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영혼

 

 

 

 

 

안양 LG 치타스 워드마크 로고.ai
0.06MB
안양 LG 치타스 1997 1999 마스코트 엠블럼 로고.ai
0.12MB
안양 LG 치타스 1997 1999 마스코트 엠블럼 워드마크 조합형 로고.ai
0.12MB

 

 

 

 

 

 

LG 트윈스에 이어서 안양 LG 치타스의 자료들도 이번 게시물로 마무리짓습니다.

 

 

LG 트윈스의 초창기 자료들인 심볼, 워드마크와 1994년 한국시리즈 우승 기념 엠블럼을 확보할 때 함께 발견했던 자료입니다. 2001년 LG그룹이 발간한 사보에서 확보했고요. LG 트윈스의 자료만 찾고 있었는데 뜻하지도 않게 안양 LG 치타스의 자료도 함께 얻어걸렸다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LG 트윈스와 안양 LG 치타스의 자료들로 11월을 마무리하게 된 점이 인상적입니다.

 

 

첫 번째 사진이 안양 LG 치타스의 워드마크고요. 두 번째 사진이 1997년부터 1999년 7월까지 사용된 안양 LG 치타스의 마스코트 엠블럼입니다. 마지막 세 번째 사진이 1997년부터 1999년 7월까지 사용된 안양 LG 치타스의 마스코트 엠블럼과 워드마크의 조합형이 되겠습니다.

 

 

안양 LG 치타스의 자료들은 Champions라는 단어가 들어 있어서 우승 기념 엠블럼으로 생각했습니다. 저는 야구에 진심이라 축구의 기본적인 룰도 모르고 월드컵조차 시청하지 않을 정도이며 축구에는 관심조차 없어서 기본적인 배경이 전무했던 상황이었습니다. 그래서 다른 블로그와 구단 홈페이지를 참조한 결과 확보한 자료가 1997년부터 1999년 7월까지 사용된 안양 LG 치타스의 마스코트 엠블럼이라는 걸 확인했고요. 물론, LG 치타스라는 단어를 발견해서 FC 서울의 이전 명칭인 안양 LG 치타스라는 것까지는 빠른 시간 안에 확인했습니다. 1990년대에는 GS그룹이 계열분리를 하기 전이었기 때문에 LG트윈스와 안양 LG 치타스가 디자인의 일정 부분을 공유한다는 것까지도 알 수 있었습니다.

 

 

이번 게시물을 통해서 LG 트윈스와 안양 LG 치타스와 관련된 자료들을 모두 마무리짓고요. 내일은 특별한 사정이 없다면 KBO와 관련된 자료들을 정리해서 올려놓도록 하겠습니다.

 

 

 

 

 

LG 트윈스 1990 2005 심볼 배경 로고.ai
0.07MB
LG 트윈스 2006 2016 심볼 로고.ai
0.89MB
LG 트윈스 2017 현재 심볼 로고.ai
0.06MB
LG 트윈스 LG 심볼 약식형 로고.ai
0.07MB
LG 트윈스 2006 2016 마스코트 근성이 팀웍이 로고.ai
0.96MB

 

 

 

 

 

 

어제 말씀드렸던 LG 트윈스의 자료를 추가적으로 정리합니다.

 

 

어제에 이어서 이번 게시물을 마지막으로 LG 트윈스와 관련된 자료들을 모두 정리한다고 보시면 될 듯 싶습니다. 이번 게시물을 통해서 LG 트윈스의 심볼들을 시기별로 정리하며 동시에 2006년부터 2016년까지 사용된 마스코트인 근성이와 팀웍이까지 올려놓습니다.

 

 

첫 번째 사진이 LG 트윈스의 1990년부터 2005년까지 사용된 심볼이고요. 두 번째 사진이 LG 트윈스의 2006년부터 2016년까지 사용된 심볼입니다. 세 번째 사진이 LG 트윈스의 2017년부터 현재까지 사용되고 있는 심볼입니다. 네 번째 사진이 LG트윈스의 LG 약식형 심볼이라고 보시면 될 듯 싶습니다. 마지막 다섯 번째 사진이 LG 트윈스의 마스코트였던 근성이와 팀웍이입니다. 2006년부터 2016년까지 사용된 자료고요. 2017년부터 럭키와 스타라는 이름으로 새롭게 디자인됐습니다. 첫 번째 사진은 어제 올렸는데요. 정리하는 차원에서 다시 올렸습니다.

 

 

제가 확보한 자료들이 시기별로 모두 포함되어 있어서 심볼들을 별도로 추려서 정리하는 게 좋다고 판단했고요. LG 트윈스의 역사에 해당하는 자료들이기도 하고 요청을 받았던 측면도 있어서 별도로 올려놓게 되었습니다. LG 트윈스의 현재 마스코트들인 럭키와 스타에 대해서 요청을 받았는데요. 럭키와 스타는 시간이 될 때마다 찾아보겠습니다. 찾아본 후에 확보하는 대로 별도의 게시물을 통해서 올려놓도록 하겠습니다.

 

 

2025년은 한신 타이거스가 90주년을 맞이하는 해이며 동시에 소프트뱅크가 후쿠오카 다이에 호크스를 인수한 지 어느덧 20주년이 되는 해입니다. 그래서 해당 구단들의 기념 엠블럼들이 속속 공개됐고요. 관련 자료들을 확보하는 대로 새로운 게시물로 정리할 생각입니다. 2025년의 첫 번째 게시물은 한신 타이거스의 90주년 기념 엠블럼으로 정한 상태고요. 확보한다면 2025년 1월에 한신 타이거스의 90주년 기념 엠블럼부터 정리할 생각입니다. 2023년과 다르게 2024년에는 KIA 타이거즈와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즈의 우승 기념 엠블럼들이 여러 모로 고생을 시키고 있는데요. 확보하는 대로 정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내일은 LG 트윈스와 쌍두마차였던 안양 LG 치타스의 자료를 정리해서 올려놓도록 하겠습니다.

 

 

 

 

 

LG 트윈스 1990 2005 심볼 배경 로고.ai
0.07MB
LG 트윈스 1990 2005 워드마크 로고.ai
0.06MB
LG 트윈스 1994 한국시리즈 우승 기념 엠블럼 로고.ai
0.14MB
LG 트윈스 1994 한국시리즈 우승 기념 엠블럼 워드마크 조합형 로고.ai
0.14MB

 

 

 

 

 

 

요청을 받았던 LG 트윈스의 자료를 올립니다.

 

 

본래 요청을 받았던 자료는 LG 트윈스의 1990년부터 2005년까지 사용된 디자인들과 마스코트들이었는데 뜻하지도 않게 1994년 한국시리즈 우승 기념 엠블럼까지 확보하게 되는 겹경사를 맞이했습니다. 기대하지도 않았던 자료를 확보하게 될 줄은 꿈에서도 몰랐습니다. 제가 LG 트윈스를 응원하는 입장은 아닙니다만, 각별한 자료라서 기쁜 마음이었습니다.

 

 

첫 번째 사진이 LG 트윈스의 1990년부터 2005년까지 사용된 심볼이고요. 두 번째 사진이 LG 트윈스의 1990년부터 2005년까지 사용된 워드마크입니다. 세 번째 사진이 LG 트윈스의 1994년 한국시리즈 우승 기념 엠블럼입니다. 마지막 네 번째 사진이 LG 트윈스의 1994년 한국시리즈 우승 기념 엠블럼과 워드마크의 조합형이 되겠습니다. 첫 번째 사진과 두 번째 사진이 요청을 받았던 자료이며 세 번째 사진과 네 번째 사진이 이번 게시물의 진정한 하이라이트들이 되겠습니다.

 

 

세 번째 사진에 있는 LG 트윈스의 1994년 한국시리즈 우승 기념 엠블럼을 봤을 때 Champions라는 단어를 보고 우승 기념 엠블럼이라는 건 쉽게 짐작했습니다. 앞서 말씀드린 바와 같이 제가 LG 트윈스의 팬이 아니어서 연도를 쉽사리 갈피를 잡지 못했습니다. 그래서 나무위키를 비롯한 백과프로그램을 중점적으로 찾아보면서 LG 트윈스의 1994년 한국시리즈 우승 기념 엠블럼이라는 걸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1990년부터 1998년까지 LG 트윈스가 압도적인 인기를 자랑하며 전성기를 구가하던 시점이었지요. 1990년부터 1998년까지 야구 전문가, 해설가, 선수, 지도자들로부터 하나 같이 LG 트윈스가 우승 후보로 손꼽히던 시절이었습니다.

 

 

1990년대 LG 트윈스와 OB 베어스가 잠실시리즈를 펼치게 되면 관중 숫자만 해도 LG 트윈스가 압도하던 시절이었습니다. LG가 홈일 경우에는 3루 원정과 좌측 외야 관중석까지 LG팬들이 들어차는 일이 많았고요. OB가 홈일 때도 1루 홈과 우측 외야 관중석까지 LG팬들이 들어차는 일이 많았습니다. 그래서 보통 LG가 홈일 때를 기준으로 8:2에서 심하면 9:1까지 LG가 압도했습니다. OB가 홈일 때를 기준으로 해도 LG가 7:3 내지 6:4 정도로 압도했습니다. 이런 상황이 OB맥주를 매각하면서 모그룹인 두산그룹의 이름을 본격적으로 사용하기 시작한 1999년을 지나 2003년까지 이어졌습니다. 2004년부터 두산이 LG를 완벽하게 압도하기 시작하면서 잠실시리즈의 관중 숫자부터 성적까지 두산이 LG를 추월하며 앞서가기 시작했지요. 그래서 성적이 동률인 1993년을 제외하고, 1990년부터 1997년까지 LG 트윈스가 OB 베어스를 상대로 상대 전적에서도 압도했고요. 우즈, 김동주, 심정수의 클린업 트리오가 완성되고 타선의 완전체가 본격적으로 구성된 1998년부터 OB 베어스가 LG 트윈스를 상대로 10승 7패 1무를 기록하며 정규시즌의 상대전적에서 처음으로 앞섰습니다. 1998년이 OB 베어스가 마지막 연도이자 1990년 MBC 청룡에서 이름이 바뀐 LG 트윈스를 처음으로 상대전적에서 이긴 해이기도 했습니다. 1999년부터 OB 베어스가 OB맥주의 매각으로 인해서 두산 베어스의 이름으로 변경됐고요.

 

 

세간에는 LG 트윈스의 성적에 깊은 감명을 받아서 럭키금성그룹에서 LG그룹으로 변경된 것으로 알려졌으나 그렇지는 않습니다. 럭키금성그룹에서 LG그룹으로 변경된 결정적인 이유는 럭키금성그룹의 골드스타 Goldstar가 가진 부정적인 어감 때문입니다. 골드스타 Goldstar는 미국에서 전사자, 전쟁과 관련된 어감이라서 현지에서 부정적인 느낌을 주기 때문에 럭키금성그룹에서 LG그룹으로 그룹의 명칭을 변경한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1994년에 LG 트윈스가 한국시리즈를 우승한 이후로 LG 트윈스가 리그를 선도하며 몇 번은 더 우승할 줄 알았는데 29년이 지난 2023년 한국시리즈에서 우승하게 될 줄은 전혀 예상하지 못했습니다. LG 트윈스의 1994년 한국시리즈 우승 기념 엠블럼은 LG팬분들께 각별한 엠블럼이 될 것으로 사료되며 뜻깊은 자료를 찾아서 정리할 수 있어서 기쁜 마음이고요. 2001년 LG그룹이 발간한 사보에서 확보했습니다. 내일도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LG 트윈스의 자료를 이어 갈 생각이고요. LG 트윈스의 역대 심볼들과 2006년부터 2016년까지 사용된 마스코트 자료를 정리해서 올려놓도록 하겠습니다.

 

 

 

 

 

MITO HOLLYHOCK OFFICIAL FLAG Logo Vector.ai
0.13MB
VEGALTA SENDAI OFFICIAL FLAG Logo Vector.ai
0.10MB
FAJIANO OKAYAMA OFFICIAL FLAG Logo Vector.ai
0.10MB
JEF UNITED ICHIHARA CHIBA OFFICIAL FLAG Logo Vector.ai
0.08MB
SHIMIZU S-PULSE OFFICIAL FLAG Logo Vector.ai
0.10MB

 

 

 

 

 

 

J2의 구단기들을 잠정적으로 마무리짓습니다.

 

 

이번 게시물을 통해서 디자인이 변경된 구단을 제외한 J2의 구단기들을 올려놓게 되었습니다. 더스파 군마, 토쿠시마 보르티스, 몬테디오 야마가타를 제외한 J2의 모든 구단들을 정리했다고 보시면 될 듯 싶고요. 더스파 군마, 토쿠시마 보르티스, 몬테디오 야마가타는 추후에 확보되는 대로 별도의 게시물로 정리해서 올려놓도록 하겠습니다. 이번 게시물을 통해 디자인이 변경된 구단들을 제외하고 J1, J2, J3에 참가하고 있는 구단들의 구단기 대부분을 정리했다는 데 의미와 주안점을 두고 싶습니다.

 

 

첫 번째 사진이 미토 홀리호크의 구단기고요. 두 번째 사진이 베갈타 센다이의 구단기입니다. 세 번째 사진이 파지아노 오카야마의 구단기고요. 네 번째 사진이 제프 유나이티드 이치하라 치바의 구단기입니다. 마지막 다섯 번째 사진이 시미즈 S-펄스의 구단기가 되겠습니다.

 

 

베갈타 센다이와 제프 유나이티드 이치하라 치바는 해당 연고지에 각각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와 치바 롯데 마린즈가 있어서 이들 구단들과 다양한 협업이 진행되기도 합니다.

 

 

J리그의 구단기들을 정리하면서 디자인이 변경된 구단들까지 완벽하게 정리할 수 있었으면 좋았겠다는 아쉬움이 많이 남습니다. 디자인이 변경된 구단들은 J리그의 잔여 마스코트들을 찾으면서 함께 찾아볼 작정이고요. 아직 확보하지 못한 J리그의 마스코트와 구단기들은 확보하는 대로 별도의 게시물로 완벽하게 올려놓을 수 있도록 힘쓰겠습니다.

 

 

제가 근래 KBO와 관련하여 요청을 받았던 자료들이 있었는데요. 이들 자료는 이달 안으로 완벽하게 올려놓을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정말로 오래된 자료를 뜻하지 않게 확보했고요. 그래서 내일은 KBO와 관련한 값진 자료를 올려놓도록 하겠습니다.

 

 

 

 

 

VENFORET KOFU OFFICIAL FLAG Logo Vector.ai
0.12MB
V-VAREN NAGASAKI OFFICIAL FLAG Logo Vector.ai
0.10MB
TOCHIGI SC OFFICIAL FLAG Logo Vector.ai
0.10MB

 

 

 

 

 

 

특별한 사정이 있기를 희망했지만 특별한 사정은 없었습니다.

 

 

특별한 사정이 없으면서 이번에도 J2의 구단기들을 이어서 정리합니다. 이번 게시물을 통해서 J2의 구단기들은 어느덧 열두 구단들까지 정리하게 되었습니다. J2는 세 구단들은 디자인의 변경으로 인해서 시일이 걸릴 것으로 예상되므로 잠정적으로 열일곱 구단들까지 정리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됩니다. 이번 게시물은 반포레 코후, V-파렌 나가사키, 토치기 SC의 구단기들이 주제가 되겠습니다.

 

 

첫 번째 사진이 반포레 코후의 구단기고요. 두 번째 사진이 V-파렌 나가사키의 구단기입니다. 마지막 세 번째 사진이 토치기 SC의 구단기가 되겠습니다.

 

 

제가 이른 시일 안으로 정리할 수 있는 J2의 구단기들은 미토 홀리호크, 베갈타 센다이, 시미즈 S-펄스, 파지아노 오카야마, 제프 유나이티드 이치하라 치바고요. 이들 구단들은 11월 안으로 모두 정리할 생각입니다. 그래서 11월 안으로 J2의 구단기들을 잠정적으로 마무리짓고요. 배구와 관련된 자료들도 여럿 정리해야 합니다. 우리나라의 V-리그, 일본의 SV.리그 관련 자료들이 그러한데요. V-리그와 관련해서 OK저축은행과 관련된 자료들을 모두 확보해서 올려놓을 구상이고요. 일본의 배구 리그인 SV.리그와 V.리그의 경우 구단들의 디자인이 많이 변경됐습니다. 이들 구단들의 자료들을 확보해서 정리할 계획입니다. 물론, KIA 타이거즈의 2024 한국시리즈 우승 기념 엠블럼과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즈의 2024 일본시리즈 우승 기념 엠블럼도 구상에 포함됩니다.

 

 

제가 시간의 부족으로 내일은 블로그를 쉴 예정이고요. 27일에 앞서 말씀드린 자료들 중에서 선별한 뒤 정리해서 올려놓도록 하겠습니다. 27일에 찾아뵙겠습니다.

 

 

 

 

 

KAGOSHIMA UNITED FC OFFICIAL FLAG Logo Vector.ai
0.16MB
ROASSO KUMAMOTO OFFICIAL FLAG Logo Vector.ai
0.11MB
OITA TRINITA OFFICIAL FLAG Logo Vector.ai
0.11MB

 

 

 

 

 

 

어제 말씀드린 바와 같이 J2의 구단기들을 이어 갑니다.

 

 

특별한 사정이 없어서 이번 게시물도 J2의 구단기들을 이어서 정리하려고 하고요. 이번 게시물을 통해서 J2의 구단기들도 어느덧 아홉 구단이 정리되면서 확보한 자료들을 기준으로 절반을 넘어섰습니다. 며칠 전에 말씀드렸던 것처럼 J2의 구단기들도 이달 안으로 모두 정리할 구상입니다. 이번 게시물을 통해서 카고시마 유나이티드 FC, 로아소 쿠마모토, 오이타 트리니타의 자료들을 올려놓으려고 합니다.

 

 

첫 번째 사진이 카고시마 유나이티드 FC의 구단기고요. 두 번째 사진이 로아소 쿠마모토의 구단기입니다. 마지막 세 번째 사진이 오이타 트리니타의 구단기가 되겠습니다.

 

 

제가 확보한 자료들과 디자인이 변경된 구단들을 교차적으로 검증하면서 확인한 결과 J2는 세 구단이 아쉽게도 시간이 걸릴 것으로 판단하고요. 더스파 군마, 토쿠시마 보르티스, 몬테디오 야마가타가 디자인이 변경되면서 새롭게 확보해야 하는 상황이고요. 이들 구단을 제외하면 나머지 구단들은 이번 달 안으로 모두 정리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됩니다.

 

 

J리그의 홈구장들도 두 구장에서 세 구장 정도를 확보했습니다. 그런데, 나무위키를 비롯한 백과프로그램에 문서로 정리된 구장들이 아니라서 J2의 구단기들을 우선적으로 정리한 다음에 올려놓을 생각이고요. KBO와 관련된 자료들도 이르면 이달 안으로 정리할 방침이고요. 늦어도 내달 초에는 관련 자료들을 모두 올려놓을 구상을 갖고 있습니다. LG 트윈스와 관련된 자료도 정리하고, 올해를 끝으로 디자인이 변경된 한화 이글스의 자료들도 정리할 생각을 갖고 있습니다. 내일도 특별한 사정이 없다면 J2의 구단기들을 이어서 올려놓도록 하겠습니다.

 

 

 

 

 

BLAUBLITZ AKITA OFFICIAL FLAG Logo Vector.ai
0.13MB
RENOFA YAMAGUCHI OFFICIAL FLAG Logo Vector.ai
0.09MB
EHIME FC OFFICIAL FLAG Logo Vector.ai
0.09MB

 

 

 

 

 

 

어제 시작한 J2의 구단기가 오늘도 이어집니다.

 

 

이번 게시물도 특별한 사정이 없어서 J2의 구단기들을 주제로 선정해서 올려놓게 되었고요. 이번에 정리해서 올려놓은 구단들은 블라우블리츠 아키타, 레노파 야마구치, 에히메 FC입니다. 이들 구단들을 정리하면서 올려놓은 J2의 구단기들도 여섯 구단으로 늘어났습니다. 어제 말씀드린 바와 같이 J2의 구단기들도 가능한 이번 달 안으로 올려놓을 수 있는 자료들은 모두 올려놓을 구상입니다.

 

 

첫 번째 사진이 블라우블리츠 아키타의 구단기고요. 두 번째 사진이 레노파 야마구치의 구단기입니다. 마지막 세 번째 사진이 에히메 FC의 구단기가 되겠습니다.

 

 

지난번에 J2의 마스코트들을 올려놓을 때 에히메 FC의 마스코트는 확보하지 못한 반면 정작 구단기는 의외로 손쉽게 확보할 수 있었습니다. J2의 마스코트들은 에히메 FC, 제프 유나이티드 이치하라 치바만 확보하지 못한 상황이어서 에히메 FC의 구단기를 봤을 때 여러 모로 아쉬움이 많이 남았습니다. 아직 확보되지 않은 에히메 FC와 제프 유나이티드 이치하라 치바의 마스코트들은 시간이 될 때마다 찾고 있고요. 확보하는 대로 별도의 게시물로 정리할 생각이며 정리하는 시기를 앞당길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내일도 특별한 사정이 없다면 J2의 구단기들을 정리해서 올려놓을 생각입니다. KIA 타이거즈의 2024년 한국시리즈 우승 기념 엠블럼과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즈의 2024년 일본시리즈 우승 기념 엠블럼도 지속적으로 자료들을 찾을 예정입니다. 일본의 배구 리그인 SV.리그와 V.리그의 구단별 엠블럼에 많은 변화가 있었는데요. 새롭게 변화된 엠블럼들을 확보하는 중에 있으며 확보하는 대로 별도의 게시물로 정리하도록 하겠습니다.

 

 

 

 

 

YOKOHAMA FC OFFICIAL FLAG Logo Vector.ai
0.11MB
IWAKI FC OFFICIAL FLAG Logo Vector.ai
0.38MB
FUJIEDA MYFC OFFICIAL FLAG Logo Vector.ai
0.13MB

 

 

 

 

 

 

어제 말씀드린 바와 같이 J2의 구단기들을 올려놓습니다.

 

 

특별한 사정이 없던 탓에 이번 게시물에서 J2의 구단기들을 정리하게 되었고요. J3, J1에 이어서 J2의 자료들도 이번 달 안으로 정리할 수 있는 자료들은 모두 올려놓으려고 합니다. 그래서 J리그와 관련된 구단기들은 이번 달 안으로 마무리지을 수 있는 방향으로 갈 생각입니다. J2의 시작은 제목에서처럼 요코하마 FC, 이와키 FC, 후지에다 MYFC입니다.

 

 

첫 번째 사진이 요코하마 FC의 구단기고요. 두 번째 사진이 이와키 FC의 구단기입니다. 마지막 세 번째 사진이 후지에다 MYFC의 구단기가 되겠습니다.

 

 

근래 J2의 일부 구단들이 디자인을 변경하면서 구단기도 함께 변경된 경우가 있어서 확인하기로 두 구단 정도는 J1, J3와 마찬가지로 시일이 걸릴 것으로 판단되고요. 디자인이 그대로 유지되고 있는 구단들은 앞서 말씀드린 것처럼 이번 달 안으로 별도의 게시물을 통해 모두 올려놓을 생각입니다. 이와키 FC는 확보한 자료가 이미지여서 당황했는데 다른 자료를 통해서 벡터 자료가 온전히 보존되어 있어서 불행 중 다행으로 자료를 정리할 수 있었습니다.

 

 

내일은 어떻게 될 지 모르지만, 가능하다면 새로운 자료를 정리해서 올릴 생각이고요. 내일 역시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J2의 구단기들을 이어서 정리해서 올려놓도록 하겠습니다.

 

 

 

 

 

2021 신한은행 SOL KBO ALL STAR GAME 엠블럼 로고.ai
0.65MB
2021 신한은행 SOL KBO 포스트시즌 엠블럼 로고.ai
0.19MB
2021 신한은행 SOL KBO 한국시리즈 엠블럼 배경 로고.ai
0.12MB

 

 

 

 

 

 

요청을 받았던 KBO의 2021년 자료들을 드디어 올려놓습니다.

 

 

코로나가 한창 유행이던 2021년 KBO의 자료들을 확보하는 데 애로사항들이 여럿 있었는데요. 요청을 받아서 확보할 수 있을까란 의구심이 떠나지 않았는데 일부 자료는 완벽하게 일부 자료는 다소 아쉬움이 남는 형태로 확보하게 되었습니다. 2021 신한은행 SOL KBO 포스트시즌 공식 엠블럼과 2021 신한은행 SOL KBO 한국시리즈 공식 엠블럼을 요청을 받았는데요. 여기에 기존에 확보하고 있던 2021 신한은행 SOL ALL STAR GAME 공식 엠블럼까지 2021년과 관련이 깊던 KBO의 자료들을 모두 정리하게 되었습니다.

 

 

첫 번째 사진이 2021 신한은행 SOL ALL STAR GAME 공식 엠블럼이고요. 두 번째 사진이 2021 신한은행 SOL KBO 포스트시즌 공식 엠블럼입니다. 마지막 세 번째 사진이 2021 신한은행 SOL KBO 한국시리즈 공식 엠블럼이 되겠습니다.

 

 

앞서 말씀드린 바와 같이 첫 번째 사진의 2021 신한은행 SOL ALL STAR GAME 공식 엠블럼은 기존에 확보한 자료를 정리하는 차원에서 올려놓은 것이고요. 두 번째 사진이 2021 신한은행 SOL KBO 포스트시즌 공식 엠블럼은 4도에 맞게 완벽하게 확보된 자료입니다. 여기까지는 좋은데 반해 마지막 세 번째 사진에 있는 2021 신한은행 SOL KBO 한국시리즈 공식 엠블럼은 2도의 형태입니다. 그라데이션이 적용되지 않고, 색상만 반영된 형태입니다. 4도에 맞는 자료가 확보됐으면 했는데 유감스럽게도 2도의 형태만 확보할 수 있었습니다. 2021 신한은행 SOL KBO 한국시리즈 공식 엠블럼은 볼 때마다 여러 모로 아쉬움이 가득합니다.

 

 

KBO의 공식 발간 자료나 보도자료에 올라오지 않는 경우는 보통 저작권과 연관된 부분이 많을 겁니다. 그래서 벡터가 적용되지 않는 것이고요. 다양한 경로를 통해서 확보하려고 했는데요. 여기서 확보하기는 쉽지는 않을 것으로 사료됩니다. 한국시리즈의 경우에는 시간이 되는 대로 찾아보겠지만 몹시 어려울 것으로 생각됩니다.

 

 

관련된 자료들은 나무위키를 비롯한 백과프로그램에 활용하시면 될 듯 싶고요. 올해는 2021년과 2022년처럼 일본시리즈의 우승 기념 엠블럼을 확보하는 데 시간이 걸릴 것으로 생각됩니다. 한신 타이거스와 히로시마 도요 카프를 제외하면 대체적으로 센트럴리그의 구단들은 확보하기가 수월한 편이 아니라서 시일이 걸릴 것으로 판단됩니다. KIA 타이거즈의 한국시리즈 우승 기념 엠블럼과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즈의 일본시리즈 우승 기념 엠블럼은 확보하는 대로 바로 정리해서 올려놓을 생각이고요. 내일은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J2의 구단기들을 이어서 정리하도록 하겠습니다.

 

 

 

 

 

ALBIREX NIIGATA OFFICIAL FLAG Logo Vector.ai
0.12MB
HOKKAIDO CONSADOLE SAPPORO OFFICIAL FLAG Logo Vector.ai
0.09MB
VISSEL KOBE OFFICIAL FLAG Logo Vector.ai
0.07MB
CEREZO OSAKA OFFICIAL FLAG Logo Vector.ai
0.12MB
SANFRECCE HIROSHIMA OFFICIAL FLAG Logo Vector.ai
0.08MB

 

 

 

 

 

 

어제에 이어서 J1의 구단기들을 마저 올려놓습니다.

 

 

이번 게시물이 J1의 구단기들과 관련하여 잠정적으로 마지막 게시물이 될 듯 싶습니다. 제가 어제 감바 오사카도 함께 예고했습니다만, 감바 오사카가 몇 년 전에 구단의 디자인을 대대적으로 변경하면서 구단기도 함께 바뀌었는데요. 제가 확보한 자료가 유감스럽게도 벡터가 아닌 이미지 파일이었습니다. 크기를 확대했을 때 깔끔해서 벡터로 생각했습니다만, 일러스트레이터를 통해 확인한 결과 레스터라이징을 실행시켜서 이미지로 변경한 파일이었습니다. 그래서 감바 오사카를 제외하고요. 알비렉스 니가타, 홋카이도 콘사돌레 삿포로, 빗셀 코베, 세레소 오사카, 산프레체 히로시마를 정리해서 올려놓도록 하겠습니다.

 

 

첫 번째 사진이 알비렉스 니가타의 구단기고요. 두 번째 사진이 홋카이도 콘사돌레 삿포로의 구단기입니다. 세 번째 사진이 빗셀 코베의 구단기이고요. 네 번째 사진이 세레소 오사카의 구단기입니다. 마지막 다섯 번째 사진이 산프레체 히로시마의 구단기가 되겠습니다.

 

 

기왕에 올려놓게 되는 자료들이 한꺼번에 완벽하게 정리되면 좋은데 한 두 구단이 디자인의 변경되면서 어긋나게 되는 경우가 생겨서 안타까운 마음입니다. 그래서 FC 도쿄와 감바 오사카의 경우에는 추후에 확보되는 대로 별도의 게시물로 완벽하게 정리하도록 하겠습니다.

 

 

이번 게시물을 통해서 잠정적으로 J1의 구단기들을 정리하게 되었고요. 조만간에 J2의 구단기들도 정리할 생각입니다. 좋은 소식과 나쁜 소식이 한 가지가 있습니다. 제가 2021 KBO 포스트시즌 공식 엠블럼과 2021 한국시리즈 공식 엠블럼에 대해서 요청을 받았는데요. 좋은 소식에 대해서 말씀드리면 2021 KBO 포스트시즌 엠블럼은 온전하게 확보했습니다. 이어서 나쁜 소식을 말씀드리면 2021 한국시리즈 공식 엠블럼은 그라데이션이 완벽하게 적용된 4도 자료가 아니라 그라데이션이 아닌 일반적인 색상과 검은색 배경이 적용된 2도 자료를 확보한 상태입니다. 2021 KBO 포스트시즌 공식 엠블럼은 좋은 소식인데 반해 2021 KBO 한국시리즈 공식 엠블럼은 확보하고도 찝찝함이 묻어난다고 해야 할까요. 개인적으로도 몹시 유감스럽습니다.

 

 

내일 2021년 KBO와 관련된 자료들을 정리해서 올려놓을 생각이고요. 드디어 기분을 좋게 만드는 2021 KBO 포스트시즌 공식 엠블럼과 찝찝하게 만드는 2021 KBO 한국시리즈 공식 엠블럼을 정리해서 올려놓도록 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