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영혼

 

 

 

 

 

NIPPON-HAM COMPANY OLD Logo Vector.ai
0.05MB
NIPPON-HAM FIGHTERS EMBLEM Logo Vector.ai
0.06MB
NIPPON-HAM FIGHTERS MASCOT FIGHTIE APPLICATION PITCHING Logo Vector.ai
0.09MB
NIPPON-HAM FIGHTERS MASCOT FIGHTIE ORIGINAL Logo Vector.ai
0.09MB

 

 

 

 

 

닛폰햄 파이터즈의 도쿄 시절 마스코트였던 파이티입니다.

 

 

나무위키를 비롯한 백과 프로그램에서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즈의 마스코트 항목에 교료탄과 파이티라는 단어가 나옵니다. 파이티가 바로 교료탄과 함께 도쿄 시절의 마스코트로서 활약했습니다. 제가 올린 자료가 나무위키에 서술되어 있는 파이티가 되겠습니다.

 

 

첫 번째 사진이 닛폰햄 파이터즈의 모기업인 닛폰햄의 예전 CI입니다. 닛폰햄은 일본 현지에서 생선, 육류 등의 가공업체이고요. 유제품이라던가 요거트 같은 제품도 제조합니다. 그래서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즈, 치바 롯데 마린즈가 일본프로야구에서 대표적인 식음료 모기업을 두고 있는 구단들이지요. 두 번째 사진이 닛폰햄 파이터즈의 예전 엠블럼입니다. 도쿄 시절을 상징하는 자료이기도 하고, 제가 도쿄 시절 관련해서 처음으로 확보한 자료이기도 합니다.

 

 

세 번째 사진과 네 번째 사진이 제가 말씀드린 파이티입니다. 바로 도쿄 시절의 마지막과 홋카이도 시절의 초창기에 걸쳐 활약했던 마스코트였습니다. 세 번째 사진과 네 번째 사진의 각각 차이점은 세 번째 사진이 투구 활용 버젼이고요. 네 번째 사진이 기본형입니다.

 

 

닛폰햄 파이터즈가 2003년부터 삿포로 돔에서 홈경기 중에 일부를 편성하기 시작합니다. 치바 롯데 마린즈의 이전 명칭이던 롯데 오리온즈 역시 카와사키 구장을 뒤로 하고 1990년과 1991년에 치바마린스타디움에서 홈경기 중에 일부를 편성하기도 하고, 시범경기에 해당하는 오픈전에서도 치바마린스타디움에서 경기를 펼치기도 했습니다. 그러다 롯데 오리온즈가 카와사키 시절을 뒤로 하고 치바 시절을 본격적으로 열었지요.

 

 

닛폰햄 파이터즈도 삿포로로 연고지를 이전한 배경에는 일본 자체인 쿄진군 요미우리 자이언츠의 존재가 절대적이었던 데다 쿄진군 요미우리 자이언츠와 함께 홈구장인 도쿄 돔을 사용함으로서 생기는 불편한 점이 이만저만이 아니었습니다. 도쿄 돔에서 쿄진군 요미우리 자이언츠의 홈경기와 닛폰햄 파이터즈의 홈경기를 비교하면 극과 극이라는 표현이 떠오를 만큼 양 구단의 인기는 그야말로 대조적이었지요. 생각해 봐야 하는 문제가 닛폰햄 파이터즈는 쿄진군 요미우리 자이언츠와 달리 퍼시픽리그에 속한 구단이었고요. 여기에 도쿄 지역의 나머지 틈새도 야쿠르트 스왈로즈가 차지하면서 닛폰햄이 도쿄를 연고로 함에도 불구하고 쿄진군 요미우리 자이언츠와 야쿠르트 스왈로즈에 비해 인기도 존재감도 크게 밀렸지요. 앞서 말씀드린 도쿄 돔을 쿄진군 요미우리 자이언츠와 함께 사용하면서 생기는 불편함도 컸고요.

 

 

그래서 이러한 이유들로 인해서 닛폰햄 파이터즈가 도쿄 돔을 떠나 삿포로 돔으로 연고지를 이전하는 데 결정적인 영향을 끼칩니다. 또한, 닛폰햄그룹 측에서 앞서 카나가와현 카와사키시에서 치바현 치바시로 연고지를 이전했던 치바 롯데 마린즈의 사례를 벤치마킹해서 닛폰햄 파이터즈의 삿포로 이전을 적극 추진한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2004년부터 닛폰햄 파이터즈가 연고지인 삿포로시의 명칭을 추가해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즈로 팀명을 개칭한 뒤에 지역 밀착 마케팅의 활성화 등을 통해 현재는 삿포로시의 일원으로 완전하게 정착하게 됩니다.

 

 

도쿄 시절을 상징하는 마스코트인 파이티는 익룡을 모티브로 만든 캐릭터입니다. 등번호는 100번이었고요. 1993년부터 2003년까지 사용된 홈 유니폼이 적용되어 있습니다.

 

 

닛폰햄 파이터즈의 도쿄 시절 마스코트인 파이티를 정리했고요. 관련해서 심볼, 기사도의 엠블럼, 구단기, 유니폼, 또 다른 마스코트인 교료탄을 확보하는 대로 본 블로그에 올릴 예정입니다. 네 번째 사진의 기본형을 활용하셔서 나무위키를 비롯한 백과프로그램에 정리하시면 될 듯 싶습니다.

 

 

 

 

 

CHUNICHI DRAGONS MASCOT DOALA 2019 HOME UNIFORM APPLICATION ECO BAG Logo Vector 추가.ai
0.23MB
CHUNICHI DRAGONS MASCOT DOALA 2019 HOME UNIFORM APPLICATION HAORI WELCOME Logo Vector.ai
0.32MB
CHUNICHI DRAGONS MASCOT DOALA HOME UNIFORM 2018 APPLICATION HAORI Logo Vector.ai
0.35MB
CHUNICHI DRAGONS MASCOT DOALA HOME UNIFORM 2018 APPLICATION WHALE SHARK Logo Vector.ai
0.37MB
CHUNICHI DRAGONS MASCOT DOALA HOME UNIFORM 2018 APPLICATION WHISPER FLOWER Logo Vector.ai
0.35MB
CHUNICHI DRAGONS MASCOT DOALA ORIGINAL Logo Vector.ai
0.12MB

 

 

 

 

 

오랜간만에 일본프로야구의 깨방정 마스코트 또는 일본프로야구의 만능엔터테이너로 불리는 도아라를 올립니다.

 

 

2019년에 새롭게 제작한 홈 유니폼을 착용한 버젼들 중에서 특색 있는 자료들을 선별해서 본 블로그에 올려놓게 되었습니다.

 

 

첫 번째 사진이 에코백을 메고 다니는 도아라, 두 번째 사진과 세 번째 사진이 하오리라는 일본의 전통 의상을 착용한 도아라가 되겠습니다. 네 번째 사진이 고래상어를 타고 다니는 도아라, 다섯 번째 사진이 귓속말로 속삭이는 도아라가 되겠고요. 마지막 여섯 번째 사진이 2019년 홈 유니폼이 적용된 기본형입니다.

 

 

제가 도아라의 관련 자료를 올리는 걸 보면서 도아라가 일종의 밈 같은 존재라는 생각이 듭니다.

 

 

주니치 드래곤즈의 도아라를 오래간만에 올리게 되었고요. 이어서 닛폰햄 파이터즈의 도쿄 시절 마스코트로서 활약을 펼쳤던 파이티를 올려 두도록 하겠습니다.

 

 

 

 

 

HOKKAIDO NIPPON-HAM FIGHTERS MASCOT BRISKY THE BEAR 2004 ORIGINAL Logo Vector 흑백.ai
0.13MB
HOKKAIDO NIPPON-HAM FIGHTERS MASCOT BRISKY THE BEAR 2004 ORIGINAL Logo Vector.ai
0.14MB
HOKKAIDO NIPPON-HAM FIGHTERS MASCOT BRISKY THE BEAR 2004 2010 HOME UNIFORM ORIGINAL Logo Vector.ai
0.13MB
HOKKAIDO NIPPON-HAM FIGHTERS MASCOT BRISKY THE BEAR Logo Vector.ai
0.14MB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즈의 메인 마스코트였던 브리스키 더 베어의 자료들입니다.

 

 

얼마 전에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즈의 메인 마스코트였던 브리스키 더 베어의 예전 자료를 확보하면서 기존에 있던 자료들과 함께 브리스키 더 베어에 대해 정리하는 차원에서 이번 게시물을 올렸습니다.

 

 

첫 번째 사진과 두 번째 사진이 2004년 한 해 동안만 사용된 브리스키 더 베어의 디자인입니다. 각각의 차이는 흑백과 컬러의 차이고요. 기존의 마스코트였던 파이티를 홋카이도로 이전한 후에 2005년까지 2년 동안 유지한 뒤에 은퇴시켰고요. 동시에 2004년부터 브리스키 더 베어를 별도로 만들면서 마스코트들도 개편하기 시작합니다. 파이티와 브리스키 더 베어가 2년 동안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즈의 마스코트로 활약했습니다. 그리고, 첫 번째 사진과 두 번째 사진의 친근하면서도 곰의 우직함을 담고 있는 브리스키 더 베어는 앞서 말씀드린 것처럼 2004년에만 사용된 디자인입니다. 우리가 알고 있는 브리스키 더 베어는 2005년에 등장합니다.

 

 

세 번째 사진과 네 번째 사진이 우리에게 알려진 브리스키 더 베어인데요. 현재 활동 중인 브리스키 더 베어는 2005년에 처음으로 모습을 드러냅니다. 세 번째 사진은 2004년부터 2010년까지 사용된 홈 유니폼을 착용하고 있는 모습이고요. 네 번째 사진이 2011년부터 2021년 현재까지 사용 중인 홈 유니폼을 착용하고 있는 모습입니다. 브리스키 더 베어는 2018년 초를 끝으로 메인 마스코트를 프렙 더 폭스에게 넘겨주고 일선에서 물러나 환경과 어린이 행사 같은 다른 곳에서 활동하고 있습니다. 물론, 간간히 삿포로 돔에도 모습을 드러냅니다.

 

 

희소성이 있는 브리스키 더 베어의 초창기 모습을 확보하게 되어 기존의 자료들과 함께 정리했고요. 주니치 드래곤즈의 메인 마스코트인 도아라의 현재 모습도 이어서 올려 두도록 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