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영혼

 

 

 

 

 

그간 수집한 CDC 디젤동차의 베리에이션들이다.

 

 

CDC 디젤동차를 처음 접했던 건 개조형이었던 무궁화호 RDC였고, 카메라에 처음으로 담았던 건 평화열차 DMZ-Train이었다. 평화열차 DMZ-Train에 이어 CDC 디젤동차, 바다열차, RDC 무궁화호의 순서로 카메라에 담았다. 하나 빼곤 다 담은 셈이다. 아직 담지 못한 한 가지가 과거 경북관광순환테마열차였던 경북나드리열차다. 한 종류씩 찍었던 게 어느덧 한 종류만 남게 되었다.

 

 

지금 찍은 사진들을 다시 보면서 역시 시간이 빨리 흐른다는 사실이다. 당시 보통 등급 여객 완행 열차인 통근열차가 없어진다는 소식을 듣고, 평화열차와 경원선, 초성리역과 전곡역까지 아울러서 다녀왔던 게 벌써 일 년이 훌쩍 지났다. 목표했던 8000호대 전기기관차를 놓치고, 정동진역에서 바다열차를 담았던 시절도 일 년 가까운 시간이 흘렀다. 영동선을 운행하는 무궁화호 RDC를 담았던 것도 어느덧 한 달이 다 되어 간다.

 

 

이렇게 찍어 둔 사진을 보고 추억을 회상할 수 있는 것도 재미지다는 생각이 든다. 초성리역에서 스텝이 꼬였던 것과 보기 좋게 8000호대 전기기관차를 놓치고, 바다열차라도 담자는 생각에 한여름의 무더위가 기승을 부리는 정동진역에서 대기타던 시간까지 기억의 한 편으로 자리잡았다.

 

 

이렇게 보면 시간이 아니라 사진이 약이라는 생각이다. 코로나가 진정되고 경북나드리열차를 담아서 2019년의 시간도 다시 한 번 회상하고 싶다.

 

 

 

 

 

2019년 기해년 한 해가 이렇게 저물어간다.

 

 

2019년 기해년 한 해가 저물어가면서 동시에 2010년대도 역사의 한 편으로 남게 된다.

 

 

2019년 황금돼지해의 철도 결산 중에 단연 손꼽힐 만한 건 경원선을 달리던 CDC 통근열차의 운행정지다. 운행정지라고 하지만 향후 경원선에서 통근열차를 볼 수 없는 게 맞다. 복선전철화가 될 즈음엔 수도권 전철이 통근열차를 대신하게 될 것이기 때문이다.

 

 

통근열차와 함께 경원선을 누비던 평화열차 DMZ-Train도 차량의 내구연한을 이유로 폐지될 가능성이 몹시 크다.

 

 

CDC 통근열차를 바탕으로 탄생해 강원도 동해안의 아름다운 풍경을 선사하는 바다열차 역시 누리로를 비롯한 대체 차량이 검토되고 있어서 CDC를 접할 수 있는 날이 그리 많지 않다.

 

 

통근열차를 타보자고 꼭 시간을 내서 가본 게 지금에서야 빛을 발휘하는 것 같다. 사진을 통해 차량과 행선판을 남겼고, 역사의 한 자락을 사진으로 남길 수 있어서다.

 

 

통근열차에 이어 무궁화호도 운영 시기가 얼마 남지 않았다고 한다. 무궁화호가 퇴역하게 되면 한국철도 역사상 객차형 여객열차가 사라지는 것을 의미하는데, 다가오는 2020년대에도 객차형 무궁화호의 마지막을 꼭 담으리라 다짐한다.

 

 

 

 

 

2016년 당시 정동진, 철암, 승부, 양원, 분천에 다녀왔을 때 담았던 사진이 떠올라 올리게 된 게시물이다.

 

 

당시 담아놓았던 사진들을 다시 찾아보면서 추억에 빠지기도 하고, 의미 있는 사진을 남겨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의미 있는 사진은 추후에 올려놓도록 하고, 첫 번째 사진이 바로 그것이다. 2016년에는 엄연히 새마을호 격하형 객차와 해태중공업 객차가 모두 무궁화호 특실로 취급되던 시절이다. 여기에 강릉역의 공사로 인해 태백선과 영동선을 운행하는 무궁화호와 바다열차 모두 정동진역 착발로 조정이 되어 운영이 되기도 했다. 덤으로 강릉역에서 정동진역까지 셔틀버스를 이용해야만 했는데, 이용 요금 2,000원도 지불해야 했다. 그래도 무궁화호 기본 요금인 2,600원에 비해 적게 책정이 됐다지만, 중간에 환승해야 하는 수고로움이 있었으니 나름의 불편함이 존재하고 있었다.

 

 

정동진에서 열차가 출발하기 전 새마을호 격하형 특실을 처음 접하게 되어 자연스레 카메라로 담았다. 그리고, 3년이 지나 해태중공업 객차도 처음 접하게 되어 이때는 폰으로 담았다.

 

 

둘 다 특실 출신이라는 점, 현재는 일반실로 격하됐다는 점, 객차의 출입문이 새마을호와 똑같다는 공통점이 존재하는 데 반해 제조사가 다르다는 점과 격하형 객차는 엄연히 새마을호 등급으로 운영되다가 강등됐다는 점, 해태중공업 객차는 처음부터 특실을 목적으로 두고 제조되었다는 차이점이 존재한다.

 

 

여기에 각각 1998년과 1999년 '국민의 정부' 시절에 제조되었다는 공통점도 있다 하겠다. 격하형은 카메라로 해태중공업은 폰으로 찍었다는 차이점도 있으니 이번 게시물이야말로 복잡다단한 셈이다.

 

 

개인적으로 1999년에 제조된 새마을호 객차와 해태중공업 특실 객차를 좀 더 여유롭게 생산을 했으면 어땠을까란 생각이 들기도 한다. 1999년에 제조된 새마을호 객차의 경우 대략 50~60량 정도로 생산이 되고, 해태중공업 특실 객차도 비슷한 규모로 생산이 되었다면 리미트 객차를 개조할 필요가 없이 장항선은 99년산 새마을호 객차를 여유롭게 투입할 수 있었을 것이고, 해태중공업 특실 객차도 특실로써 여유롭게 활용할 수 있었을까란 생각에서였다. 그래서 가끔 미래를 정확하게 예측만 할 수 있다면 하는 생각이 드는 건 어쩔 수 없나 보다.

 

 

 

 

 

8000호대를 놓치고, O-Train이 운행하는 시간까지 기다릴 여유가 없어 바다열차로 방향을 선회했다.

 

 

바다열차는 2007년 7월 24일부터 영업을 시작한 관광열차로써 다른 관광열차들에 비해 역사와 시기가 오래된 열차이다.

 

 

2007년부터 2019년 현재까지 삼척선을 경유하는 유일한 여객열차이기도 하다. 원래는 강릉역에서 삼척역까지 운행을 하나 삼척역의 동해선 공사로 인해 현재는 삼척해변역까지만 운행한다. 2014년 12월부터 2018년 7월까지 경강선의 공사로 인해 안인역을 경유해 정동진역에서 삼척역까지만 운행을 한 역사를 감안해보면 나름의 곡절이 있다고 하겠다. 

 

 

특히, 바다열차라는 명칭처럼 빼어난 바다의 풍경을 보여주는 열차로 정평이 난 관광열차이기도 하다.

 

 

한편으로, 바다열차는 코레일에게 있어서 효자나 다름없는 열차인데, 바로 원판인 CDC를 개조해서 관광열차로 재탄생한 것은 물론, 새마을호 열차등급으로 운영됨과 동시에 그에 걸맞는 운임을 받기 때문이다. CDC가 바로 통근열차라는 걸 감안해보면, 평화열차와 함께 코레일에게는 효자와 같은 존재로 볼 수 있다.

 

 

첫 번째 사진을 유심히 보면, 철도와 밀접한 관련된 주제가 등장하는 데, 바로 완목신호기가 되겠다. 지금이야 사용이 되지 않지만, 2004년까지 정동진역에서 완목신호기가 사용된 적이 있다고 한다. 완목신호기를 찍어둔 걸 실수로 날려버린 탓에 다음에 정동진에 갈 일이 있다면, 제대로 담고 올 생각이다.

 

 

더운 날씨는 제쳐 두고, 파란 하늘 아래 푸른 바다를 곁에 두고 달리는 바다열차를 카메라에 담은 것 역시 7500호대와 더불어 이 날의 커다란 소득이었다.

 

 

 

 

 

철암역에서 맞이한 4400호 디젤기관차와 8500호대 전기기관차가 되곘다.

 

 

사실, 내겐 꿩 대신 닭 같은 입장이었는데, 4400호대나 8500호대가 아닌 8500호대가 본래의 목적이었기 때문이다.

 

 

결국 아쉬움을 달래고자 4400호대와 8500호대를 각각 카메라에 담게 되었다. 4400호대는 4456호, 8500호대는 각기 중련으로 8533호-8555호, 8560호-8531호의 형태이다.

 

 

사진으로 보면 선로에 들어간 것 같은 착각을 불러일으킬 만도 한 데, 당연히 선로 밖에서 찍은 사진이다.

 

 

다음에는 8000호대와 4400호대도 온전하게 담을 수 있으면 하는 바램과 바다열차, 백두대간협곡열차인 V-Train도 함께 담아볼 수 있으면 하는 희망을 동시에 가져본다.

휴일이던 한글날을 맞아 머리를 식힐 겸 정동진역을 다녀왔다.

 

이 날 한글날을 마치 반겨주듯 하늘도 맑았고, 바다와 날씨 모두 푸른빛을 보여주었다.

 

사실, 정동진역은 간이역이라 부르기에는 다소 어중간한 존재가 아닐까 싶다. 과거야 어엿한 바다를 끼는 아름다운 간이역 그 자체였지만, 히트를 쳤던 드라마가 대중에게 나오며 간이역의 범주에서는 벗어났다고 보는 게 맞을 것이다.

 

간이역이면 어떻고, 간이역이 아니면 어떠랴...

 

역직원이 있고, 열차를 탑승하는 사람들도 있고, 역 자체가 하나의 관광지가 되어 사람을 맞이하는 온전히 역으로서 역할을 다하면 그뿐이 아닐까?

 

 

 

○ 정동진역의 역사

 

- 1962년 11월 6일 보통역으로 영업 개시

 

- 1962년 11월 11일 현재 역사 준공

 

- 1988년 1월 1일 소화물차 취급 중지

 

- 1996년 1월 1일 여객 취급 중지

 

- 1997년 3월 15일 플랫폼 구조 변경 및 여객 취급 재개

 

- 2002년 7월 16일 태백선 새마을호 열차 정차 (2006. 10. 31일 까지)

 

- 2005년 9월 1일 전철화 개통

 

- 2005년 9월 30일 화물 취급 중지

 

- 2014년 9월 15일 원주 ↔ 강릉선 공사로 인하여 임시 시종착역 기능 수행 

 

 

 

 

 

 

정동진역의 기둥형 역명판이 반겨주고 있었다. 기둥형 역명판을 뒤로한 푸른 바다에서 내는 푸른 내음을 전해주며 마치 날을 잘 잡았다고 반겨주는 듯했다.

 

 

 

 

소위 말하는 근성열차로 불리는 1691 정동진 ↔ 부산의 무궁화호 열차가 떠난 뒤였다. 어딘가로 떠나는 이들을 태운 무궁화호 열차는 출발하고, 정동진역을 여행하기 위해 찾아온 이들이 역을 둘러보거나 푸른 바다을 바라보며 상념에 잠긴 듯했다. 푸른 날씨와 푸른 바다를 보며 그간 나도 모르게 쌓인 스트레스가 시나브로 날아가고 있었다.

 

이렇듯 정동진역은 바다와 하늘, 더 나아가 자연을 사람에게 전해주는 소중한 존재인 듯 싶다. 

 

 

 

 

푸른 바다, 푸른 하늘과 잘 어울리는 소나무가 곳곳에 자리를 잡고 있었다. 사실, 정동진역하면 떠오르는 소재 중에 하나가 바로 소나무이다. 정동진역을 떠올려주는 소나무의 존재가 바다와 하늘, 그리고 자연과 꽤나 잘 어울렸다. 자신의 존재를 숨기던 태양이 비추며 가을의 분위기를 물씬 느끼게 해주고 있었다. 

 

 

 

 

정동진역의 상징이자 정동진역을 크게 도약시킨 모래시계 소나무이다. 그렇다. 바로 정동진역을 크게 부흥시킨 존재이자 정동진역을 방문하면 둘러보게 된다는 모래시계 소나무이다. 정동진역을 부흥시킨 드라마가 바로 박상원씨, 고현정씨, 최민수씨가 출연한 모래시계이다.

 

뒤에도 나오겠지만, 고현정씨가 플랫폼으로 나가는 장면은 지금도 두고두고 회자되고 있는 장면 중 하나일 것이다. 비록 내 자신이 직접 찍은 사진이지만, 내가 찍은 사진치고는 꽤나 잘 나온 것 같아 지금도 꽤 마음에 드는 사진 중에 하나이다.

 

모래시계 소나무와 푸른 바다, 푸른 하늘이 어우러져 하이라이트로 손꼽아도 어색하지 않을 그런 사진이라 하겠다.

 

과거 비둘기호만 정차하던 정동진역이 모래시계를 만나 통일호, 무궁화호, 더 나아가 새마을호와 관광열차인 바다열차까지 정차하고, 수많은 사람들의 여행지로 각광받는 곳이 되었으니 그야말로 상전벽해란 말이 바로 이런 것인가보다.

 

상전벽해의 이면에는 간이역이라는 이미지와 정취가 다소 퇴색하기는 했지만, 많은 사람들이 찾아주는 역이 되었으니 그것만으로도 족하다.

 

 

 

 

모래시계 소나무만큼은 아니지만, 위에 찍힌 이름 모를 소나무도 마음에 든다. 이 날은 마치 내게 정동진역의 정취를 만끽하도록 마련해준 자리 같아 얼마나 기뻤는지 모른다.  

 

 

 

 

역의 곳곳에는 뒤이어 나올 시비와 증기기관차를 형상화한 대리석이 놓여있었다.

 

 

 

 

정동진역의 역사에 새로 건립된 맞이방이 다소 이질감을 불러 일으키는 것 같다.

 

 

 

 

비록 전철화가 대세라지만, 그래도 전선이 뭔가 풍경을 제약하는 요소인 것만은 분명한 사실 같다.

 

 

 

 

역명판은 코레일의 기본 양식을 따르고 있었다.

 

 

 

 

2007년 7월 25일 CDC차량을 개조하여 탄생한 바다열차의 안내판이 강릉역의 공사 관계로 지금은 정동진역이 그 자리를 대신하고 있음을 알려주고 있는 것 같았다. 바다열차는 영동선의 지선으로 여겨지는 삼척선을 이용하여 삼척역까지 가는 열차라 나름 특별하고 각별하다고 볼 수 있겠다. 삼척역의 몇 안되는 여객열차 중에 하나가 바로 바다열차이니까. 

 

 

 

 

정동진역의 또다른 상징인 정동진 시비이다.

 

신봉승 시인의 정동진이라는 시인데, 정동진의 모든 것을 함축하고 있는 시 같다.

 

 

--------------------------------------------------------------------------------------

 

정동진

 

신봉승

 

벗이여,

 

바른동쪽

 

정동진으로 떠오르는 저 우람한

 

아침 해를 보았는가.

 

 

큰 발원에서

 

작은 소망에 이르는

 

우리들 모든 번뇌를 씻어내는

 

저 불타는 태초의 햇살과

 

마주서는 기쁨을 아는가.

 

 

벗이여,

 

밝은 나루

 

정동진으로

 

밀려오는 저 푸른 파도가

 

억겁을 뒤척이는 소리를 들었는가.

 

 

처연한 몸짓

 

염원하는 몸부림을

 

마주서서 바라보는 이 환희가

 

우리 사는 보람임을

 

벗이여, 정녕 아는가.

 

--------------------------------------------------------------------------------------

 

 

 

 

 

 

 

 

 

 

 

정동진역의 진정한 상징인 정동진역의 역사이다. 근무하던 역직원에게 들은 바로는 지금 사진으로 보여지고 있는 정동진역 역사의 맞이방은 정동진역 미술관으로서 역할이 바뀐 상태이고, 과거 역무실은 여객전무 등 승무원들이 대기하고, 운전취급 등 역무 공간으로서 활용되고 있다고 한다.

 

 

 

 

정동진역의 마지막 상징이라 할 수 있는 경복궁 광화문의 정동쪽 정동진을 상징하는 푯말이다. 모래시계와 더불어 정동진역을 더욱 부각시키는 존재라 하겠다.

 

 

 

 

정동진역의 옆에는 레일바이크가 활성화되어 운영되고 있는 데 휴일을 맞아 사람들이 레일바이크에 여념이 없었다. 푸른 자연을 만끽하며 레일바이크를 탄다는 생각에 왠지 모를 기대를 불러일으킨다. 

 

 

 

 

정동진역의 곳곳에는 아기자기하게 꾸며지고 있는 것은 부정할 수 없었다. 그래도 기존에 있는 존재들과 함께 보다 동화될 수 있으면 더 좋겠다는 생각이라 적고 욕심이 드는 것 역시 사실이다.

 

 

 

 

이 사진이야말로 과거 정동진역이 순수한 간이역이었음을 보여주는 사진이 아닐까 한다. 어떻게 보면 정동진역이 정동진역 다운 사진이라고 자부하고 싶다.

 

 

 

 

 

이처럼 정동진역의 옛 맞이방은 정동진역 미술관으로서 제2의 인생을 맞이하게 되었다. 역사 안켠에 있는 고현정씨가 플랫폼으로 나가는 장면을 그림으로 보여주며 정동진역이 모래시계의 촬영지이자 모래시계역이라는 것을 알려주는 존재라 하겠다.

 

천고마비의 가을이라는 계절과 푸른 내음이 흘러나오는 푸른 바다, 그리고 푸른 하늘을 보며 몸도 마음도 푸름이 가득해지는 것 같아 꽤 맑고 상쾌한 시간이었다.

 

늘 이야기하는 거지만, 자연과 사람이 한 자리에 어울리는 역들이 많아졌으면 한다.

 

 

 

그간 살면서 몇몇 역들을 거치고 다녔지만, 본격적으로 철도역의 "답사"를 시작한 것은 옛 강릉역이 처음이었다.

 

엄밀하게 이야기해보면, 강릉역을 답사할무렵 철도에 대한 완벽한 관심을 갖기 시작했다기보단 마침 강릉에 일이 있어 강릉역이 없어진다는 소식을 듣고, 그냥 카메라로 사진으로 남겨볼까란 생각에 다녀온 것이었다.

 

네이버 파워블로거로 유명하시고, 현직 한국철도공사 직원이기도 하신 스팀로코님의 블로그를 (lovtrout.blog.me) 보고, 쉬는 날 시간을 정해 역답사를 다니기로 마음먹었다. 그 시기가 정확히 올해 초였다.

 

물론, 이전에 강릉역 이후로도 공항답사를 다니던 2014년 6월 무렵 포항역의 기록도 1~2장의 사진으로 남겨두기도 했고, 2015년 6월에도 머리식힐 겸 삼척의 도경리역도 다녀오기도 했다.

 

스팀로코님의 블로그를 보면서 간이역 답사의 나름 몇가지 방향을 세울 수가 있었는데, 관리역보다 능주, 대야, 승부, 신기, 희방사, 주덕, 삼탄, 반곡, 동화, 신림, 임기, 현동, 분천, 추풍령, 남성현, 신녕, 탑리, 옥산, 석항, 쌍룡, 추전, 동백산, 백산, 청소, 판교, 삽교 등 1인 근무지정역이나 사람들의 손길이 많이 닿지 않는 역으로 정했다. 물론, 무인역(무배치간이역)은 될 수 있으면 제외했다. 역이란 역무원이 있어야 하고, 열차를 타려는 사람이 있어야 진정한 역이랑 생각했기 때문이다. 임기나 현동은 왠지 모르게 끌렸던 터라 가볼 생각이지만...

 

관리역을 찾아다니는 것보다 1인 근무지정역이나 우리가 쉽게 생각하는 간이역들을 답사하는 게 진짜 답사라 생각했고, 사실 역다운 역들은 승부역 등 1인 근무지정역이나 우리가 생각하는 간이역들이라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우리가 생각하는 간이역에 초점을 맞췄다고 할 수 있겠다.

 

 

 

과거 기차를 타기 위해 강릉역을 한번 다녀온 적이 있었는데, 그때 영동선을 처음 접한 것이 2001년이었다. 강릉에서 동대구로 가는 무궁화호 열차를 탄 적이 있었는데, 그때는 정말로 지루함을 느꼈다.

 

지금처럼 낭만적이고 감상에 쉽게 빠질 나이가 아니었으니까.

 

이후 13년이 지난 당시 2014년 강릉역이 없어진다는 소식을 듣고, 강릉역의 영업중지를 불과 이틀 앞두고 다녀오게 되었다.

 

 

 

 

강릉역 역사가 13년 뒤에 찾아온 나를 맞이해주고 있었다. 아직 늦더위가 기승을 부릴 시기이기도 했는데, 바람이 불어 더위를 크게 느끼지는 않았던 날씨로 기억한다. 강릉역 역사 오른편에는 소위 말하는 근성열차로 잘 알려진 강릉 ↔ 부산 1691 무궁화호 열차가 승객들을 맞이하는 데 여념이 없었다. 

 

 

 

 

역사 안으로 들어가기 위해 사진을 슬슬 찍기 시작했는데, 스토리웨이가 있었고, 무궁화호 옆에는 바다열차가 플랫폼에 있었다. 2014년에 바다열차가 처음으로 시작된 것으로 알고 있는데, 정규 여객열차가 정차하지 않는 삼척역이 종착역이라고 한다.

 

 

 

 

역사에 들어와 처음으로 눈에 띄었던 건 바로 강릉역의 영업중지 안내문이었다. 강릉역이 영업중지가 되면서 강릉역의 여객업무는 정동진역으로 이관이 되었고, 현 강릉역 역사에서 정동진역까지 열차시간에 맞춰 셔틀버스가 운행되고 있다. 셔틀버스에 대한 내용은 정동진역 포스팅에서 따로 알려드리도록 하겠다.

 

 

 

 

이어 강릉역의 열차시간표와 여객운임표가 눈에 띄는데, 과거에는 청량리역에서 강릉역까지 새마을호가 한편 운행되었던 걸로 알고 있는데, 새마을호는 온데 간데 없고, 무궁화호만 열차시간표와 여객운임표에 자리잡고 있었다. 개인적으로는 새마을호보다 현재 서민열차라 불리는 무궁화호가 더 정이 가는 게 사실이다. 시간이 더 걸릴지언정 기차여행을 좀 더 할 수가 있고, 좀 더 많은 사람들의 군상을 접할 수가 있고, 무엇보다 운임부터가 꽤나 저렴하니깐 말이다.

 

 

 

 

강릉역의 승차권 발매창구와 맞이방이다. 비록 이틀 뒤에는 영업중지가 되고, 정동진역에서 사람들을 맞이하겠지만, 당시에도 강릉역은 자신의 역할에 꽤나 충실하고 있었다.

 

 

 

 

'안녕히 가십시오, 고객님!'이란 말이 꽤나 뜻깊게 다가온다. 자신의 운명을 아는지 모르는지 해맑게 웃으며 고객들에게 최선을 다해 배웅을 하는 것 같아 시원섭섭한 감정이 몰려온다. 시원섭섭함이란 바로 이런 감정을 가리켜 말하는가보다.

 

 

'끝이 있으면 시작이 있고, 만남이 있으면 이별도 있다.'라는 말이 새삼스레 다가온다. 누가 이 말을 했는지는 모르지만, 그래도 이별을 하게 되면 섭섭한 게 사실이다. 포스팅을 하는 지금 강릉역은 없어졌으니까.

 

그래도 끝이 아니라 새로운 시작이 되어야 한다는 말처럼 강릉역도 새롭게 다시 태어나 본연의 임무에 충실할 모습을 기대해본다.