 뜻하지 않게 확보됐으면 어떨까 하는 마음이 종종 들기도 합니다. 일본프로야구의 예전 자료들도 뜻하지 않았던 방향으로 확보되면 더욱 좋을 것 같고요.

 

 

관련 자료들은 나무위키를 비롯한 백과프로그램에 활용하시면 될 듯 싶고요. 프로야구의 피날레를 상징하는 두 디자인들을 조속히 확보할 수 있도록 각별히 신경쓰겠습니다. 내일은 제가 시간의 부족으로 인해서 블로그를 하루 쉬고요. 16일에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도드람 V리그의 타이틀 엠블럼을 정리해서 올려놓도록 하겠습니다.

 

 

 

 

 

부산 KTF 매직윙스 마스코트 위니 로고.ai
0.10MB
부산 KTF 매직윙스 마스코트 미니 로고.ai
0.09MB
부산 kt 소닉붐 마스코트 디바라 로고.ai
0.25MB
부산 kt 소닉붐 마스코트 디바라 올레와파 로고.ai
0.29MB
부산 kt 소닉붐 마스코트 올레와파 로고.ai
0.11MB
부산 kt 소닉붐 BOOMING-E 로고.ai
0.21MB

 

 

 

 

 

 

어제 말씀드렸던 부산 KTF 매직윙스와 부산 kt 소닉붐의 마스코트들을 모두 정리합니다.

 

 

부산 KTF 매직윙스와 부산 kt 소닉붐과 관련된 자료들이 생각했던 것보다 방대한 편이라서 엠블럼과 마스코트들을 별도의 게시물로 나눈 다음에 올려놓게 되었습니다. 나무위키를 비롯한 백과프로그램에 정리된 내용이 부실한 부분이 있어서 시간을 내서 찾아봤고요. 관련된 자료들을 정리해서 올려놓을 수 있게 됐습니다.

 

 

첫 번째 사진과 두 번째 사진이 각각 부산 KTF 매직윙스의 마스코트인 위니와 미니입니다. 첫 번째 사진이 위니고요. 두 번째 사진이 미니입니다. 세 번째 사진과 네 번째 사진, 다섯 번째 사진이 2009년부터 2011년까지 활약했던 부산 kt 소닉붐의 마스코트인 디바라, 디바라와 올레와파, 올레와파입니다. 세 번째 사진이 디바라고요. 다섯 번째 사진이 올레와파입니다. 네 번쨰 사진이 디바라와 올레와파가 함께 있는 모습이고요. 마지막 여섯 번째 사진이 2012년부터 수원으로 연고지를 이전하기 전인 2021년까지 활약했던 부산 kt 소닉붐의 마스코트인 BOOMING-E가 되겠습니다.

 

 

제가 자료들을 찾다 보니까 BOOMING-E가 빠져 있다는 걸 확인했고요. BOOMING-E와 관련된 자료를 확보하면서 정리하는 차원에서 함께 올려놓았습니다. 수원 kt 소닉붐의 마스코트 항목에 이번 게시물에 올려놓은 자료들이 반영되어야 하고요. 부산 KTF 매직윙스의 마스코트와 엠블럼의 조합형은 지난 게시물을 참고하시면 될 듯 싶습니다.

 

 

부산에 연고지로 있던 시절의 자료들을 모두 정리했고요. 관련 자료들이 나무위키를 비롯한 백과프로그램에 유용하게 활용됐으면 하는 마음입니다. KIA 타이거즈의 한국시리즈 우승 기념 엠블럼과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즈의 일본시리즈 우승 기념 엠블럼으로 인해서 애먹고 있는데요. 관련된 자료들도 조속히 확보할 수 있도록 각별히 신경쓰겠습니다.

 

 

내일은 삼성 하우젠 K-리그 2008 엠블럼과 경남 FC의 예전 엠블럼을 정리해서 올려놓도록 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