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영혼

 

 

 

 

 

많은 의미를 갖는 승차권이다.

 

 

첫 번째로 처음으로 발권한 무궁화호 RDC의 승차권이라는 점이다. 열차의 탑승을 위해서 또는 단순히 수집을 위한 목적으로 발권한 승차권들 중에서 무궁화호 RDC 승차권이 없었다. 물론, 무궁화호 RDC를 예전에 탑승한 적은 있었지만, 승차권을 수집하기 전에 탑승했던 터라 수집한 승차권은 없었다.

 

 

두 번째로 역사 속으로 남게 된 승차권이라는 점이다. 강릉 ↔ 동해 구간을 운행하는 셔틀열차가 전부 6월 1일부로 누리로로 운행하게 되면서 역사적인 의미를 갖게 된 승차권이 되었다. 동시에 동해역에서 촬영한 무궁화호 RDC 열차와 행선판도 역사적인 의미를 확보하게 된 셈이다. 지금 와서 보면 단기간만 운행하고 종료된 열차의 승차권을 확보한 것도 처음이라는 생각이 든다.

 

 

이번 승차권도 수집하기 위한 목적에서 발권한 승차권이다. 이번 승차권과 관련되어 나름의 에피소드가 존재한다. 동해역에서 무심결에 동해 ↔ 강릉 구간의 승차권을 발권하려고 했으나 다행스럽게도 동해 ↔ 정동진 구간으로 발권할 수 있었다. 금전적인 차이가 존재했기 때문이었다. 만약 강릉까지 발권했다면 운임이 2,900원을 지불했겠으나 역직원의 보이지 않는 배려로 정동진까지 발권해서 기본운임인 2,600원에 발권할 수 있었다. 역직원의 친절함과 보이지 않는 배려에 더욱 기분이 좋아졌다.

 

 

무궁화호 RDC와 신기역을 목표로 철도와 함께 한 하루였는데, 정말로 기분 좋은 기억만 남아 있던 하루였다.

 

 

 

 

 

간만에 발권한 차내승차권이 되겠다.

 

 

차내승차권을 발권한지도 어느덧 2년이란 시간이 흘렀다. 처음으로 차내승차권을 발권한 시기가 2018년 청소 ↔ 대천 구간을 운행하는 무궁화호 1557 열차에서였다. 그래서 이번 신기 ↔ 동해 구간을 운행하는 무궁화호 1682 열차에서 발권한 승차권은 처음의 의미를 갖는 건 아닌 셈이다.

 

 

차내승차권은 우리가 일상적으로 접하는 승차권과는 다른 맛이 있다. 발행창구에 적혀진 숫자도 특별하게 느껴진다.

 

 

신기역에서 매표창구를 지금도 운영했다면 신기역에서 승차권과 입장권을 각각 발권했겠지만, 이미 2010년 5월 무렵에 매표창구의 운영이 중지되고, 승차권 차내취급역으로 지정되는 바람에 그야말로 옛날 일이 되어 버렸다. 마침 차내승차권을 발권하고 싶었던 터라 신기역의 승차권도 수집하고 싶은 생각에서 차내승차권을 발권하게 된 것이다. 다행히도 승차권 차내취급역으로 차내승차권 발권시 별도의 추가금이 붙지 않는다는 점이다.

 

 

이번 차내승차권은 보관하는 과정에서 귀퉁이가 살짝 찢어졌다. 이번 답사의 한 가지의 흠이라고 볼 수도 있겠다. 온전했으면 좋았겠지만, 그래도 심하게 훼손된 건 아니라는 점에서 위안을 삼는다.

 

 

이렇게 갖고 싶었던 차내승차권도 두 번째로 확보했다.

 

 

 

 

 

처음의 의미를 갖는 동해역 종착 승차권이 되겠다.

 

 

1682 열차는 여러 차례 탑승한 적이 있는 열차지만, 종착역이 강릉역 내지 정동진역이었다. 그러다가 지난 3월 태백선, 영동선 계통 일반열차의 시종착역이 강릉역에서 동해역으로 조정됨에 따라 승차권에 찍힌 종착역은 동해역이 되는 셈이다.

 

 

같은 열차번호를 갖고 있지만, 시간이 흘러감에 따라 다양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는 것을 새삼스레 떠올리게 된다. 일반열차 감축 및 무궁화호 자연 도태에 따라 향후에는 운행하는 열차등급도 변경되지 않을까란 생각도 든다.

 

 

신기역이 승차권 차내취급역이라 돌아올 때를 대비해 동해역에서 미리 승차권을 발권했다고 보면 된다. 그래도 차내승차권도 추가로 확보하고 싶어서 소장하기 위한 목적으로 열차에 탑승했을 때 신기 ↔ 동해 구간의 차내승차권도 여객전무로부터 별도로 발매를 했다. 신기역을 선택한 이유 중에 하나가 바로 승차권 차내취급역이라 별도의 추가금이 붙지 않아서다. 매표창구를 운영하는 역에서 차내승차권을 발매하면 기본 운임에다가 추가금이 별도로 붙는다.

 

 

추후에 그간 확보한 무궁화호 1682 열차의 승차권을 통해서 시대적인 정리를 해볼까 한다.

 

 

 

 

 

동해역에서 처음으로 발권한 승차권이 되겠다.

 

 

이번 승차권은 동해역에서 처음으로 발권했다는 점이 큰 의의가 있다. 또한, 2020년대 처음으로 발권한 승차권이라는 것이다. 발권한 승차권을 통해 동해역에서 처음으로 열차에 탑승했다는 것도 의의를 두고 싶다. 또한, 처음으로 탑승한 태백선의 누리로 열차라는 것이다. 1640 누리로 열차를 제외하고는 전부 무궁화호 열차만 탑승을 했다. 그러다가 지난 3월 열차가 조정되면서 태백선에서 처음으로 누리로를 탑승하게 된 것이다.

 

 

며칠 전에 누리로 열차들을 포스팅하면서 다하지 못한 이야기가 바로 동해역에서 처음으로 탑승한 열차라는 점과 태백선에서 처음으로 탑승한 누리로 열차라는 점이다. 며칠 전에 올린 누리로 열차들과 이번 누리로 승차권이 갖는 의미는 상당히 각별하다고 볼 수 있다.

 

 

열차에 탑승했을 때는 잘 몰랐는데, 촬영한 사진과 발권한 승차권들을 정리하면서 새롭게 접한 동해역과 열차들이 한결같이 내게 처음이라는 의미라는 걸 깨달을 수 있었다. 지금 생각해 보면 단순히 무궁화호 RDC 열차를 담기 위해 갔던 게 여러 의미를 부여했던 것이다.

 

 

이번 답사를 통해 생각지도 못한이라는 표현을 제대로 실감했다고 볼 수 있다.

 

 

 

 

 

마음 편하게 발권한 승차권이라고 보면 된다.

 

 

목표를 달성하고 난 뒤에 발권한 승차권이라 마음이 엄청 홀가분했다.

 

 

이번 승차권은 탑승의 목적이 아니라 소장하고자 발권한 승차권이라고 보면 된다. 임기를 목적지로 선정했던 건 무궁화호의 기본 요금 구간이면서 동시에 하루에 1왕복만 운행하는 역이기 때문이다. 임기역의 경우 영주 방면으로는 무궁화호 1671 열차와 강릉 방면으로는 무궁화호 1674 열차가 각각 1편도씩 정차를 한다. 몇 년 전에 무인화가 된 상황이라 역의 운명이 오늘 내일 하는 셈이기도 하다.

 

 

내가 나름대로 선정한 기준에는 부합하지는 않지만, 시간이 될 때 임기역과 현동역에 다녀올 생각이다.

 

 

철암역에는 자주 다녀왔음에도 불구하고 승차권과 입장권을 발권하지 않았다. 이번에는 목표했던 8000호대도 담았고, 기존에 발권하지 않았던 승차권과 입장권도 같이 발권해두면서 어느 정도 마무리가 된 듯 싶다. 선로 방향 역사 전경의 모습과 입장권을 통해서 다사다난했던 기존의 여정도 마무리를 할 생각이다.

 

 

 

 

 

강릉에서 동백산까지 이용했던 무궁화호 승차권이다.

 

 

승차권이 기존에 올렸던 승차권과는 확연히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바로 기존에 올렸던 승차권과는 달리 MS승차권이 되겠다. 동시에 본 블로그에 처음으로 올리는 MS승차권이기도 하다.

 

 

MS승차권은 자성승차권이란 정식 명칭을 가지고 있다. 다만, 디자인에 기인하여 MS승차권으로 불리고 있다고 보면 된다. MS승차권은 지공승으로 불렸던 지정공통승차권의 후속으로 도입된 승차권이다. 그러니까 코레일의 간선철도망에 도입된 승차권이기도 한데, 등장한 시기가 KTX가 처음으로 운행을 시작한 2004년에 도입이 되었다. 본래는 승차권 발매 창구와 자동발매기에서 동시에 사용하던 규격이었으나, 승차권 발매 창구의 경우 바코드 승차권으로 교체되었다. 따라서 현재는 승차권 자동발매기에서 주로 사용되고 있고, 이외에 TMO, 코레일에서 지정한 대리점에서도 발권하게 되면 MS승차권을 받게 된다.

 

 

MS승차권이 도입된 2004년 이래로 글자의 위치 등을 비롯해 조금씩 변동이 되어 왔다.

 

 

한편, 본 블로그에 올라왔던 승차권과 입장권들의 경우 바로 열전사 프린터가 사용되어 감열지로 출력된 바코드 승차권인 것이다.

 

 

철암역으로 가기 전 문득 승차권의 형태를 바꿔볼까란 생각이 들어서 기존의 바코드 승차권이 아닌 강릉역의 자동발매기에서 발권을 했는데, 8000호대를 담을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승차권 하나 바꿨을 뿐인데 좋은 결과로 이어진 셈이다.

 

 

블로그에 처음으로 올린 기존과 다른 형태의 승차권이면서 동시에 8000호대와 인연이 된 승차권이라 내겐 각별함 이상의 승차권이기도 하다.

 

 

 

 

 

시간의 순서가 반영되어 있는 승차권이라고 보면 된다.

 

 

첫 번째 승차권은 태백역에서 정동진역까지 8월 9일에 이용했던 무궁화호 1633 승차권이다. 무더위가 기승을 부렸던 시기라 땀과 소금의 풍미를 느꼈던 하루가 아니었나 싶다. 목표했던 8000호대는 담지도 못한 채 말 그대로 힘 없이 내려왔다. 그래도 8500호대 전기기관차들의 중련 모습과 7500호대 디젤기관차를 처음으로 담았던 것, 그리고 오랜 기다림 끝에 정동진의 푸른 바다를 배경으로 바다열차를 담을 수 있었던 게 푹푹 찌는 날의 위안이자 소득이었다.

 

 

두 번째 승차권은 동백산역에서 강릉역까지 8월 27일에 이용했던 무궁화호 1633 승차권이다. 올해는 다행스럽게도 작년에 비해 장마기간이 길고, 태풍의 존재로 인해 무더위가 비교적 일찍 꺾였다. 강릉역에서 출발하여 동해역에 도착할 무렵 비가 내리기 시작할 정도로 날씨가 여름치고는 더위와는 무관한 편이었다. 특히, 태백에 도착했을 때는 비가 그치기 시작해 높은 고도 탓에 선선하다고 느껴질 정도였다. 이 날은 그냥 8월 9일에 우연히 만났던 기관사분들의 조언을 참고하여 화요일에 찍어서 방문했는데, 그토록 고대했던 8000호대를 카메라에 담을 수 있었다. 개인적으로 담고 싶었던 8093호와 8094호를 모두 담을 수 있었던 그야말로 겹경사였다. 철암역에서 만났던 역직원분의 안내와 도움이 컸음을 이 글을 통해 꼭 말하고자 한다. 8000호대 전기기관차들은 물론, 7500호대 디젤기관차, 8500호대 전기기관차 중련까지 화물 전용 기관차들은 모조리 담고 왔다고 보면 된다.

 

 

동백산에서 강릉까지 발권한 승차권은 2017년에 동백산역이 차내취급역으로 전환됨에 따라 철암역의 매표창구에서 발권을 했다는 차이점이 있다. 돌아올 때 필요한 승차권과 철암에서 임기 구간의 승차권, 철암역의 입장권까지 발권해서 홀가분한 마음으로 돌아올 수 있었다. 돌아올 때 비구름을 잔뜩 머금었던 하늘이 언제 그랬냐는 듯 푸른 하늘로 변하기 시작했다.

 

 

아무래도 정말 담고 싶었던 8000호대를 담아서 그런지 지금에서야 마음 편하게 글을 쓸 수 있는 것 같다.

 

 

3전 4기의 실패를 거듭하고, 성공했다. 실패 속에서 다음에는 성공할 것이라는 유쾌함이야말로 삶을 활기차게 해주는 원천이라고 생각한다.

 

 

 

 

 

이 승차권도 역시 실패를 경험하게 해줬던 승차권이다.

 

 

본래 목표였던 8000호대 전기기관차와는 인연이 없었기 때문이다.

 

 

결과적으로 보면 실패라는 결과물을 전달한 승차권일지 모르지만, 특별한 의미도 함께 갖고 있는 승차권이 되겠다.

 

 

바로 생애 처음으로 해태중공업 객차를 탑승했기 때문이다.

 

 

동시에 처음으로 해태중공업 객차를 탑승했다는 걸 증명해주는 승차권이기도 하다.

 

 

8000호대와 인연이 안된 건 어쩔 수 없지만, 그래도 해태중공업 객차를 처음으로 타봤다는 데에는 큰 의의가 있는 셈이다. 태백선과 중앙선에서 2018년 12월까지 무궁화호 특실이 운영될 때만 하더라도 특실로 승차권을 발권했을 때를 보면 한결같이 해태중공업 객차가 아닌 새마을호 격하형 객차가 걸렸다. 그런 점에서 보면 해태중공업 객차와는 그간 인연이 전혀 없었던 것이었다.

 

 

1998년에 생산된 객차를 2019년에 처음 탑승하게 된 만큼 내겐 찍었던 사진과 발권한 승차권이 지금도 특별하게 다가온다.

 

 

 

 

 

석포에서 임기까지 단순히 소장하기 위해 발권한 승차권이 되겠다.

 

 

소장하기 위한 승차권인데, 설정한 목적지로 임기를 택한 건 강릉역에서 출발한 열차가 임기역에 딱 한 번 정차하는 열차이기 때문이다.

 

 

임기역의 경우 1왕복의 영동선 열차만 정차하는 셈이니, 여객열차가 참으로 귀하다고 볼 수 있겠다.

 

 

참고로, 임기역의 경우 현재는 강릉에서 동대구로 향하는 1671 열차와 반대로 동대구에서 강릉으로 향하는 1674 열차 단 2편도의 열차만이 정차한다.

 

 

무궁화호 객차의 감소와 비수익노선들의 불투명한 전망을 볼 때 소규모 기차역들의 전망도 그리 밝지 않다는 점을 생각해볼 때 석포와 달리 임기의 전망도 불투명하다고 볼 수 있다. 그래도 이러한 현실적인 예측과는 달리 임기역에 역으로서 생명 숨쉬고, 여객열차가 계속 정차했으면 하는 속마음은 어쩔 수 없다.

 

 

 

 

 

어제는 태백선의 승차권이었다면 오늘은 영동선의 승차권이 되겠다.

 

 

강릉과 영주 구간을 잇는 영동선은 영주에서 봉화까지는 산과 농촌의 풍경이 펼쳐진다면, 봉화부터 강릉까지는 바다와 계곡의 풍경이 펼쳐진다.

 

 

전철화가 됐을지언정 산과 농촌, 그리고 바다와 계곡의 풍경을 고스란히 담고 있는 모습이 태백선과 영동선이 선사해주는 모습이 아닌가 싶다.

 

 

주요 연선들이 전철화되고, 신선으로 이설하면서 자연과 호흡할 수 있는 풍경들이 하나둘씩 사라져가는 모습에 비추어 볼 때 태백선과 영동선이 간직하고 있는 모습은 보물이 아닐 수 없다.

 

 

석포역에서 겪었던 모습들도 내겐 꽤 생소하면서도 색다른 멋이 있었고, 석포에서 강릉까지 무궁화호를 타고 가면서 펼쳐진 비경도 아름다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