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영혼

 

마지막이라고 불러도 될 것 같습니다.

 

항공기행도 마지막인 사천공항에 도착하게 됐군요.^^

 

2016년의 한해도 사천공항과 마무리를 지을 수 있어서 홀가분한 마음이 큽니다. 물론, 시원섭섭한 감정도 덤이지요.^^;

 

원주공항부터 누누이 말씀드렸던 내용이지만, 원주공항, 군산공항, 사천공항이 개인적으로 정이 많이 가는 공항들입니다.

 

그 중 하나인 사천공항으로 화려한 피날레를 지을까 합니다.

 

 

 

 

 

 

 

사천공항은 한국전쟁 당시 주요 공군기지로 출발하게 됩니다. 정확한 연도를 알 수 없지만, 민항이 취항한 시기를 기점으로 풀어볼까 합니다.

 

1969년 대한항공이 김포 ↔ 사천 노선에 취항하게 되고요,

 

1970년 사천비행장이 정식으로 본격적인 비행장으로 거듭나게 되었고,

 

1973년 ∼ 1974년에는 여객청사 공사로 휴항을 거쳐

 

1975년 대한항공이 김포 ↔ 사천, 사천 ↔ 제주 노선으로 다시 취항하여 영업을 하게 됩니다.

 

1986년 현재 탑승수속을 밟는 출발 및 도착동이 건립되었으며,

 

1992년 아시아나항공 역시 김포 ↔ 사천 노선으로 영업을 시작하게 됐고요.

 

1994년 7월 현재 여객청사가 본격적으로 운영되기 시작합니다.

 

2000년 2월 ILS(계기착륙장치)가 설치되어 안전한 운항이 가능해졌습니다.

 

2010년 7월 1일 아시아나항공이 김포 ↔ 사천 노선을 폐지하고, 다음날인

 

2010년 7월 2일 아시아나항공이 사천 ↔ 제주 노선에 취항하게 되는데요, 사천 ↔ 제주 노선은 금/일 1일 1왕복으로 편성되었습니다.

 

2013년 4월 28일 중국남방항공이 상하이 ↔ 사천 노선에 부정기 노선에 취항하며 지금에 이르고 있습니다.

 

 

 

사천읍내 주변에서 사천공항을 향해 걷다보니 어느덧 사천공항의 이정표가 사천공항에 다다릅니다. 사실, 사천공항은 진주공항으로도 불리는데요, 사천공항이 과거 한국전쟁 당시 진주비행장이란 이름으로 쓰였기 때문입니다. 이후 직제가 사천공항으로 바뀌었지만, 진주비행장이었다는 점과 인근 진주시와 가깝다는 이유로 사천공항뿐만 아니라 현지에서는 진주공항으로 불리기도 합니다.

 

 

 

 

사천공항 여객청사와 그 주변을 둘러보면서 사천공항이 옛날 속초공항과 건물 양식이 꽤 유사하다는 것을 느낄 수 있었습니다. 단층 청사에 속초공항과 유사한 공항간판을 사용하고 있었고요. 속초공항과 강릉공항을 가볼 수가 없기에 군산공항과 사천공항에 느껴지는 감정이 더욱 각별했던 것 같습니다. ^^;

 

 

 

 

사천공항의 Kerbside입니다. 원주공항과 군산공항처럼 단층 청사이기에 사천공항의 Kerbside 역시 단촐합니다.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여객청사 내부에 들어가면 바로 나옵니다. 화분과 경남 지역의 관광지를 안내하는 사진들이 걸려 있어 아기자기한 분위기를 연출합니다. 사천공항은 그야말로 바로타 구조로 되어 있는 몇 안되는 공항입니다. 바로 탑승수속을 밟고 스텝카를 이용해 탑승하는 방식입니다. 원주공항과 달리 계류장이 여객청사 바로 앞에 위치하여 있어 램프버스를 타는 일이 없습니다.

 

 

 

 

사천공항 내부에 들어왔습니다. 위에 보시는 것처럼 자연채광도 가능한 것처럼 되어 있으나 면적이 극히 적고, 답사를 갔을 무렵 대한항공의 사천발 김포행의 KE1832편이 출발한 터라 공항분위기도 한산한데다 소등한 터라 공항내부가 다소 어두컴컴해 보였습니다.

 

 

 

 

제가 답사를 갔던 날이 금요일이라 대한항공의 김포 ↔ 사천 노선뿐만 아니라 아시아나항공과 대한항공의 사천 ↔ 제주 노선도 전광판에 표시된 모습을 볼 수 있었습니다.

 

 

 

 

항공사 카운터인데요, 사천공항에는 아시아나항공과 대한항공이 영업을 하고 있기에 이들 항공사의 카운터가 마련되어 있습니다. 다만, 아시아나항공의 경우 사천공항에 상주하고 있지 않고요, 금요일과 일요일 사천 ↔ 제주 노선이 영업할 때에는 인접 아시아나항공의 여수공항 직원들이 사천공항으로 와서 탑승수속을 처리한다고 합니다. 사천공항에는 대한항공만 상주하고 있다고 보시면 됩니다.

 

 

 

 

사천공항에는 세븐일레븐 편의점과 스낵바, 그리고 농협의 ATM이 있어서 조그만 공항치고는 나름 튼실하게 편의시설들이 갖춰져 있었고요, 농협의 환전소도 공간이 마련되어 있는데, 환전소의 경우 부정기 노선이 운항할 때 농협 직원들이 와서 업무를 처리한다고 하더군요.

 

 

 

 

아시아나항공과 대한항공의 항공사 카운터, 그리고 부산지방항공청 사천공항출장소와 한국공항공사 사천지사의 사무실입니다. 단층 청사라 옹기종기 모여있는 것을 볼 수가 있었습니다.

 

 

 

 

이제 밖으로 나와 슬슬 나설 채비를 합니다. 사천공항의 주차장이고요.

 

 

 

 

여객청사 창문이 있던 쪽에 어떤 나무판자가 붙어 있어 사뭇 궁금했었는데, 한국공항공사의 광고판이었더군요.ㅡ_ㅡ;

 

 

 

 

카메라에 꼭 담고 싶었던 사천공항의 여객청사 전경입니다. 창문도 그렇고, 건물 양식도 그렇고, 정말이지 영락없는 속초공항과 같은 모습이라 더더욱 옛 생각이 많이 납니다.

 

언제 할 수 있을지 캄캄했었는데, 과제를 끝마치게 되어 마음이 홀가분합니다.^^; 그래도 올해가 넘어가기 전에 끝낼 수 있어 참 다행이란 생각이 듭니다.

 

나중에 공항답사를 다시하라고 하면 못할 것 같습니다. 어렸을 때야 뭣 모르고 했다지만, 지금은 다시 할 엄두가 나지 않습니다. ^^;

 

그래도 젊은 날 공항답사라는 틀을 잡고, 전국 14개 공항을 둘러보고 전국 각지를 간접적으로나마 둘러볼 수 있다는 점에 큰 의미를 두고 있습니다.

 

결론은 힘들었지만, 대한민국은 참 넓다는 결론을 얻었습니다. 젊었을 때 겪었던 이 경험들이 나중에 언젠간 빛으로 발휘되고, 큰 자산이 될 것으로 믿어 의심치 않습니다.

 

이렇게 사천공항의 답사를 끝으로 항공기행도 마칠까 합니다.

 

다시 하라면 못 하겠지만, 포스팅을 풀어보며 옛 추억을 꺼내보고, 희희낙락 웃을 수 있다는 게 스스로에게 꽤 즐거웠습니다.

 

이것으로 전국 14개 공항 답사기는 마무리 짓도록 하겠습니다.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

 

 

도경리역과 더불어 간이역 답사를 마음먹은 순간부터 꼭 가보고 싶었던 역 중에 하나가 바로 승부역이다.

 

승부역은 찾아가기도 힘든 곳인데다 영동선 특유의 열차마저 많이 운행되지 않아 대한민국의 오지 중의 오지로 손꼽히는 곳 중에 하나이다.

 

날이 더웠지만 짜릿한 쾌감을 주던 곳이 바로 승부역이었다.

 

봄, 여름, 가을, 겨울 각각의 멋을 가진 역이야말로 승부역일 것이다. 각종 블로그의 여행기를 보면 계절마다 승부역의 멋을 담은 계절별 여행기가 끊임없이 올라오기 때문이다.

 

그만큼 오지에 있어 더욱 가고 싶은 호기심을 자극하는 역이었다.  

 

 

 

 

 

 

 

------------------

승부역은

 

하늘도 세평이요

 

꽃밭도 세평이나

 

영동의 심장이요

 

수송의 동맥이다

------------------

 

라는 시로 승부역의 모습을 함축적으로 담고 있겠다고 할 수 있다. 승부역의 상징인 이 시는 승부역에 근무했던 한 역무원이 쓴 시인데, 춥고 힘들고 오지속에 갇혀 지내던 간절한 마음을 그대로 보여주는 시라 하겠다. 뒤에 나오겠지만, 어찌보면 시가 쓰여진 표지석은 사본이고, 원본은 역사 우측에 나온다.

 

 

승부역의 역사를 보면 승부역은 순탄하지 않았던 역사를 고스란히 지니고 있는 역이었다.

 

1956년 1월 1일 현재 영동선의 근간이 되는 영암선이 개통되며 승부역은 바로 이때부터 영업을 시작한다.

 

1957년 7월 17일 과거 96년까지 존속했던 플랫폼 위의 역사가 완공되었으며

 

1983년 2월 15일 울진군에 속해있던 승부역이 행정구역 조정에 따라 봉화군으로 편입되었다.

 

1996년 9월 17일 현재 승부역의 역사가 완공되어 승부역이 도약하는가 싶었지만 이듬해

 

1997년 10월 15일 보통역에서 배치간이역으로 격하되었고,

 

2001년 9월 8일에는 배치간이역에서 신호장으로 떨어지면서 승부역이 아닌 승부신호장으로 처지가 말이 아니게 되었다.

 

물론, 1998년 환상선 눈꽃순환열차가 개통되기는 했지만, 이것만으론 승부역의 부흥을 이끌어내기에는 부족했을 것이다.

 

그러다 3년 뒤

 

2004년 12월 10일 신호장인 승부신호장에서 보통역인 승부역으로 다시 승격되어 지금에 이르고 있으며

 

2013년 2월 21일 영암선 개통기념비가 등록문화재로 승격이 되고,

 

같은 해 4월 12일 영동선의 부활에 조금이나마 보탬이 되었던 O트레인과 V트레인이 정차하게 되었으며, 일반열차인 무궁화호도 1691/1692 정동진 ↔ 부산 노선을 제외한 나머지 영동선 무궁화호는 모두 정차하는 역으로 변모했다.

 

보통역에서 배치간이역으로, 배치간이역에서 신호장으로, 신호장에서 다시 보통역으로 승격됐으니 승부역의 역사는 그야말로 파란만장한 시대의 풍파를 모두 겪은 산증인이라 할 수 있겠다.

 

 

 

 

 

 

 

'승부역에 오심을 환영합니다.'라는 문구를 보며 드디어 승부역에 왔음을 실감할 수 있었다. 오지에 온 만큼 오지를 틈틈히 둘러보기 시작한다.

 

 

 

 

등록문화재로 지정된 영암선 개통기념비이고, 이승만 대통령의 친필 휘호가 들어가서 유명해진 측면이 있다. 물론, 승부역은 단순히 영암선 개통기념비보다 곳곳에서 미적 시각과 미적 아름다움이 고스란히 드러나는 곳라 그야말로 오지속 자연을 몸소 느끼며 오랜 시간 생각해볼 수 있는 명소로 더 부각된다고 생각한다.

 

 

 

 

영암선 개통기념비 부근에 있는 승부역 주변 몇 안되는 민가인데, 따로 인기척이 느껴지지 않았다. 옥수수밭과 자연이 잘 어울리는 것 같아 카메라에 한번 담아보았다.

 

 

 

 

과거의 모습에다가 요 근래 완공된 전철화까지 더해져있으니 정말이지 신구조화가 따로 없었다. 한편으론 승부역과 영동선이 완공되기까지 얼마나 많은 난관이 있었을지 쉽게 상상조차 되지 않았다. 

 

 

 

 

승부관, 승부역의 관사인데, 여름과 겨울 내일로 시즌에 맞춰 내일로 여행객들에게 일종의 게스트하우스 형식으로 내일로 여행기간 동안 숙박을 제공한다고 한다. 승부관에서 오지역 승부역에서 나 자신과 고독한 승부를 해보는 건 어떨까?

 

 

 

 

승부시설사업소인데, 이 날 답사를 갔을 때도 승부역 주변에서는 선로보선원들이 더운 날씨 속에서도 시설 및 선로 보수에 여념이 없었다. 이분들이 있어 우리는 마음 편히 철도여행을 즐길 수 있는 게 아닐까 싶다.

 

 

 

 

승부역의 또다른 상징 "눈꽃마을 승부"란 표지석이 눈에 띈다. 표지석의 모양과 표지석의 글짜가 꽤 친근하게 다가온다. 이 지점부터 냇가를 건너 주변을 살펴보기로 했다.

 

 

 

 

건너편에서 찍은 승부역 주변 철교의 모습인데, 보기에 따라 관점이 달라지듯이 사진에 각도에 따라 분위기가 또 달라지는 것 같다.

 

 

 

 

요 근래 살면서 물레방아를 본 적이 없었는데, 승부역에 오면서 10여 년만에 물레방아를 본 거 같아 왠지 모르게 더욱 기뻐했었던 것 같다. 물레방아를 비롯한 자연친화적인 조형물들이 있어 승부역에서 자신과 승부를 하는 것만큼은 정말 외롭지 않다.

 

 

 

 

"눈꽃마을 승부"란 표지석을 두고 조금 올라오면, 승부역의 먹거리 장터가 눈에 보이는데, 이 날은 따로 영업을 하지 않는지 고요하기만 했다. 사진을 찍고 나갈 무렵 마을 주민들이 올라오고 있었는데, 낯선 사람의 방문에도 반가워하며 승부역의 먹거리 장터 시설이 더욱 보강되어 올겨울에 준공(?)이 될거라며 겨울에 승부역에 꼭 방문하길 권한다. 사실, 승부역의 진짜 매력은 바로 겨울에 있으니까.

 

 

 

 

승부역도 그간 시설투자가 이루어졌는지 역 곳곳이 아기자기하게 꾸며져 있었다. 목마타기 위에 있는 사진 위의 나무 한그루가 꿋꿋하게 자리를 지키고 있는 것 같아 지조가 느껴진다.

 

 

 

 

승부역의 역명판인데, O트레인과 V트레인이 개통될 무렵 승부역도 양원역, 분천역과 동일한 방식으로 통일되었다.

 

 

 

 

승부역의 역사를 세 장을 연이어 찍어서 올리게 되었다. 승부역의 역사는 더없이 정이 느껴진다.

 

 

 

 

석포방향 선로인데, 사진 속 멀리 선로보선원들의 모습이 들어오며 이들의 모습에서 나 자신도 안정이 느껴졌다.

 

 

 

 

 

승부역의 출입구 승부현수교가 눈에 띈다. 사람들 한두명이 겨우 다닐 수 있는 넓이인데, 출렁거리면 위험하다며 출렁거리지 말 것을 알려주고 있는 곳이었다.

 

 

 

 

분천, 영주 방향 선로와 플랫폼인데, 곡선과 자연, 그리고 승부역의 붉은 역사가 어우러져 가히 환상이란 말에 부족함이 없을 정도로 그야말로 아름다움 그 자체였다.

 

 

 

 

승부역의 붉은 우체통인데, 승부역의 간이 대합실에 비치된 엽서를 작성해서 보내면 되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소정의 비용을 지불해야 하는 것으로 알고 있다. 소원을 담아 엽서를 보내는 것도 승부역에서만 누릴 수 있는 소중한 자산이라 생각한다. 

 

 

 

 

승부역의 간이 대합실은 "세평쉼터"란 정식명칭(?)을 가지고 있었다. 한편, 빼꼼히 69.2㎢가 나오는 데, 승부역이 영주역 기점 69.2㎢에 위치하고 있는 역임을 알려주고 있었다.

 

 

 

 

승부역의 간이대합실 세평쉼터에는 승부역에 다녀갔던 여자 개그우먼들의 사인이 걸려있고, 열차시간표와 여객운임표, 공지사항과 서적, 각종 포스터와 안내자료 등이 다양하게 비치되어 있었다. 특히 조그만 의자와 난로가 비치된 게 꽤 인상적이었다. 또한, 한국철도 100주년 기념스탬프가 이곳 세평쉼터에 비치되어 있어 엽서, 승차권, 기타 종이에 날인받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알립니다'로 붙여진 공지사항에서 승부역은 승차권을 발매하지 않는 역으로 설명되어 있는데 승부역은 차내취급역으로서 코레일톡이나 인터넷 예매, 창구예매가 가능한 역에서 승차권을 발매해야 하는 역이라 여행객들 입장에서 다소 불편할 수도 있을 것 같았다.

 

물론, 승부역에는 역직원이 근무하고 있는 역(1인 근무역)이기는 하지만, 역직원은 운전취급만 담당하고 있을 뿐이다. 승차권단말기도 없어 승차권 예ㆍ발매가 불가능하다.  

 

 

 

 

승부역의 상징이자 시의 원본이다. 처음에 올라왔던 기념비가 사본이었다면 말이다.

 

지금처럼 각박한 시대이기에 승부역이 더더욱 우리 곁에 있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힘들고 지친 일이 있을 때 아무도 없는 세 평 오지속에서 나 자신과 승부를 하는 것이야말로 나 자신에게 있어 힐링이 되고, 재충전을 줄 수 있는 곳으로서 진정으로 꼭 필요하기 때문이다.

 

비록 스쳐지나가는 간이역(엄연히 보통역이지만)일지라도 누군가에게 생각할 수 있게 하는 시간과 장소를 주고, 마음을 다스리게 하며 쉬어가는 공간을 제공한다면 그것만으로도 간이역은 제 역할을 다하고 있다고 생각한다.


이런 점에서 뒤에 나올 청소역과 더불어 승부역은 간이역의 본질에 충실하고 있지 않을까 싶다.


짓밟는 법만 가르치는 중고등학교, 치열한 경쟁 속에서 살기위해 아웅다웅하는 모습들, 각박한 세테속에서 살아가는 우리 모두가 가끔씩이라도 승부역, 청소역 등 간이역에서 마음을 청소하고, 힐링할 수 있는 공간이 생기지는 아닐지언정 없어지지는 않았으면 하는 심정이다.

 

그래서 요즘 들어 무인화가 거론되는 승부역처럼 유익한 역들이 하나 둘 없어지려고 하는 현실이 그저 안타깝기만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