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영혼

 

 

 

 

 

서울 우리캐피탈 드림식스 엠블럼 로고.ai
0.10MB
아산 러시앤캐시 드림식스 엠블럼 로고.ai
0.12MB

 

 

 

 

 

 

KBO리그에 이어 V-리그의 예전 자료들을 정리합니다.

 

 

확보하고 싶었던 아산 러시앤캐시 드림식스의 엠블럼을 지난달에 확보했고요. 그래서 몇 달 만에 V-리그와 관련한 자료들을 정리해서 올려놓을 수 있게 됐습니다. 안산 러시앤캐시 베스피드의 엠블럼만 확보한다면 러시앤캐시와 관련한 모든 자료들을 확보하게 되고요. 이번 게시물을 통해서 서울 우리카드 우리WON의 자료들을 모두 정리하는 데 큰 도움이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첫 번째 사진이 서울 우리캐피탈 드림식스와 KOVO가 위탁하여 관리하던 시절인 드림식스 시절의 엠블럼이고요. 두 번째 사진이 아산 러시앤캐시 드림식스의 엠블럼입니다. 첫 번째 사진인 서울 우리캐피탈 드림식스와 KOVO가 위탁하여 관리하던 시절인 드림식스 시절의 엠블럼을 함께 올린 이유는 과거의 자료들을 정리하기 위해서이고요. 두 번째 사진이 이번 게시물의 하이라이트가 되겠습니다.

 

 

대우자동차판매의 계열사인 우리캐피탈이 주도하여 서울을 연고로 2008년에 서울 우리캐피탈 드림식스가 창단하였고요. 체육관과 선수들을 수급하는 문제로 인하여 2009-10 시즌부터 정식으로 리그에 참여하였습니다. 그런데, 얼마 지나지 않아서 대우자동차판매가 부도나면서 우리캐피탈의 진로도 어두웠습니다. 우리캐피탈은 전북은행이 인수하기로 결정하면서 배구단도 안정적이지 않을까라는 예상이 많았는데 전북은행이 배구단은 인수하지 않고, 우리캐파탈만 인수하기로 결정했습니다. 전북은행이 우리캐파탈만 인수하는 방향으로 결정하게 된 이유는 전주 KCC 이지스와 전북 현대 모터스의 인기가 절정으로 구가하던 때였던 데다 드림식스가 연고지가 서울이었기 때문에 서울을 연고로 하는 구단을 전북의 지방은행이 운영하기가 지역의 정서상 어려웠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KOVO가 드림식스를 위탁해서 관리하기 시작합니다. 2011-12 시즌의 운영비를 KOVO가 지원했는데요. 2011-12 시즌이 끝난 뒤에 인수하려는 기업이 없어서 곤란하던 찰나에 러시앤캐시가 1년 동안 한시적으로 네이밍 스폰서로 참여하면서 명명권 계약을 체결했고요. 러시앤캐시가 드림식스의 명명권을 취득하면서 아산 러시앤캐시 드림식스로 구단의 이름을 짓게 됩니다. 서울이 아닌 아산이 들어가서 의아하실 수 있을텐데요. 연고가 본래 서울특별시였으나 장충체육관이 개보수하면서 한시적으로 연고지를 충청남도 아산시로 이전합니다. 그래서 홈구장으로 아산이순신빙상실내체육관으로 이전하여 임시로 사용하였지요. 2012년부터 2013년까지 한 시즌을 한정으로 아산 러시앤캐시 드림식스의 시절이 펼쳐졌습니다.

 

 

2012-13 시즌이 끝나고, 러시앤캐시가 네이밍 스폰서를 넘어 구단을 아예 인수하려는 방향으로 추진했으나 대부 업체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으로 인하여 최종적으로 우리금융지주의 우리카드가 아산 러시앤캐시 드림식스 배구단을 인수하여 현재는 서울 우리카드 WON으로 이어집니다. 러시앤캐시는 경기도 안산시에 안산 러시앤캐시 베스피드를 창단하는 것으로 선회했습니다. 참고로, 우리카드도 충청남도 아산시를 2015년까지 임시 연고지로 사용하다가 2016년에 다시 서울특별시로 돌아가게 됩니다.

 

 

회의적으로 생각한 자료를 확보해서 정리할 수 있어서 다행스럽게 생각하고요. V-리그의 경우 안산 러시앤캐시 베스피드만 확보한다면 대부분의 예전 자료들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하고요. KBO도 쌍방울 레이더스의 엠블럼만 확보할 수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쌍방울 레이더스의 엠블럼은 확보되는 대로 지체하는 것 없이 바로 정리해서 올려놓을 생각입니다.

 

 

제가 7일과 8일은 바빠서 블로그를 쉴 예정이고요. 9일에 K리그와 관련하여 1995년부터 2001년 8월까지 사용된 전남 드래곤즈의 엠블럼과 1997년부터 1998년까지 사용된 포항 스틸러스의 엠블럼과 마스코트들을 정리해서 올려놓도록 하겠습니다.

 

 

 

 

 

삼성 Fn.com배 2000 프로야구 엠블럼 로고.ai
0.07MB
삼성 Fn.com배 2001 프로야구 엠블럼 로고.ai
0.06MB
2002 삼성증권배 프로야구 엠블럼 로고.ai
0.07MB
2021 신한은행 SOL KBO 한국시리즈 엠블럼 기본형 로고.ai
0.23MB

 

 

 

 

 

 

4월은 지난번에 말씀드린 바와 같이 KBO와 관련한 자료들로 시작합니다.

 

 

제가 지난달에 삼성 Fn.com배 2000, 2001 프로야구와 삼성증권배 2002 프로야구를 비롯해 아산 러시앤캐시 드림식스, 1995년부터 2001년 8월까지 사용된 전남 드래곤즈의 엠블럼, 1997년부터 1998년까지 사용된 포항 스틸러스의 엠블럼과 마스코트, 쌍방울 레이더스의 메인 마스코트인 방울이의 달리기 버젼, 아쉽게도 워드마크 부분이 빠진 1996년부터 2001년 7월 31일까지 사용된 해태 타이거즈의 마스코트인 호돌이 기본형, 1996년부터 2002년까지 사용된 롯데 자이언츠의 거인 마스코트 엠블럼, 1999년에 디자인된 두산 베어스의 마스코트인 반달가슴곰까지 과거 자료들을 다수 확보하는 데 성공했습니다.

 

 

제가 훑어 보고 있는 곳에 이미지 파일이긴 하지만 쌍방울 레이더스의 공식 엠블럼도 보여서 1999년부터 2000년까지 기간을 정한 뒤에 샅샅히 훑고 있습니다. 쌍방울 레이더스의 메인 마스코트인 방울이의 달리기 버젼도 이미지 파일로 보이던 게 벡터가 들어 있는 파일을 발견해서 확보한 경우였거든요. 심볼과 쌍방울 레이더스의 국영문이 함께 있는 전북을 대표했던 쌍방울 레이더스의 공식 엠블럼도 확보할 수 있었으면 하는 마음입니다. 쌍방울 레이더스의 공식 엠블럼을 확보한다면 메인 마스코트인 방울이, 무주리조트, 무주군의 문장과 함께 지체하는 것 없이 바로 게시물에 올릴 예정이고요. 전북 지역에 거주하시는 분들께 쌍방울 레이더스와 관련하여 질문을 드릴 예정입니다.

 

 

확보할 수 있을지 회의적으로 생각했는데 뜻하지 않게 2000년부터 공식 스폰서가 적용된 KBO리그의 시즌별 엠블럼을 확보하는 데 성공했습니다. 또한, 2021년 신한은행 SOL KBO 한국시리즈의 공식 엠블럼 기본형까지 확보했습니다.

 

 

첫 번째 사진이 삼성 Fn.com배 2000 프로야구의 엠블럼이고요. 두 번째 사진이 삼성 Fn.com배 2001 프로야구의 엠블럼입니다. 세 번째 사진이 삼성증권배 2002 프로야구의 엠블럼입니다. 마지막 네 번째 사진이 2021 신한은행 SOL KBO 한국시리즈 공식 엠블럼의 기본형이 되겠습니다.

 

 

새천년을 열었던 해인 2000년부터 KBO 리그가 공식 스폰서를 확보해서 대외적인 시즌의 명칭에 들어가기 시작했는데요. 2000년부터 삼성증권이 KBO 리그의 공식 후원사로 선정되면서 삼성 Fn.com배 2000 프로야구로 결정되어 시즌이 운영되기 시작합니다. 이듬해인 2001년에도 삼성 Fn.com배 2001 프로야구로 결정되어 시즌이 운영됐습니다. 2002년부터 2004년까지 후원사인 삼성증권의 이름을 그대로 따서 삼성증권배 2002 프로야구, 삼성증권배 2003 프로야구, 삼성증권배 2004 프로야구로 시즌의 명칭이 결정돼서 운영됐습니다. 삼성증권은 2000년부터 2004년까지 KBO 리그의 공식 스폰서를 맡았고요. 2005년부터 2008년까지 삼성그룹의 대표 계열사인 삼성전자가 KBO 리그의 공식 스폰서를 맡았습니다. 1999년에 현대증권이 바이코리아를 적용한 스폰서 명칭으로 운영됐지만, 1999년의 경우 플레이오프와 한국시리즈에 한정된 측면이 있습니다. 그래서 2000년 KBO 리그가 처음으로 공식 스폰서를 선정해서 운영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각별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2000년과 2001년, 그리고 2002년의 자료들을 확보할 수 있을지 심히 회의적으로 생각했는데 확보할 수 있어서 다행스럽게 생각합니다. 2021 신한은행 SOL KBO 한국시리즈 엠블럼 기본형도 확보할 수 있어서 기쁘게 생각하고 있습니다.

 

 

예전 자료들이 여럿 있습니다. 4월은 예전 자료들을 중심으로 블로그들을 운영할 생각입니다. 삼성 Fn.com배 2000 프로야구 삼성 Fn.com배 2001 프로야구, 삼성증권배 2002 프로야구, 2021 신한은행 SOL KBO 한국시리즈 엠블럼 기본형까지 나무위키를 비롯한 백과프로그램에 정리해 주셨으면 하는 마음이고요. 쌍방울 레이더스의 공식 엠블럼도 샅샅히 훑어서 확보할 수 있도록 각별한 노력을 기울이겠습니다. 5일은 시간의 부족으로 쉬고요. 6일에 아산 러시앤캐시 드림식스의 엠블럼을 올려놓도록 하겠습니다.

 

 

 

 

 

ALLIANZ STADIUM ORIGINAL Logo Vector.ai
0.05MB
CBUS SUPER STADIUM ORIGINAL Logo Vector.ai
0.07MB
SKILLED PARK Logo Vector.ai
0.87MB

 

 

 

 

 

 

어제 말씀드린 바와 같이 알리안츠 스타디움, CBUS 슈퍼 스타디움과 스킬드 파크의 자료를 정리합니다.

 

 

알리안츠 스타디움, CBUS 슈퍼 스타디움과 스킬드 파크도 나무위키를 비롯한 백과프로그램에 정리되지 않아서 이번 게시물을 통해 올려놓게 되었습니다. 알리안츠 스타디움, CBUS 슈퍼 스타디움과 스킬드 파크도 축구와 럭비가 동시에 개최되는 다목적 경기장들이고요. 호주, 뉴질랜드를 중심으로 하는 경기장들의 자료들이 시나브로 정리되는 것을 느낍니다. 호주, 뉴질랜드뿐만 아니라 캐나다까지도 영역을 넓힐 생각입니다. 벡터로 반영되지 않은 자료들을 중점적으로 올려놓을 계획입니다.

 

 

첫 번째 사진이 알리안츠 스타디움의 엠블럼이고요. 두 번째 사진이 CBUS 슈퍼 스타디움의 엠블럼입니다. 마지막 세 번째 사진이 스킬드 파크의 엠블럼이 되겠습니다.

 

 

먼저, 알리안츠 스타디움은 본래 명칭이 시드니 풋볼 스타디움입니다. 1986년에 착공하여 1988년 1월 24일에 개장되었고요. 앞서 말씀드린 바와 같이 축구와 럭비가 동시에 개최되는 다목적 경기장입니다. 경기장의 노후화로 인하여 2019년 9월 18일에 철거했습니다. 2020년 4월 15일 철거한 자리에 경기장을 재건축하고 착공하여 2022년 8월 28일에 완공됐습니다. 독일을 기반으로 하는 보험, 금융 서비스 그룹인 알리안츠가 구장의 명명권을 취득하면서 알리안츠 스타디움의 이름으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다음으로 CBUS 슈퍼 스타디움의 본래 명칭은 로비나 스타디움입니다. 로비나라는 이름을 보면서 일본 J리그에 참가하고 있는 세레소 오사카가 떠오릅니다. 세레소 오사카의 여성 마스코트가 마담 로비나인데요. 메인 마스코트인 로비의 어머니이고, 남편을 상부한 미망인으로 설정되어 있습니다. 일본 현지에서 세레소 오사카 팬들을 중심으로 로비나 여사님으로 불립니다. 칸사이 지역의 아주머니들을 모티브로 디자인한 마스코트입니다. 로비나 스타디움은 2006년에 착공하여 2008년 2월에 완공하여 개장한 경기장입니다. 로비나 스타디움은 구장이 완공되기 전인 2006년 9월 27일 호주의 아웃소싱 업체인 스킬드가 구장의 명명권을 취득하면서 구장의 전반적인 단지를 스킬드 파크로 명명했고요. 로비나 스타디움도 CBUS 슈퍼 스타디움으로 명명돼서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습니다. 그래서 CBUS 슈퍼 스타디움과 스킬드 파크를 함께 올려놓은 이유입니다. 앞서 말씀드린 바와 같이 CBUS 슈퍼 스타디움도 축구와 럭비가 동시에 개최되는 다목적 경기장입니다.

 

 

알리안츠 스타디움, CBUS 슈퍼 스타디움, 스킬드 파크의 자료들을 이쯤에서 마무리짓고요. 이번 게시물의 3월의 마지막 게시물이 되겠습니다. 제가 31일과 4월 3일 정도까지 바쁜 이유로 블로그에 자료들을 올려놓기가 어렵습니다. 4월 4일 무렵에 기존에 확보된 예전 자료은 삼성 Fn.com 배 2000, 2001 프로야구의 엠블럼과 삼성증권배 2002 프로야구의 엠블럼을 정리해서 올려놓을 예정이고요. 아산 러시앤캐시 드림식스, 쌍방울 레이더스의 마스코트인 방울이의 달리기 활용 버젼, 워드마크가 빠진 해태 타이거즈의 마스코트인 호돌이의 기본형, 1996년에 디자인된 롯데 자이언츠의 거인 마스코트 자료들, 2024년에 리뉴얼된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의 마스코트들인 클러치와 클러치나, 스위치, 치바 롯데 마린즈의 2025년 공식 슬로건, 1999년에 디자인된 두산 베어스의 마스코트들인 반달가슴곰과 회색곰의 기본형 자료들과 함께 호주, 뉴질랜드, 캐나다의 경기장 자료들을 순차적으로 정리해서 올려놓도록 하겠습니다. 4월 4일 KBO의 2000년대 초반 자료들로 4월을 열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