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타디움 오스트레일리아 텔스트라 스타디움 ANZ 스타디움 ACCOR 스타디움 로고
며칠 전에 말씀드렸던 호주와 관련한 내용은 스타디움 오스트레일리아입니다.
나무위키에 접속하다가 스타디움 오스트레일리아와 관련한 내용들을 보게 됐는데요. 스타디움 오스트레일리아에 속한 자료들이 현재에 맞게 반영되지 않고, 벡터로 적용되지 않아서 이번 게시물을 통해서 올려놓았다고 보시면 될 듯 싶습니다. 스타디움 오스트레일리아와 네이밍들을 함께 정리하였습니다.
첫 번째 사진이 2002년부터 2007년까지 사용된 텔스트라 스타디움의 엠블럼이고요. 두 번째 사진이 2008년부터 2010년까지 사용된 ANZ 스타디움의 엠블럼입니다. 세 번째 사진이 2010년부터 2020년까지 사용된 ANZ 스타디움의 엠블럼입니다. 마지막 네 번째 사진이 2021년 10월부터 사용되기 시작한 ACCOR 스타디움의 엠블럼이 되겠습니다.
스타디움 오스트레일리아는 1996년에 착공 및 기공에 들어가서 1999년에 완공된 경기장입니다. 호주 뉴사우스웨일스주 시드니 홈부쉬 지역의 올림픽 공원에 위치한 다목적 경기장이고요. 2000년 호주에서 개최된 시드니올림픽의 개회식과 폐회식이 열렸던 경기장이었으며 육상 종목이 개최됐습니다. 2003년 럭비 월드컵의 개최지이자 결승전이 펼쳐졌던 경기장이었습니다. 82,000명 정도를 수용할 수 있는 경기장이고요. 현재는 럭비를 주종목으로 운영되고 있는 경기장입니다.
스타디움 오스트레일리아의 명명권은 2002년에 처음으로 사용됐는데요. 통신 업체인 텔스트라가 명명권을 취득하면서 2002년 1월 1일부터 2007년 12월 31일까지 텔스트라 스타디움으로 명명됐습니다. 이후 2008년 1월 1일부터 ANZ은행이 명명권을 취득하면서 ANZ 스타디움으로 구장의 명칭이 변경됩니다. 중간인 2017년에 보다 좋은 계약 조건으로 ANZ 은행이 제시하면서 네이밍 권리를 이어졌고요. 2020년 11월까지 ANZ 스타디움이라는 이름이 이어집니다. 2020년 11월 30일부로 ANZ 은행과 체결한 구장의 명명권 계약이 종료됐고요. 2008년 1월 1일부터 2020년 11월 30일까지 장장 12년 이상 이어지던 ANZ 스타디움의 이름이 막을 내립니다. 2020년 12월 1일부터 2021년 10월 31일까지 본래 명칭인 스타디움 오스트레일리아로 사용되다가 프랑스에 기반을 둔 다국적 호텔 체인인 ACCOR가 구장의 명명권을 취득하면서 ACCOR 스타디움으로 구장의 명칭이 변경되면서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습니다.
스타디움 오스트레일리아의 명칭들을 시대별로 정리해서 다행스럽게 생각하고요. 현재까지 확보된 나머지 구장들도 순차적으로 정리할 생각입니다. 며칠 전에 아산 러시앤캐시 드림식스를 비롯하여 전남 드래곤즈와 포항 스틸러스의 과거 엠블럼, 1999년에 디자인된 두산 베어스의 마스코트들인 반달가슴곰과 회색곰의 기본형, 치바 롯데 마린즈의 2025년 시즌 공식 슬로건, 삼성 Fn.com 배 2000, 2001 프로야구 엠블럼, 삼성증권배 2002 프로야구 엠블럼까지 확보했습니다. 이들 자료들을 이번 달 말과 다음달 초에 순차적으로 정리해서 올려놓을 구상입니다. 제가 25일과 26일은 바빠서 블로그를 쉴 생각이고요. 27일에 호주와 관련된 쿠퍼스 스타디움의 자료를 정리해서 올려놓도록 하겠습니다.
'요청 자료 및 기타 (要請 資料 其他)' 카테고리의 다른 글
AAMI 파크 GIO 스타디움 캔버라 로고 (0) | 2025.03.28 |
---|---|
쿠퍼스 스타디움 2013-2023 2024-현재 로고 (0) | 2025.03.27 |
두산 베어스 1999-2009 2010-2024 2025-현재 엠블럼 로고 모음 (0) | 2025.02.27 |
한화 이글스 1994-2006 2007-2024 2025-현재 엠블럼 로고 (0) | 2025.02.25 |
우리나라에서 산이 들어가는 기초자치단체를 가장 많이 보유한 충청남도 서산시 논산시 아산시 금산군 예산군 로고 (2) | 2025.02.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