히로시마 도요 카프 2002-2008 2009-2022 2023-현재 엠블럼 심볼 워드마크 로고 Hiroshima Toyo Carp 2002-2008 2009-2022 2023-Present Emblem Symbol Wordmark Logo Vector
1월은 히로시마 도요 카프로 마무리짓습니다.
히로시마 도요 카프의 엠블럼이 디자인의 유사성으로 인해서 변경됐다는 걸 느끼지 못하고 있다가 이달 초에 히로시마 도요 카프의 자료를 찾다가 엠블럼이 2023년을 맞아 변경됐다는 걸 확인했습니다. 그래서 치바 롯데 마린즈에 이어서 히로시마 도요 카프를 게시물의 주제로 선정한 이유이기도 합니다. 2002년부터 사용된 엠블럼을 보유하고 있기 때문에 히로시마 도요 카프의 역대 엠블럼들을 시간별로 정리하도록 하겠습니다.
첫 번째 사진이 2002년부터 2008년까지 사용된 히로시마 도요 카프의 엠블럼이고요. 두 번째 사진이 2009년부터 2022년까지 사용된 히로시마 도요 카프의 엠블럼입니다. 세 번째 사진이 2023년에 디자인되어 현재까지 사용되고 있는 히로시마 도요 카프의 엠블럼이고요. 네 번째 사진이 2023년에 디자인되어 현재까지 사용되고 있는 히로시마 도요 카프의 심볼입니다. 마지막 다섯 번째 사진이 2023년에 디자인되어 현재까지 사용되고 있는 히로시마 도요 카프의 워드마크가 되겠습니다.
첫 번째 사진에 있는 엠블럼을 사용된 시기를 정확히 몰랐던 적이 있었는데요. 히로시마 도요 카프의 엠블럼은 유니폼과 모자 등을 따라간다는 특성을 이해하지 못한 점에서 비롯됐습니다. 히로시마 도요 카프의 역대 유니폼을 찾아보면서 2002년부터 2008년까지 사용된 자료라는 걸 확인했고요. 두 번째 사진에 있는 엠블럼은 2009년에 디자인되어 2022년까지 무려 13년 동안 사용됐습니다. 그만큼 친숙한 자료이지요. 세 번째 사진, 네 번째 사진, 마지막 다섯 번째 사진은 2023년에 새롭게 디자인됐으며 색상을 중심으로 디자인이 부분적으로 변경된 형태입니다.
히로시마 도요 카프는 현재까지 유일하게 야구 소년을 모티브로 하여 디자인에 활용하고 있는 구단입니다. 엠블럼에 있는 야구 배트를 들고 있는 소년이 바로 카프 보야인데요. 실제로 등장하지 않고 디자인으로만 등장하고 있기 때문에 명목상 마스코트로 분류하고 있습니다. 실질적인 마스코트는 슬라이리이지요. 카프 보야는 무려 1975년에 등장하여 현재까지 이르고 있는 마스코트면서 히로시마 도요 카프의 엠블럼에 적극적으로 활용되고 있습니다. 또한, 각종 협업은 물론 야구 관련 상품에 적극적으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2023년 히로시마 도요 카프의 마스코트인 카프 보야와 슬라이리의 자료들을 정리할 때 한꺼번에 올렸어야 했는데 자료의 확인이 많이 늦었습니다. 관련된 자료들은 나무위키를 비롯한 백과프로그램에 정리해 주셨으면 하는 마음이고요. 2023년에 변경되어 현재까지 사용되고 있는 디자인이기 때문에 관련 항목들이 현재에 맞게 변경되어야 합니다.
1월은 히로시마 도요 카프로 마무리짓고요. 제가 설날 연휴와 2월 초순까지 시간이 부족합니다. 그래서 대략 2월 5일에서 6일 전후에 블로그를 정리할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하는데요. 열흘 정도는 시간의 부족으로 블로그의 정리가 불가능할 것으로 판단하고요. 다음달 무렵에 한신 타이거스의 울트라 유니폼을 필두로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의 자료들을 순차적으로 정리해서 올려놓을 생각입니다. 앞서 말씀드린 2월 초순에 새로운 자료들과 함께 정리해서 올려놓도록 하겠습니다.
편안한 설연휴가 되시기를 희원하고요.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일본 프로야구 로고 및 마스코트 (日本 プロ野球 L&M ) > 센트럴리그 Central Leagu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치바 롯데 마린즈 2010 2013 홈 유니폼 비지타 유니폼 서드 유니폼 로고 Chiba Lotte Marines 2010 2013 Home Uniform Visitor Uniform Third Uniform Logo Vector
정말 오래간만에 치바 롯데 마린즈의 자료를 올려놓습니다.
치바 롯데 마린즈의 과거와 관련된 자료를 확보하면서 이번 게시물을 통해서 올려놓게 되었고요. 2010년부터 2013년까지 사용된 치바 롯데 마린즈의 유니폼들을 이번 게시물을 통해서 정리할 생각입니다. 2010년부터 2013년까지 사용된 유니폼을 착용한 감독들이 바로 니시무라 노리후미와 이토 츠토무였습니다. 2010년에 치바 롯데 마린즈가 2024년의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즈보다 먼저 하극상이라는 퍼포먼스를 보여 주었습니다. 이때 치바 롯데 마린즈의 하극상과 日本一을 이끌었던 감독이 롯데 오리온즈-치바 롯데 마린즈 시절 달리는 쇼군으로 불렸던 니시무라 노리후미였고요. 같은 시기에 한화 이글스의 레전드였던 김태균이 치바 롯데 마린즈에서 활약하면서 日本一까지 경험하기도 했습니다. 치바 롯데 마린즈의 우승 유니폼과 관련이 깊은 자료라서 한 번쯤 정리하고 싶었습니다.
첫 번째 사진이 2010년부터 2013년까지 사용된 치바 롯데 마린즈의 비지타 유니폼이고요. 두 번째 사진이 2010년부터 사용된 치바 롯데 마린즈의 홈 유니폼입니다. 마지막 세 번째 사진이 2010년부터 2013년까지 사용된 치바 롯데 마린즈의 서드 유니폼이 되겠습니다.
먼저, 치바 롯데 마린즈의 홈 유니폼은 바로 핀스트라이프 유니폼으로 1995년에 디자인되어 현재까지 사용되고 있는데요. 기본적인 디자인은 동일하지만, 등번호와 광고, 엠블럼 패치 등이 해마다 변경되어 왔습니다. 본 게시물을 작성하고 보니까 치바 롯데 마리즈의 핀스트라이프 유니폼도 어느덧 30주년이라는 긴 시간 동안 사용되고 있다는 걸 느끼고 있습니다. 마지막 세 번째 사진에 있는 서드 유니폼은 같은 시기에 사용된 홈 유니폼과 비지타 유니폼을 혼합한 형태입니다. 기본적인 틀은 홈 유니폼인 핀스트라이프의 형태를 적용했으며 양쪽 팔 부분의 디자인을 비지타와 동일한 검은색을 사용했고요. 폰트도 비지타 유니폼과 동일한 디자인을 사용한 형태입니다. 마지막 세 번째 사진이 서드 유니폼은 처음 정리해서 올리는 자료이며 동시에 이번 게시물의 하이라이트가 되겠습니다.
어제 말씀드렸던 치바 롯데 마린즈의 2010년부터 2013년까지 사용된 유니폼을 정리했고요. 치바 롯데 마린즈의 과거도 함께 추억했습니다.
내일은 히로시마 도요 카프의 엠블럼들을 중점적으로 정리할 생각이고요. 히로시마 도요 카프의 최근 엠블럼을 수정할 필요가 있고, 동시에 시간별로 정리할 필요가 있어서 올려놓게 되는 게시물입니다. 히로시마 도요 카프의 엠블럼이 이번 달의 마지막 게시물이 될 예정입니다. 앞서 말씀드린 바와 같이 내일 히로시마 도요 카프의 과거와 현재 엠블럼들을 정리해서 올려놓도록 하겠습니다.
'일본 프로야구 로고 및 마스코트 (日本 プロ野球 L&M ) > 퍼시픽리그 Pacific League' 카테고리의 다른 글
두산 베어스 마스코트 철웅이 2010 2024 홈 유니폼 원정 유니폼 활용 버젼 2025 시즌 워드마크 엠블럼 로고
요청을 받았던 두산 베어스의 마스코트인 철웅이의 다양한 모습들과 새롭게 디자인된 두산 베어스의 공식 워드마크와 엠블럼을 올려놓습니다.
이번 달인 1월 초에 두산 베어스의 마스코트인 철웅이의 홈 유니폼과 원정 유니폼의 활용 버젼과 2025년을 맞아 새롭게 디자인되는 두산 베어스의 워드마크와 엠블럼, 심볼과 마스코트에 대해서 요청을 받았는데요. 그래서 두산 베어스의 마스코트인 철웅이는 2010년부터 2024년까지 사용된 유니폼들을 착용하고 있는 모습들을 작년 연말에 확보하는 데 성공했고요. 두산 베어스의 2025년 디자인들은 이달 초에 워드마크와 엠블럼에 한해서 확보했습니다. 두산 베어스는 2025년을 맞아 새롭게 디자인들을 리뉴얼했는데요. 심볼, 워드마크, 엠블럼이 모두 변경됐는 데 반해 철웅이는 엄청난 사랑과 인기를 바탕으로 앞으로도 쭉 이어지게 되었습니다. 다만, 디자인이 2010년부터 2024년까지 사용된 자료와 다르게 강인함에서 귀여운 모습으로 변경됐습니다. 심볼과 마스코트인 철웅이의 새롭게 디자인된 자료는 추후 확보하는 대로 별도의 게시물로 정리하도록 하겠습니다.
첫 번째 사진과 두 번째 사진이 2010년부터 2024년까지 사용된 두산 베어스의 홈 유니폼을 착용하고 있는 철웅이의 기본형들이고요. 각각 왼쪽과 오른쪽으로 향하는 시선의 방향에 따라 생기는 차이입니다. 세 번째 사진, 네 번째 사진도 상기한 시기와 동일한 시기에 사용된 두산 베어스의 홈 유니폼을 착용하고 있는 철웅이의 타격과 투구 활용 버젼입니다. 각각의 차이는 세 번째 사진이 타격 형태이며 네 번째 사진이 투구 형태입니다. 다섯 번째 사진과 여섯 번째 사진이 홈 유니폼과 같은 시기에 사용된 두산 베어스의 원정 유니폼을 착용하고 있는 철웅이의 타격과 투구 활용 버젼입니다. 각각의 차이는 다섯 번째 사진이 타격 형태이며 여섯 번째 사진이 투구 형태입니다.
일곱 번째 사진과 여덟 번째 사진이 각각 올해를 맞아 새롭게 디자인된 두산 베어스의 2025년 워드마크들입니다. 일곱 번째 사진이 배경 색상이 적용되지 않은 기본형이며 여덟 번째 사진이 배경 색상이 적용된 활용형입니다. 마지막 아홉 번째 사진이 두산 베어스의 2025년 엠블럼입니다.
철웅이는 KBO의 대표적인 마스코트로 봐도 손색없다고 자부합니다. 많은 인기를 얻고 있어서 일본프로야구로 치면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의 츠바쿠로에 비견될 만한다고 생각합니다. 마스코트가 구단의 인기와 지위를 끌어올릴 수 있다는 걸 KBO에서 철웅이가 몸소 보여 준다고 판단합니다.
2025년에 디자인된 워드마크와 엠블럼들은 이번 달 15일 무렵에 확보했습니다. 워드마크와 엠블럼 모두 흰색 테두리가 적용된 형태입니다. 특히, 두산 베어스의 2025년 워드마크와 엠블럼은 크게 기대하지 않았던 상태에서 확보했던 자료라 훨씬 기뻤습니다. 심볼, 마스코트인 철웅이와 철웅이 엠블럼을 확보하지 못한 점이 다소 아쉽습니다만, 심볼, 마스코트인 철웅이와 철웅이 엠블럼도 확보할 수 있도록 각별히 신경쓰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제가 지금껏 확보했던 두산 베어스의 역대 엠블럼들은 내달에 별도의 게시물로 정리해서 올려놓을 예정입니다. 시기는 1999년부터 2025년에 이릅니다.
관련된 자료들은 나무위키를 비롯한 백과프로그램에 활용하시면 될 듯 싶고요. 내일은 치바 롯데 마린즈의 2010년부터 2013년까지 사용된 홈 유니폼, 비지타 유니폼, 서드 유니폼을 정리해서 올려놓도록 하겠습니다.
'요청 자료 및 기타 (要請 資料 其他)'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08 제89회 전라남도 전국체육대회 2019 제100회 서울특별시 전국체육대회 엠블럼 로고 (0) | 2025.01.16 |
---|---|
안산 OK금융그룹 읏맨 2020 2021 엠블럼 로고 (0) | 2025.01.06 |
쌍방울 레이더스의 추억이 깃든 무주리조트 1987-1998 1998-2005 로고 (0) | 2025.01.05 |
미야기 스타디움 네이밍 히토메보레 스타디움 미야기 큐 앤드 에이 스타디움 미야기 로고 (4) | 2024.12.30 |
FC 스즈카 람포레 스즈카 언리미티드 FC 스즈카 포인트 게터즈 아틀레티코 스즈카 클럽 엠블럼 로고 (0) | 2024.12.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