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영혼

 

 

 

 

 

SBS 창사 10주년 기념 엠블럼 로고.ai
0.07MB
안양 SBS 스타즈 마스코트 빛돌이 1997 로고.ai
0.07MB
안양 SBS 스타즈 엠블럼 로고.ai
0.73MB

 

 

 

 

 

 

6월은 클래식한 자료로 끝냅니다.

 

 

KBL과 관련한 고전 자료인 안양 SBS 스타즈의 메인 마스코트인 빛돌이의 자료를 확보해서 정리합니다. 안양 SBS 스타즈의 메인 마스코트인 빛돌이뿐만 아니라 모기업이었던 SBS의 창사 10주년 기념 엠블럼도 정리하는 차원에서 함께 확보해서 올려놓았습니다. 안양 SBS 스타즈는 현재 안양 정관장 레드부스터스의 전신입니다. 자료들을 정리하면서 안양 SBS 스타즈 시절 이후로 어떻게 흘렀는지 간단하게 말씀드리겠습니다.

 

 

첫 번째 사진이 SBS의 창사 10주년 기념 엠블럼이고요. 두 번째 사진이 안양 SBS 스타즈의 메인 마스코트인 빛돌이의 기본형입니다. 마지막 세 번째 사진이 안양 SBS 스타즈의 엠블럼이 되겠습니다. 당연히 빛돌이가 이번 게시물의 하이라이트이고요. SBS의 창사 10주년 기념 엠블럼과 안양 SBS 스타즈의 엠블럼을 함께 올려놓은 이유는 빛돌이와 연관됐기 때문입니다.

 

 

안양 SBS 스타즈는 1992년 3월 11일에 서울방송 실업농구단으로 창단합니다. 서울방송이 SBS로 명칭을 변경하고, KBL 프로농구가 정식으로 출범하면서 서울방송 실업농구단에서 안양 SBS 스타즈라는 이름과 함께 프로농구단으로 전환합니다. 그래서 안양 정관장 레드부스터스가 KBL 프로농구 원년을 기준으로 단 한 번도 연고지가 변경되지 않고 현재까지 유지되고 있는 구단 중에 하나입니다. SBS가 2005년 8월 16일까지 프로농구단을 운영했으며 2005년 8월 17일 KT&G에 농구단을 27억 원의 금액으로 매각합니다. 그러면서 안양 KT&G 카이츠, 안양 한국인삼공사, 안양 KGC인삼공사, 안양 정관장 레드부스터스로 구단의 이름이 변경됐지만, 모기업은 2005년 이래로 KT&G로 동일합니다.

 

 

안양 SBS 스타즈 시절에는 빛돌이의 단일 마스코트를 운영했고요. 빛돌이는 스타즈라는 명칭처럼 별을 기반으로 방송을 상징하는 위성 궤적과 슈팅 동작의 모습으로 농구단의 정체성에 맞게 디자인된 마스코트입니다. 제가 두 번째 사진으로 올린 빛돌이가 1997년에 프로농구 출범 당시에 디자인된 자료를 확보해서 올려놓은 것이고요. SBS가 2000년의 CI를 변경하면서 변경된 CI가 2005년까지 적용돼 활용됐습니다. 그래서 제가 확보한 자료는 1997년부터 2000년까지 사용된 자료라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2000년 이후로 변경된 CI를 적용된 자료는 확보하지 못해서 추후 확보할 경우 본 게시물에 추가할 예정입니다.

 

 

안양 SBS 스타즈의 메인 마스코트인 빛돌이는 연초에 확보했습니다. 그런데, 다른 게시물의 우선 순위에 밀리고 잊고 지내다가 최근에 발견해서 올려놓게 됐고요. 안양 KT&G의 마스코트도 확보하도록 힘쓸 생각입니다. KBL과 관련한 자료는 이쯤에서 마무리짓고요. 6월도 이렇게 지나가면서 2025년도 어느덧 절반이 지나갑니다. 7월에는 이직의 준비로 인해서 게시물의 빈도가 지금보다 줄어들 겁니다. 게시물을 올려놓는 정확한 날짜를 미리 예고해 드리기가 어렵습니다. 대략적으로 말씀드리는데 맞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점은 널리 양해해 주시기를 부탁드리고요. 필요한 자료가 있으시면 언제든지 말씀해 주십시오. 피드백은 느리지만, 확인하고 확보하는 대로 올려놓도록 하겠습니다. 일본프로야구, 고전 자료, J리그를 중심으로 올려놓을 계획이고요. 특별한 사정이 없다면 7월의 시작은 5일로 할 예정입니다. 7월에도 앞서 말씀드린 자료들을 틈틈이 올려놓도록 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